2007년 11월 4일 일요일

북경올림픽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07년 11월 3일 토요일

hoonsolo&kimsanghoon 그리고 건축 세계고층디자인: 베이징 국립 경기장

hoonsolo&kimsanghoon 그리고 건축 세계고층디자인: 베이징 국립 경기장


둥지
[명사]
1. =보금자리.
2. ‘둥우리’의 잘못

둥지(를) 치다[틀다]
build a nest;
留巢性유소성
새끼의 발육이 더뎌 오랫동안 둥지 속에서 어미새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성질. 비둘기·제비 따위.
<동의어> 만성성.
새집¹

[신축한 집] a newly built house;
새집²

[새의 집] a bird's nest;
[참새 집] a sparrow's nest;
[인공의] a bird box; a birdhouse; a nest[nesting] box.

They’re saving money toward a new house.

새-집¹

<명사>
① 새로 지은 집.
② 새로 든 집.
③ 새로 맺은 사돈의 집.
④ ‘새색시’를 허물없이 일컫는 말. 새-집²

[새ː―] <명사>
① 참새의 집.
② 새가 깃들이는 곳. <동의어> 깃²③.

휠터링

건물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노후화하는데 이에 재투자하여 개축하지 않고 고소득층에서는 이 건물개축에 소요될 개축비용에 새로운 자금을 보태어서 교외에 새집을 마련하고 옛날 집은 자기보다 저소득계층에게 팔아넘기는 현상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대도시의 도심부에 이러한 현상이 많이 일어난다고 한다.

북경경기장


kim sanghoon
건축
B01 B02 B03 B04 B05 B06 B07 B08 B09 B10 B11 B12 B13
Key scheme recommended by eval uation panel:B11Superexcellent scheme:B11. B12. B08
B01









B01:
Emerging from the landscape, and shaped by nature, the design will create a simple symbolic link - a bridge - between old and new, between people and country and China with the world.
The design introduces an innovative solution to the provision of temporary seats during the Olympic Games. All the temporary seats are under cover and all seats enjoy excellent views to the field of play. It adopts high technology principles for operational management and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The moving roof created like two leaves is simple, elegant and economical. After the games, people will be able to walk, via a safe and secure path, along over the leading edge of the roof.
The extended “wings” of the roof, as an integral function of the moving roof and a fundamental part of an efficient roof structure, allow for up to 200,000 people to have a direct experience of the Games .
B02









B02:The design creates an image of a floating water lilly, surrounded by petals and blossoms, emerging in a gently undulating pond. The stand installations are built for fixed as well as temporary seating with optimal viewing positions. After its dismantling, a very unique leisure park will be developed. On the "roof" of the stands, offering a grandiose, stairs and elevators access this panoramic sky-garden independent of the internal Stadium function. The 45° slanted, outer glass skin thermally encircles the Stadium and all its exterior functional and circulation areas and creates an equally dynamic and peaceful, outer form.The lightly inclined roof skin, consisting of transparent air cushions resting on a light, pre-stressed cable roof structure, is unique in this dimension.The central roof can be completely opened to a diameter of 130 meters. The unobstructed view of the spectator through the transparent roof skin, despite the indoor-arena-quality, is a world-class novelty.
B03









B03: The design preserves the 45-meter height limitation with the exception of the roof structure, but the bottom rail of the tallest roof section is 99 meters from the competition pitch.
The Stadium will have a total floor area of 164,000 m2, which can accommodate 100,000 spectators. The stadium bowl is partially sunken with a filigree of ramps that link the stands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to form open and clear accessibility.
The transparency of the roof petals allow for the shading of the grandstands while providing for superior natural light and weather permitting allow the stadium to be opened for natural ventilation. The roof is a series of light free flowing forms that flow over the stadium to form a series of petals that can open and close to suit a large variety of conditions. The roof is made of the Teflon coated fiberglass, which allows the natural turf to grow for a superior athletic field surface.
The structures of the petals are basic stable arch forms that are structurally efficient and have been used in manmade structures since before the classical periods. Yet the sheer spans, movement, elegance and lightness to be achieved in these arches will reflect our ever-increasing understanding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around us.
B04









B04:The Olympic Stadium, 79,574 fixed seats are installed on the stand, of which ordinary seats are 72,930 with 500mm width of seats and 850mm depth of rows. If it is needed, temporary stands with 20,740 seats could be added in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stands. Multi-functional development operation after-event is one  of the key points in the design proposals. After Olympic Games, this Stadium will offer 11,300m2 of service room to be further developed. The height of this kind of room is nearly 7m, the columns spacing is nearly 9m. They are all spacious room with large span offering favorable conditions for varied operation and development in the future. When the roof is open, the open-air area is 32,000m2. The lowest layer of the roof adopts the fixed aluminium composite board. The upper two layers of the retractable roof adopt the efficient membrane material with high performance.Since the membrane material is very good at deformation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sound absorption and light transmittance, it is helpful to economize the investment, the maintenance cost and the operation expense in the future.
B05









B05:The 100,000-seat stadium has been conceived as a two tiered solution with exclusive areas incorporated within. All tiered seats have an unobstructed view of athletics. Lowering the field reduces the amount of “finish skin” on the facility, the vertical scale of the facility, and the height of vertical transportation, easier access to the roads around the stadium.Within the Grand Hall are two permanent restaurants, open to the hall and surrounding area. The lower tier of seating is continuous, with 42,000 fixed, and 5,000 temporary seats, all accessed through portals. As part of the post Olympic layout, at the South end zone, temporary treads and risers are removed and replaced with a family dining or picnic area. The materials used for construction are durable and require minimal maintenance.The east canopy roof is a cantilevered truss structure that acts both as a fixed roof covering for the East Side of the stadium and as a support for the leading edge of the retractable roof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posed concept for the Beijing Stadium retractable roof system applies time-tested mechanisms in an innovative sequence of elegant motions to deliver the spectacular effect of extending cantilevered roof structure over 100 meters from one  side of the bowl structure to the other. The proposed retractable roof system covers an opening over the playing surface of the stadium. This opening is roughly 350 meters long by 105 meters wide at its widest point. The primary moving elements of the retractable roof system are six operable roof panels and twelve telescoping roof rail trusses.
B06









B06:One of the most unique features of the design is the Sky Terrace. The ability to climb to very top of the roof will provide an experience to the visitor unlike that of any other stadium on Earth. A concrete structure is proposed to provide an economical yet durable structure with good earthquake resistance. The arrangement of the bowl structural grid has been chosen to allow a significant amount of repetition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stadium, and the column spacing is generally less than 9.0 m, except in the single bay where the grid transitions from elliptical to circular. The design will utilize locally available materials and labor. The roof structure consists of a series of trusses supported by four giant trussed-towers, which in turn support the two primary trusses. The primary trusses consist of a compact central diamond-truss, strengthened and stiffened by high-strength cables supported by outriggers. A number of configurations were considered, and the design refined to optimize strength and stiffness. The cable configuration is efficient, allowing plenty of structural depth, thus limiting axial forces in the members, and utilizing high-strength cables to minimize weight. Some of the truss cables will be priestesses to increase the effective structural depth of the system. This configuration also allows economical construction, with the central diamond truss being prefabricated and shipped to site, and minimal ons ite assembly of components. The location of the towers is derived to balance the cantilever and mid-span moments in the trusses, ensuring optimal use of materials, and the deflections are well within code limits.
B07






B07:This Stadium total would comprise 80,000 permanent seats and 20,000 temporary seats, including one  level of 140 suites. The 20,000 temporary seats are removed it is proposed to install the seats in the outdoor activity center and some special suites, restaurants, clubs and bars in the locations which are higher up in the stadium.This technology solved the problem of being able to have a natural grass playing field turf of the highest international quality for every soccer game,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able to host every kind of multi-use event in the same stadium. This requirement necessitated the complete separation of the field sports uses, from all the other kinds of uses, by having 2 separate functional surfaces which could be changed very quickly and an infinite number of times, without deterioration of the performing surfaces.Uses the unique Two Panel Spiral Rotating Shell Retractable Roof Geometry (United States Patent). The roof can be opened and closed in 35 - 40 minutes in wind speeds of up to 50 Km/hr.The sun-facing surface(s) of the retractable roof will be covered with rows of the latest type of photovoltaic cells, one  of the largest installations of its kind in the world. The proposed design will be one  of the major legacies of the ‘Green Olympics’.
B08









B08:The configuration of the stadium symbolizes great nature on the earth. Against the backdrop of sunshiny sky, soft white cloud and green hills are the main originality, along with light pillar that penetrates through white cloud creating nice association. All of these constitute a charming landscape and become a new scene in Beijing tallying with the substance that coexistence of Olympic Game and nature.In order to coordinate with the environment around the park, as much as vire scence should be placed in the planned land.It is such a big stadium that can hold 100 thousand people at the same time. Moreover, 100 thousand people can enter and exit at the same time.The auditorium is composed of three layers, which have 100 thousand seats, including 80,156 fixed seats (800mm*500mm) and 20,644 temporary seats (800mm*495mm). We define “c” is the sight distance between the former row and the after one . The bigger the “c” is, the steeper the auditorium, and the smaller hide from view, so people there can have a very good vision sight, that there is no hide from view.Not onl y can the temporary seats be dismantled after the games, but also they can be expediently changed into sports museum, sports club etc.Graceful opening and closing mode will show particular charm to the audiences all over the world. Two half-moon shaped glass roofs will be placed on the center of big roof, which will be opened by the ceiling’s circumgyrating toward each other and sliding.
B09









B09:The National Stadium should be the one  that a surrounding feeling is available when someone stays inside of the stadium, he feels that he is surrounded by the environment outside of the stadium. Vice versa, when he stays outside of the stadium he could also feel such a state of competition with excitement and vigor inside of the stadium. Thus, a well arranged space functioning from each other is created. The adoption of different resources of energy will secure the natural light collection and the air ventilation as well as a reliable and efficient method for the site management.The ecological tower with the total height of 200m, is the key point or the pith of the presentation for the principles set up for the design work of the stadium. The four groups of windmill erected on the tower could generate enough power for the use of the tower itself and environmental lighting around. The roof the gymnasium consists of four parts, namely, top floor roofing, mobile roofing, lower floor roofing both on West and South sides and the North side roofing. The mobile roofing covers the whole gymnasium and is supported by using a rail system with 18m.vertical and horizontal tri-framework. When it is in the closing state, the whole gymnasium is covered, vice versa, the roofing goes over the lower roofing on the North side and is hanged outside.
B10









B10:This proposal is intended to meet these objectives using the symbols of "Heaven" and "Earth".Our roof is not just a cover for the terraces of the stadium, but the celestial vault of the Universe. This vault incorporates five circles that, at the same time, symbolise the five elements on which Chinese philosophy is based, and the five Olympic rings.The roof of the stadium, 665 m long at its longest dimension, this lightweight, elevated fixed roof is suspended from a structure of 18 steel columns by cables imitating the latest techniques of cable-stayed suspension bridges.The retractable, translucent material used for the roof covering will filter the natural daylight by around 50%, thus allowing, when used during the day, sufficient natural light to enter the stadium, minimising the need for artificial light.The two glazed roofs, where they cross, will add to this effect. Of a reasonable size and simple to operate, the retractable roof will not squander resources or energy as it is opened and closed.The exceptional area of the roof will be equipped with solar panels, which will provide it with a substantial proportion of the energy it needs.
B11









B11:The stadium’s appearance is pure structure. Fa?ade and structure are identical. The structural elements mutually support each other and converge into a grid-like formation – almost like a bird's nest with its interwoven twigs. The spatial effect of the stadium is novel and radical and yet simple and of an almost archaic immediacy, thus creating a unique historical landmark for the Olympics 2008.The stadium is conceived as a large collective vessel, which makes a distinctive and unmistakable impression both when it is seen from a distance and from close up. It meets all the functional and technical requirements of an Olympic National Stadium, but without communicating the insistent sameness of technocratic architecture dominated by large spans and digital screens. The spatial effect of the stadium is novel and radical and yet simple and of an almost archaic immediacy. Its appearance is pure structure. Fa?ade and structure are identical. The structural elements mutually support each other and converge into a grid-like formation, in which fa?ades, stairs and roof are integrated. Visitors walk through this formation and enter the spacious ambulatory that runs full circle around the stands. From there one  can survey the circulation of the entire area including the stairs that access the three tiers of the stands. Functioning like an arcade or a concourse, the lobby is a covered urban space with restaurants and stores that invite visitors to stroll around.Just as birds stuff the spaces between the woven twigs of their nests with a soft filler, the spaces in the structure of the stadium will be filled with inflated ETFE cushions. On the roof, the cushions will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to make the roof completely weatherproof. Whilst the rain is collected for rainwater recuperation the sunlight filters through the translucent roof providing the lawn with essential UV-Radiation. On the fa?ade, the inflated cushions will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tructure where necessary, e.g. to provide wind protection. Since all of the facilities – restaurants, suites, shops and restrooms – are all self-contained units, it is possible to do largely without a solid, enclosed fa?ade. This allows natural ventilation of the stadium,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stadium sustainable design.The sliding roof is an integral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tadium. When it is closed, it converts the stadium into a covered arena. Just as a tin is onl y complete with a lid, the roof, whether closed or open, is an elementary part of the whole. With its own structural logic, it is also a grid-like formation that forms a waterproof shell together with the inflated cushions.
B12






B12:The design concept is retrieved from an ancient ritual named "throwing jade into the water", which gives the Stadium rich cultural connotation and turns the place into a spiritual home of people living in a modern city.The National Stadium will be designed to put athletes above everything else. In the general layout, warm-up areas for athletes are arranged on the north side of the plot area, close to the rooms provided for them inside the National Stadium, which will provide a shorter way for athletes and facilitate their competition.To meet the multifunctional operation requirements of the National Stadium, some comprehensive development facilities are to be arranged appropriately on the perimeter of the main building. This will enable complementation of functions between the existing facilities inside the National Stadium and those to be provided on the perimeter, and provide a variety of options for the long-term operation of the National Stadium while avoiding possible waste.Reasonable division of ground and underground levels will enable effective separation of people from vehicles on the perimeter of the National Stadium, to ensure smooth access for various categories of people withou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The Stadium is creatively designed to have a worldwide unique "suspending retractable roof" combining multiple functions of roof, sightseeing and urban landscape.The arrangement of appropriate operating spaces outside the Stadium will represent additional functions and new concept of sports building operations.
B13









B13:The Stadium is the Architecture as the eaves, and it protects as many as a hundred thousand people in the periphery from the rains, cold wind of winter, and hot sunshine of summer. The Stadium is the symbol of the attitude greeting all the people.The Architecture succeeds the sense of the Quadrangle cosmology. It opens the earth to the universe, and harmonizes the pure form with the dynamic action of the wings. The wings of the roof, corresponding to four blocks of the stadium, lead up to various modes. During the Olympics, temporary seats are installed on the wings. At ordinary time, the wings function to stabilize the climate of the field. When the wings are open, they leave no rails or structures behind the space they occupied.The light roof and ceiling, having the span of 180m, are made of film materials with aluminum alloy. controlled by air pressure. The ceiling is constituted of the tubes with two functions. As to the lightning and diffusion, it changes freely as the clouds.Single sloped stadium, where “all people can watch all people” will be revived by setting four escalators in the stand. As a detail, waving stand at rostrum and VIP seats might be the first practice in the world. At the top step of the stand, Sky corridor with movable glass screens for lightning and ventilating is located. Stand escalators lead to the stand style that “many people come down from the upstairs and take seats.”The Stadium has a bio-dynamic structural system that balances dynamically by itself corresponding to the changes of the rising roof and ceiling of the clouds.The double ring (upper ring and lower ring) of Sky corridor and the balance mechanism are the main actors of this system. 180m span of Gate to the World is realized by a combination of the cable systems. To realize these systems, a structur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by simulation technology.
Copyright © 2002. Beijing Municipal Commission of Urban PlanningPower by Capinfo Company Limited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베이징 국립 경기장


kim sanghoon
건축

베이징 국립 경기장(중국어: 北京國家體育場 북경국가체육장[*])은 2007년 완공을 목표로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건설되고 있는 경기장이다. 그 모양에서 이름을 따 속칭 새집중국어: 鳥巢 냐오차오[*]이라고 불리고 있다. 2008년 하계 올림픽의 육상 경기장으로 쓰일 예정이며, 또한, 올림픽의 개회식 및 폐막식 장소로도 쓰일 예정이다.
2002년 중국 정부가 이 경기장의 설계를 국제적으로 공모했다. 프리츠커 상 수상 경력의 헤르조그 & 드 뮤론 및 에이럽스포트 사(영어: ArupSport) 및 차이나 아키텍쳐 디자인 & 리서치 그룹 3사 연합(collaboration)이 공모에서 우승하였다. 중국 출신 현대 건축가인 아이 웨이웨이가 경기장 설계에 있어서 예술 컨설턴트(Artistic Consultant)를 맡았다. [1] 올림픽 개최 시에는 수용인원이 약 10만 명이 될 예정이며, 그 이후에는 수용인원이 약 8만 명이 될 예정이다.
이 스타디움은 길이 300 m, 나비 220 m, 높이 69.2 m의 규모로 건설되며, 총 연면적은 약 25만 제곱미터가 될 예정이다. 건설에는 총 길이 36 km, 총 중량 4만 5천 의 강철이 쓰인다. 총 건설 비용은 3억 5천만 위안으로 추정된다. 2003년 12월 기공하였고, 2004년 3월 착공하였으나 건설 비용 문제로 2004년 8월 건설이 잠시 중단된 바 있다.
설계 변경 후, 스타디움의 지붕이 설계에서 제외되어버렸다. 전문가들은 지붕을 뺌으로써 건설 비용도 줄이고 경기장 구조물의 안전도 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2005년 초 건설이 재개되었다.
원래는 광둥 올림픽 스타디움2008년 하계 올림픽의 주 경기장으로 쓰일 예정이었다.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The stadium’s appearance is pure structure. Fa?ade and structure are identical. The structural elements mutually support each other and converge into a grid-like formation – almost like a bird's nest with its interwoven twigs. The spatial effect of the stadium is novel and radical and yet simple and of an almost archaic immediacy, thus creating a unique historical landmark for the Olympics 2008.The stadium is conceived as a large collective vessel, which makes a distinctive and unmistakable impression both when it is seen from a distance and from close up. It meets all the functional and technical requirements of an Olympic National Stadium, but without communicating the insistent sameness of technocratic architecture dominated by large spans and digital screens. The spatial effect of the stadium is novel and radical and yet simple and of an almost archaic immediacy. Its appearance is pure structure. Fa?ade and structure are identical. The structural elements mutually support each other and converge into a grid-like formation, in which fa?ades, stairs and roof are integrated. Visitors walk through this formation and enter the spacious ambulatory that runs full circle around the stands. From there one can survey the circulation of the entire area including the stairs that access the three tiers of the stands. Functioning like an arcade or a concourse, the lobby is a covered urban space with restaurants and stores that invite visitors to stroll around.Just as birds stuff the spaces between the woven twigs of their nests with a soft filler, the spaces in the structure of the stadium will be filled with inflated ETFE cushions. On the roof, the cushions will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to make the roof completely weatherproof. Whilst the rain is collected for rainwater recuperation the sunlight filters through the translucent roof providing the lawn with essential UV-Radiation. On the fa?ade, the inflated cushions will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tructure where necessary, e.g. to provide wind protection. Since all of the facilities – restaurants, suites, shops and restrooms – are all self-contained units, it is possible to do largely without a solid, enclosed fa?ade. This allows natural ventilation of the stadium,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stadium sustainable design.The sliding roof is an integral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tadium. When it is closed, it converts the stadium into a covered arena. Just as a tin is only complete with a lid, the roof, whether closed or open, is an elementary part of the whole. With its own structural logic, it is also a grid-like formation that forms a waterproof shell together with the inflated cushions.
개인이야기
건축법

2007년 10월 7일 일요일

북한 건축 ३.7



영화관 평면큰홀식-혼성구조로 해결된 공공건물의 외형 및 평면


북한 고층살립집우리나라의 신도시개발시기에 건설되었으며 다양한 평면 유형과 외관으로 구성





능라도 경기장평양축전의 개폐회식과 주요행사의 메인스타디움으로 건립된 북한최대의 경기장으로 약 15만명을 수용, 낙하산식 지붕공법으로 국제발명대회 금상 수상



kim sanghoon
건축











건축설계환경
 
북한 고층살립집우리나라의 신도시개발시기에 건설되었으며 다양한 평면 유형과 외관으로 구성
북한에서의 건축설계는 국가기관인 각 단위 도당 위원회에 소속되어 있는 도시설계사업소에서 주관하여 이루어진다. 북한은 대표적인 주요건축물만을 전문적으로 설계하는 백두산 건축 설계연구원 같은 건축설계사업소를 정무원 산하에 두고 운영한다고 한다. 이 연구원은 도시설계를 담당하던 소규모집단이었으나,1989년에 김정일의 지시로 평양 중심부에 연면적 10.000㎡ 인 건물을 마련하고 ,현재의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인민설계가와 공훈설계가들을 비롯한 수십 명의 박사, 준박사급의 전문 설계가들과 이들을 뒷받침하는 젊은 설계가들로 조직 되었다고 한다.
조직은 설계가들의 편의를 위해 실단위로 운영되고 있으며, 건물설계실, 구조물설계실, 전기 시설물설계실, 설계역량실, 환경위생설계실, 건재설계실등이 있다. 유경호텔, 국제친선전람관, 능라도 경기장,창광거리 등이 이 연구원 작품이다.
또한〈조선건축〉이라는 건축 전문잡지를 계간으로 발행하고, 〈건설과 건재〉등의 시공과 자재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잡지를 월간으로 발행하고 있다. 북한에는 평양건설건재대학 이 건축 부문에서 가장 핵심적인 대학이라고한다. 이 대학은 약 2~3,000 명의 학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도에 도 이런 건설 전문대학 이 있고 현재 북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대부분의 건축가가 ,평양건설건재대학 출신이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현상설계가 있는데,대상설계라고 한다. 중요한 국가사업인 경우에 전국의 모든 건축가가 참여해야 하고,당선된 사람은 몇 계급의 특진도 한다고 한다.
- 건물의 구성요소
북한에서 건물의 구성 요소는 용적과 평면계획 요소로 구성되며 건물의 용적은 개별적인 방이나 그들의 묶음, 건물의 층, 건물의 경간과 격간 및 층높이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단위 경간 격간 층높이로 이루어지는 구조적 단위가 기본 요소로 된다.
건물의 경간은 건물의 평면-용적을 세로방향으로 구분해주는 기본 분할축사이의 거리를 말하며, 건물의 격간은 건물의 평면-용적을 가로방향으로 구분해주는 기본 분할축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건물의 층높이는 임의의 층의 수평힘 받이구조의 바닥면에서 다음층의 수평힘받이 구조의 바닥면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구조축면은 기초, 벽체, 층막, 지분, 창 등을 칭한다.
주요 건축 관련 용어를 비교하면 단면도는 자름도, 계단은 층대, 에스컬레이터는 자동층대, 경사로는 비탈길, 발코니는 내민대, 안으로 들어간 발코니는 물림퇴, 건물의 용도는 건물의 사명, 일조권은 햇빛받이, 간벽은 사이벽, 매스는 덩어리, 디자인은 형성, 화장실은 위생실, 테라스형 주택은 노대형 계단식 살림집, 거실은 공동살림방 등이다.
건물은 겉구조와 안구조로 나뉘는데 겉구조는 겉구조는 우리가 말하는 입면을 이야기 하고 안구조는 실내장식인 인테리어와 방의 구성을 말한다.
- 용도별 평면구성의 특징
북한의 건축설계에 있어 우선 실의 구성을 보면 기본실, 보조실, 연락수단(복도, 층대실, 승강기실)으로 구분하여 구성한다고 하는데 이는 우리의 건축계획각론과도 매우 유사하다. 여기서 말하는 기본실은 건물의 기본기능을 수행하는 실로 살림집(주거)의 경우에는 살림방(거실)이 이며, 식당인 경우에 식사실과 주방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보조실은 기본실의 기능수행을 보조하는 실로서 살림집의 경우는 변소, 목욕실, 창고 등이 해당된다.
건물의 평면에 따라 도식으로 건축물을 분리하는데 복도식은 매개 방들이 복도로 통하는 평면구성이며, 섹지아식은 소련어로서 층대실(계단실)인 공공공간인 홀이나 로비 등이 중심이 되어 방 또는 방묶음이 연결되는 평면구성을 말한다. 실렬식은 실들의 상호관계가 방과 방사이에 있는 문 또는 개구를 통하여 직접 이루어지게 한 평면구성형식이다. 큰홀식은 큰홀을 중심으로 그것을 통해 방들이 연계되는 구성형식이며, 혼합식은 위의 방식을 혼합하여 구성한 평면방식이다.
이러한 평면방식에 의해 건물용도에 따라 살립집을 비롯한 거주건물들과 사무청사, 학교를 비롯한 대량건설의 공공건물은 일반적으로 평면도식상 흔히 복도실과 쌕지아식으로 벽체식을 사용하여 설계, 건설된다. 방공간의 크기는 기본실이 대략 10-20㎡ 정도 또는 30-70㎡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다른 도식의 건물들고 비교 하여 비교적 작은 격간(2.4, 2.7,3.0,3.3 3.6m)과 경간(3.0,3.3,3,.6,4.2,4.8, 6-9m정도) 및 층높이 (2.7,3.0,3.3,3.6m)로 이루어지는 1-3개의 정도 구조적 단위로 구성된다.
박물관 ,전람관과 같은 공공건물은 평면도식상 실렬식으로 해결, 구조도식은 벽체식,골조식으로 쓴다. 방공간으로 볼때, 기본실은 비교적 큰 격간(3.0,3.6,4.5m 정도)과 경간(6-9m)및 층 높이 (3.6,4.2,6.0m)로 이루어지는 구조적 단위로 구성되어 설계가 이루어 진다. 극장 영화관 체육관 같은 관람건물들은 평면도식상 큰홀식 또는 혼합식으로 해결되며 주로 혼성구조(벽체-골조식)사용하고 방공간을 관람홀들과 같은 큰 홀을 중심으로 여러개의 비교적 큰 홀들로 구성되며 관람홀과 같은 큰 홀의 격간은 보통 4.5-60m이고 경간은 9-30m, 층높이는 4.5 - 15m정도로 설계의 기본구조가 결정된다.
백화점 식당등과 같은 공공건물들은 평면도식상 큰방-기둥방식(방안에 기둥이 있는 공간구조 라멘조)으로 해결하고 이러한 골조식 구조가 기본을 이르며 방안에 배치된 기둥망의 크기는 6x6 6x9 6x3 정도의 사각기둥망으로 기본 골격을 구성한 후 주요실의 전체 너비는 보통 2-3 정도로 경간으로 이루어지는데 흔히 12-18m 정도로 설계가 이루어 진다.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북한 건축 ३.1


복도식 벽체건물구조(사무청사)섹지아식-벽체건물(살림집)실렬식-벽체구조(공공건물)





빙상관원추형의 형태로 4 계절 이용가능한 실내빙상전용구장으로 원추형의 돔은 천장 및 인공조명이 가능하며 기타 부대시설이 구비







청류관빙상관 앞 보통강 언덕에 위치하며, 옥류관과 더불어 북한의 대표의 대표적인 집단음식점, 각종 전통요리를 하는 여러개의 식당군으로 구성








kim sanghoon
건축






건축양식의 특징
 
청류관빙상관 앞 보통강 언덕에 위치하며, 옥류관과 더불어 북한의 대표의 대표적인 집단음식점, 각종 전통요리를 하는 여러개의 식당군으로 구성
북한 도시건축의 특이한 점은 상업ㆍ업무기능의 건물이 가로변에 배치되는 자본주의 도시와는 달리, 고층의 아파트와 공공건물이 가로변에 배치되어 전체 도시경관을 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북한건축의 특징있는 설계접근 방식이다.
70년대부터 북한은 평양을 사회주의국가 도시의 모범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평양에서 녹지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위해, '공원 속의 도시'를 표방하면서 도시계획을 진행시켰다. 특히 평양 중심부는 모든 건물의 난방을 지역난방으로 계획하여, 굴뚝을 없애 도시미관을 향상시키고 공해가 없는 도시를 목표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들이 평양을 지상의 낙원이라고 칭하는데는 이러한 이유에서였다. 참고적으로 평양이라는 지명은 산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시기에는 사회주의 체계의 우월성을 과시하기 위해 높고 거대한 기념비적인 건축물이 많이 건설되었다. 농촌에는 2~3층의 문화 주택을 실리카트 벽돌(일종의 발포벽돌로 단열성능이 우수하고,무게가 가볍다고 함)을 사용하여 ,대량으로 건설하였다. 북한 건축물의 형태는 시기별로 특징을 지닌다. 초기에는 사회주의블록의 맹주인 (구)소련에 의해 영향을 받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건축‘이라는 이념에 따라 지어진 건물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초기에 북한의 건축을 주도한 건축가의 대부분이 소련에서 공부를 하고 소련의 건축 문화를 수입했다.
한국전쟁 말기 모스크바 건축아카데미를 졸업하고 돌아온 김정희가 평양시 총계획도를 작성했으며, 우랄공대 건축학부를 졸업한 이 형, 신 순경과 일제 때 건축을 전공한 노 식, 강 처한 등이 주축이 되어 다층 영구건물의 건축 및 건설을 주도하였다. 그리고 평양에 10여 개의 초등 및 중등학교가 러시아의 표준 설계를 적용하여 건설되었으며, 이 건물들은 높은 층고, 강한 중심성, 높고 좁은 창문, 1층 벽면만 석조 양식을 준 것이 그 특징이다. 초기 소련 건축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다. 또한 건축물의 건축 양식은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적인 색채를 띠고 있고, 층고가 높고, 벽체가 육중하면서도 문과 창개구부 주위 장식은 물론 처마장식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1960년대 중순부터는 전통건축 양식의 건물들이 지어졌다. “ 민족적 건축양식에 사회주의적 내용을 담은 건물을 지어야한다“ 는 김일성의 교시가 북한 건축계의 과제가 되었다. 우리 와는 달리, 전통건축의 지붕을 직설적으로 대입하여, 팔작지붕을 높이가 다르게 중첩시키고, 하부의 기단을 중요시하고, 층수가 높고 규모가 큰 건축물임에도 불구하고, 크게 느겨지지 않으면서도, 전체적으로 여러 개의 덩어리와 지붕으로 구성된 건물을, 하나의 건물로 느끼도록하고, 기단에서 강하게 수평성을 부여하여 처리하였다.
대표적으로는 평양의 옥류관, 평양 대극장, 인민 문화 궁전, 국제친선 전람관, 인민 대학습당 등의 건물이 이러한 특성을 가진다. 이 양식은 주체사상과 더불어 북한건축에서 꾸준히 강조되고 있다.
1970 년대 부터는 남한과의 체제경쟁에서 비롯된, 사회주의적인 우월성을 표현할 의도로, 거대하고,높은 건축물들이 많이 건립된다. 이 건물들은 기능성, 효용성,경제성 보다는 체제의 우월성을 나타내려는 의도와 국내외에 선전하고,자부심을 유도하기 위한 건축물들이다. 고려호텔, 유경호텔, 5.1(능라도)경기장, 주체사상탑 등이 사회주의 우월성을 표현하기위한 대표적인 기념비적 건축물들이다. 80년대에 들어서는 김정일의 교시“건축도 하나의 예술이다. 그러므로 건축창작도 반드시 비반복적이어야 한다.”에 따라 새로 짓는 건물들이 조형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되었다. 동평양극장, 청년중앙회관, 빙상관, 평양교예극장 등과, 창광거리, 광복거리 의 다양한 형태의 살림집등이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
북한은 인민 대중의 교육.훈련을 위한 극장.도서관,등의 집회시설과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활발하므로 탁아시설이 발달되어 있고, 아동을 위한 보조 교육 기관도 많이 건설 되었다.
북한의 건설공법은 주로 철근 콘크리트조로 되어있고, PC공법이 발달되었다고 한다. 세계에서 제일 높은 호텔인 유경 호텔도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다. 북한에서 현재 건설중인 건물에서 철골구조를 찾아보기에는 매우 힘들다. 이들의 건축을 소개하는 조선건축이란 계간호에서도 북한의 건설공법중 철골구조에 대해 논한것은 거의 없다. 시멘트는 질이 좋아서 수출도 하지만 기타 건자재와 마감재는 조악하기 그지없고, 건설현장의 기계화 수준도 많이 뒤떨어져 있다고 한다.(몇 년 전 우리 남한에 수입되어 들어온 시멘트 강도는 시험결과 우리제품에 비해 많이 뒤떨어 진다고 함.) 그래서 주요 건물의 유리 및 기타 마감재는 주로 동구권에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북한 건축 ३.0

kim sanghoon
건축


북한 건축 발전 과정
 
             
북한은 1945년 이후부터 한국과는 다른 길을 걸어 왔다. 서구의 영향을 받아 시작한 우리의 건축, 건설방식과는 달리 사회주의 국가인 북한의 건축환경과 문화는 특이한 방식으로 발전되었다. 모든 건물은 국가소유이며, 단지 개인은 이용권리만 가진다. 건물은 국가적 차원의 계획에 의해서만 지어진다. 국민 개개인은 규격화되어 있는 각 등급의 독립가옥이나 아파트 등을 신분등급에 따라 국가로부터 임대 형식으로 배정 받아 사용하고 있다. 한마디로 개인의 건축행위는 인정하지도 않으며 존재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건축행위를 규제하는 수단인 건축법 및 도시계획법은 존재하지 않고 교시나 건설령 등에 의해 건축행위를 제어하고 통제한다.
이러한 배경속에서 북한의 건축은 6.25동란 중 전체 건물의 70~80% 가 파괴되었고, 평양은 약 90%가, 주택은 약 60만호의 주택이 완전히 파괴되어, 극심한 주택난에 직면했다. 현재 평양의 건물은 모란봉의 최승대, 을밀대, 현무문 등을 제외하면 거의가 한국전쟁 이후 새로 지어진 것이다. 이조시대의 주요 건물들은 일본인이 헐어버리고, 일제 때의 도청과 화신백화점은 현 체제가 제거해 버렸다. 그리고 한국전쟁 때 나머지건물의 대부분이 폭격과 화재로 없어졌다고 한다.
휴전직후에 북한은 평양을 비롯한 파괴된 도시의 복구와 건설에 주력했으며, 농촌주택 건설은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화 되었다. 비록 전쟁 때 많은 것이 파괴되었지만 ,과거 사회주의 블록의 막대한 원조에 힘입어 시멘트, 강재, 요업공장 등이 짧은 기간 내에 복구.확장 되었으며, 50년 대말에는 평양을 비롯한 도시건설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동구 사회주의권 블록의 나라들이 도시건설을 직접 지원하는데, 헝가리가 평양, 구 동독이 함흥, 구 체코슬로바키아가 청진에서 도시 구획을 맡아서 계획에서부터 시공까지 해주었다. 이들이 건설한 3∼4층의 저층 건물들은 평양시에서는 70년대 중엽 재개발로 완전히 사라지고, 함흥과 청진에는 아직 일부분이 남아있다. 즉 근대 사회주의 건축이 그대로 전이되어온 시기이다.
전후 복구사업이 활발이 전개된 1950년대에는 주택의 표준화와 규격화가 건설의 가장 큰 과제였다. 주택의 표준화와 규격화는 주민들의 생활환경을 집단화하고, 밀집화하는 사회주의 생활양식을 지향하는 당시 북한 사회분위기와 짧은 기간내에 대량의 주택이 필요한 상황에서 건축 및 건설에서 필수적인 것이었다. 설계의 표준화와 규격화, 건재생산의 공업화, 건설의 기계화 등은 5ㆍ60년대에 북한사회가 직면한 주택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었다. 도시에서는 고층아파트가 농촌에서는 2∼3세대가 구성된 2층의 연립주택이 조립식 공법으로 건축되었다. 이시기에 지어진 건물의 특징은 개성이 없고 무미건조하다는 것이다.
북한은 최근 주택부족 해결을 위해 평양을 비롯한 원산, 청진, 남포 등의 도시에 5∼10층의 아파트를 기본으로 하면서, 40층 이상의 고층아파트를 건설하고 있으며, 농촌에는 2∼3층의 연립주택을 대량으로 건설하고, 또한 기존의 낡은 주택을 개량하는 사업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으나, 심긱한 경제위기로 인하여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북한 건축 २.0

북한의 도시전경과 윤곽형성의 개념
도시입구거리 디자인

kim sanghoon
건축



도시건축설계 접근방식
 
          
이부분은 북한의 건축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북한의 경우 우리의 건축법과 도시계획법과 같은 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건축법과 도시계획법의 목적은 개인의 건축행위의 제한과 공공의 이익을 유도하기 위함인데 토지에 대한 사유재산권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이 적용된다.
북한의 도시는 우리 도시의 생성이나 발전요인과는 달리 사상문화 교양의 장소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어 인위적인 계획과 통제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러한 기본적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평양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혁명사상을 인민들에게 교양할 수 있게 하는 사상 예술적 교육건축물을 도시에 중심축에 두는 것을 첫 번째로 한다. 특히 도시 구조와 중심부형성, 도시전경과 윤곽형성(도시의 Outline)을 비롯한 도시전반적인 형태에 있어 김일성 동상의 중심을 구심점으로 도시의 기본골격을 형성한다. 또한 간선가로망체계, 녹지체계를 비롯한 전반적 도시구조체계 역시 도시구조의 핵을 이루는 중심부(김일성의 동상)에 철저히 종속시키는 원칙을 세우고 있다.
이는 그들이 말하는 도시의 기능이 근로자의 삶의 장소 뿐만이 아닌 사회주의 교육의 장으로서 도시를 건설한다는 기본원칙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근로자들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며 휴식하는 장소인 거주지역, 근로자들의 노동장소인 산업지역과 간선가로 및 교통망 체계와 외부교통시설지역을 연계하여 도시의 시스템을 구성한다.
또한 북한의 도시형태를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접근방법은 도시의 전경과 윤곽형성이란 관점에서 계획설계 하여 도시를 하나의 커다란 조형물이라는 관점, 즉 총체적인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평양의 건물배치는 도시를 바라볼수 있는 일정한 거리와 공간면적을 가져야 하고 보기좋은 시점높이를 가져야하며 전망이 확보되어 눈앞이 가리워지지 말아야 한다는 원칙하에 거대하고 과장된 비효율적인 인동간격 및 거대한 기단이나 단차를 두어 주로 건물을 올려다보게하는 식의 수법이 적용하여 도시 웅장함을 강조하여 사회주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다. 즉 그들이 말하는 사회주의 건설의 상징으로서 도시의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다.
­중심부와 광장
북한의 도시 중심부의 계획 및 설계의 원칙은 사회주의 사상교양의 중요한 장소가 되게하여 김일성의 동상을 배치시키고 그 주변에 각종 사회주의관련 사적관이나 연구실등을 비롯한 기념비적 건축물을 배치하고 있다. 중심부에는 근로자들의 사회 정치생활과 문화생활조건을 원만히 보장될 수 있도록해야 한다는 원칙하에 군중집회, 시위, 경축야외 등 여러가지 행사들이 진행될 수 있는 중앙광장을 두고 넓은 간선가로와 직접 연결시켜고 있다.
즉 형태에 대한 접근방식은 과거 제국주의 시대의 도시형태와 비슷하고 입지하는 건물은 현재 자본주의 도시와는 용도가 다른 것이다. 자본주의의 논리에 의해 중심부에 지가에 대응할 능력이 있는 용도가 입지하는 것과는 다르게 철저히 공공건물 위주로 우선 배치되는 것이다.
중심부 광장은 주공장과 예비광장으로 구성되어 주로 군중집회와 시위에 지장이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평양의 경우 김일성광장의 중심건물인 인민대학습당은 광장과 공간규모에 따라 주변견물의 크기가 전반적인 도시전경과 윤광형성 등을 고려하여 건물과 척도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였다고 한다, 매우 과장된 스케일의 개념이다. 특히 전반적인 대칭구성을 광장의 기념성과 웅장성을 주고 부분적으로 비대칭구성으로 변화를 주었다고 하나 그 규모나 배치방업은 전형적인 기념비적이고 전시적인 배치설계기법이다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북한 건축

평양 국제문화회관커튼월의 현대적인 형태로 세계 각국의 문화를 소개 전시
kim sanghoon
건축


북한의 교통계획
 
             
해방전 부산-신의주간의 철도와 국도, 광주-서울-원산-청진간의 철도, 도로망을 주 골격으로 하는 이른바 X자형의 구조가 현재도 북한 교통의 근간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통의 근간은 서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북한의 독자적인 도로망의 체계의 필요성에 따라 평양-원산간의 동서축을 연결하는 도로가 개발되면서 H자형태의 국토근간의 도로망을 구축하게 된다.
험난한 지형으로 인해 북부내륙이나 중부지대의 경우 취약한 철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도로망 역시 평양-원산 간 고속도로를 근간으로 5개의 고속도로, 8개의 간선도로 등 열약한 체계이다. 수송부담률은 현재까지도 철도가 전체 수송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북한의 교통구조에 있어 현재 북한에서 도로계획의 지표로 활용하고 있는 도시가로망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적용하고 있다. 우선 주간선도로는 폭이 50-70m에 해당되는 도로로 도시중심부에 놓이며 중심광장과 직접연결된다. 도급이상 도시에만 적용된다. 시간 선도로는 폭이 40∼60m에 해당되며 일반적으로 큰 도시에만 적용한다. 구역간 간선도로는 폭이 30∼40m에 해당되며 큰 도시에서 상호간의 연계 또는 도시간선가로망과의 부차적 연계를 위해 적용하는 도로이다.
구획가로는 폭이 12∼25m에 해당되며 거주지역과 산업지역 등의 구획분할과 구획들 상호간의 연계를 보장해주는 목적으로 건설된다. 전용도로는 폭 9∼14m로 도로의 목적이 어느 한부분을 전용으로 이용되며 여기에는 공원도로와 화로도로(화물도로)들이 여기에 속한다. 공원도로는 폭이 7∼12m로 공원, 유원지에 배치되며 공원, 유원지간의 연계 또는 도시의 연계를 목적으로 하는 도로로 보행유동과 버스 승용차 자전거의 통행을 전담한다. 화물도로는 폭이 7∼8m로 주로 비거주지역에 배치되며 화물 운송 도로로 쓰인다.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북한 건축

실렬식­벽체구조(공공건물)

섹지아식­벽체구조건물(살림집)




함흥대극장함흥시에 위치한 반원형의 매스로 독특하고 화려한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극장전면에 높이 26m의 기둥 14개가 반원형의 차양과 전망대를 지지


만수대예술극장평양만수대에 위치한 예술극장으로 주로 전시공연의 목적으로 사용, 북한 주체예술의 전당이라고 스스로 평. 북한 천재건축가인 오병현의 작품














kim sanghoon
건축







도시의 거주지역
 
만수대예술극장평양만수대에 위치한 예술극장으로 주로 전시공연의 목적으로 사용, 북한 주체예술의 전당이라고 스스로 평. 북한 천재건축가인 오병현의 작품
북한의 도시거주지역의 계획목표는 주민들의 위생조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생활상 편리와 문화휴식을 보장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는 것에 두고 있다. 이는 과거 일제 식민지 시대에 계획되었던 도시는 거주지역안에 휴해로운 공장, 기업건물이 뒤섞이고 도시중심부에 철도가 관통하고, 경치좋은 바다와 강이 공장, 창고,철도에 의해 거주지역과 격리되는 등 많은 폐단이 있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하수도 등 도시인프라에 대한 기술시설망이 전혀 예견되지 못하여 이 역시 다수의 문제점을 야기시켰다고 스스로 평한다. 따라서 북한은 거주지역을 제일 경치가 좋은 장소에 건설하여 문화와 휴식을 위한 장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지로 이러한 개념이 평양, 함흥,개성 등의 대도시에 적용되었다. 즉 자본주의의 대도시의 자연발생적인 산업화와 공업화의 과정이 사회주의에 의해 철저한 계획으로 그 통제가 가능하였다는 것을 말하는 단적인 예이다.
­거주지역의 구성체계
거주지역은 그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살림집군, 살림집소구역, 살림집구역, 살림집지역으로 구성된다. 살립집군은 주민들의 1차 봉사시설을 가진 몇개의 주택건물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살림집 소구역은 매일 이용되는 봉사시설(편의시설)을 가진 살림집군의 결합을 의미한다. 살림집구역은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문화생활 및 사회봉사시설을 가진 몇개의 살림집 소구역으로 구성된다.
살림집지역은 몇개의 살림집구역으로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보통 대도시에만 해당된다. 여기에는 해당지역의 주민을 위한 교육, 문화, 보건, 상업 및 편의봉사기관, 기타 도시적인 의의를 가진 기관, 기업소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지역, 구역, 소구역, 경계선은 해당 거주단위의 자연조건들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소구역경계는 주로 간선도로망의 체계와 연결시켜 산정한다. 거주지 형성은 소도시의 경우도 몇개의 소구역으로 형성되고, 중도시는 몇개의 주택구역으로 구성, 대도시는 몇개의 주택지역으로 구성된다.
­거주지의 층수지대
북한에서는 층수지대라는 개념은 거주지역에 있다. 우리 도시계획법이나 도시설계에 있는 고도제한이나 층수제한과 유사한 제도이다. 이는 거주지역안의 주택의 층수를 제한하여 계획하는 방식인데 이는 가용토지가 제한되어 있는 북한의 현실에서는 도시지역에서는 단층집을 제한하고 일정한 층수로 건설해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러한 층수지대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단층지대는 1층으로 구성된 주거지역으로 도시형, 농촌형, 전원형, 살림집이 해당되고, 소층지대는 2-3층, 다층지대는 4-6층, 고층지대는 7층이상으로 구성된다. 특히 고층지대는 우리가 수도권 5개 신도시를 개발한 시기와 유사한 시점에 북한의 대도시에 10층 이상으로 집중적으로 개발되었다.
­거주지역의 주요 공공건물의 배치
북한이 거주지역에 공공건물을 건설하는 목적은 근로자들의 사상을 개조하고 물질문화적 생활환경을 원만히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공공건물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북한 공산당의 유일사상교양건물인 사적관, 연구실 등이 있으며 문화교육건물로는 학생소년궁전, 문화회관, 극장, 영화관, 구락부, 전람관, 도서관이 해당되며 보육 및 교육건물로는 탁아소, 유치원, 인민학교, 고등중학교, 전문학교, 대학, 간부양성기관과 치료예방건물로는 병원, 진료소, 조산원(산부인과병원), 아동병원, 요양소와 과학연구건물, 상업 및 급양건물(일종의 배급소)로는 백화점, 전문상점, 종합상점, 식당, 청량음료점과 편의봉사건물인 목욕탕, 이발소, 빨래집, 수리소 사무건물인 당 및 정권기관, 근로단체, 기관기업소, 청사 체육건물인 체육관, 수영관, 빙상관 운수체신건물인 역사, 방속국, 우편국, 체신소, 전신전화국로 구분된다.
여기서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북한의 이러한 공공건물의 배치개념은 주민들이 출퇴근에 편리하도록 분산집중배치가 아닌 드문드문 배치법(분산배치법)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한 곳에 집중배치하며 도시교통에 긴장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능과 목적에 따라 건축양식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북한 건축


유경호텔아직도 미완의 상태인 초고층 숙박시설로 85개층까지 객실, 그위는 회전 전망대 및 식당으로 구성 현재 공사중지중


고려호텔평양제일의 국제급 호텔로 신시가지인 칭광거리에 입지 트윈형의 형태로 유럽풍의 협소한 저층부처리가 특징


kim sanghoon
건축

건축에서 반복은 죽음이다
이말은 모더니즘을 탈피하려는 건축가나 기계적인 형태가 지배했던 활량한 도시경관을 비평하는 도시계획가의 말도 아니다. 바로 북한의 현재 최고권력자인 김정일의 말이다.

북한의 건축과 도시의 계획과 설계를 이해하는데는 그 한계가 매우 까다롭고 쉽지가 않다. 이는 북한의 건축과 도시의 계획과 설계의 방법이나 실무가 남다르게 어려워서가 아닌 바로 자료의 휘귀성과 제한성으로 인한 한계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북한의 건축을 이해하려면 우선 도시계획과 건축의 연계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원형묶음식 살림집
원형으로 처리된 고층 집합주거

북한의 건축과 도시계획은 현행 우리나라의 교육체계나 실무과 같이 분리되어 교육되어지거나 행해지지 않는다.
한 시대의 사상과 환경, 일상생활의 담론을 담는 용기인 도시의 형태를 인위적으로 조성하려는 도시계획과 이러한 도시계획적 방법론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표현되는 도시설계의 수법이 건축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로 북한에서는 작용한다.

이는 민간의 건축행위를 인정하지 않는 체체에서 건축의 형태를 유도하기 위한 도시설계의 방법론이 서구나 우리나라와는 달리 보다 위력적으로 작용하여 총제적인 입장에서 강력하게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건축의 경우는 건축을 구성하는 구조, 설비, 전기에 대한 설계 및 시공의 경우도 사용하는 용어를 제외하고는 현 우리의 상황과 비교해 커다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 다만 경제상황에 따라 현재 우리의 기술수준에 비해 낙후되고 그 공법도 매우 제한적일 뿐이다.

그러나 건축의 형태 및 용도는 사회체체의 이질성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물리적인 형태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남북으로 단절된지 어느 덧 50년의 세월이 되어 가고 있으나 북한에 대한 정보는 매우 빈약한 것이 현실이다. 흔히 접하는 북한소개의 언론매체를 통해 단순히 피상적인 인문사회적 정보에는 익숙해져있으나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를 접하기는 그리 쉽지않은 것이 작금의 현실에서 북한의 건축에 대한 소개는 단절되고 이질화된 건축문화를 알려 미래의 통일에 대비하여 건축분야에 도움이 되기를 바랄뿐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는 현재 북한에서 사용되고 있는 건축 및 도시계획의 용어를 그대로 실었다. 이는 가급적 북한의 건축현실을 그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대부분의 용어가 건축과 도시계획을 공부한 사람이면 누구나가 그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북한 국토개발 및도시계획의 기본이념
 
고려호텔평양제일의 국제급 호텔로 신시가지인 칭광거리에 입지 트윈형의 형태로 유럽풍의 협소한 저층부처리가 특징
유경호텔아직도 미완의 상태인 초고층 숙박시설로 85개층까지 객실, 그위는 회전 전망대 및 식당으로 구성 현재 공사중지중
북한의 도시계획은 대체로 사회주의 국가 도시계획의 이념원칙인 『도농(都農)간의 격차해소』, 『대도시 인구집중 폐단시정』, 『주택의 의도적 물적계획을 통한 빈부격차 해소』 라는 3가지의 커다란 이념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이념 추구를 위한 운영원칙 역시 다른 사회주의국가와 유사하게 ‘도시의 동질화를 유지하기 위한 주택 혹은 주거공간의 표준화’,‘도시규모 결정을 위한 도시인구에 대한 노동인구비율 책정’,‘도심지역의 상업화가 아닌 정치-문화-행정중심 개발’,'자족단위로서의 직주근접’ 등으로 축약할 수 있다. 북한의 국토개발 및 도시계획의 이념 또한 사회주의 국토개발 및 도시계획이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되어 개발되었다고 한다 . 이러한 국토개발원칙 중 가장 기본적인 「農·工 竝立」을 통해 도시와 농촌의 균형적 발전을 유도한다는 취지하에 농촌지역의 공간적인 거점단위를 ‘군’으로 설정하고 군의 중심지에 ‘읍’을 두고 있다. 또한 도시개발에 있어서도 ‘소규모 거점도시의 육성’‘기존 대도시의 도시정비 및 현대화’,‘대규모 국제도시화’를 지향하여 현재의 물리적 계획에 적용하고 있다.
북한 토지법 제 3 장(일반적으로 북한의 물리적 계획의 제어나 유도 수단인 법은 주로 군사적인 칙령과 유사하며 김일성의 교시가 근간이 되어 성문화된 것이다)에 근거한 ‘국토건설총계획’에 따라 30-50년의 예정기간을 두고 통일적이고 종합적인 국토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용 면에서는 사상적인 이념이 우선으로‘혁명전적지, 혁명사적지에 대한 관리와 토지의 개발, 환경보전, 방제대책, 주요기반시설의 입지와 규모 등 다양한 항목을 다루고 있다. 실지로 북한의 국토개발은 혁명사적지가 우선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건축물 역시 공공 용도의 시설이 대규모로 건설되었다. 북한의 모든 물리적인 계획의 특징은 우선 사상적인 이념이 우선이 된다. 이는 북한의 건축, 도시계획에서 모두 적용되는데 위의 내용을 제외하면 실지로 우리의 건축과 도시계획의 기본적인 골격과는 큰 차이는 사실상 찾아보기는 힘들다. 그러나 이념의 실현수단으로 건축과 도시계획이 계획되고 설계되기 때문에 실지로 나타나는 물리적 현상은 현재의 우리 건축 도시계획과는 매우 다른 양상이 되었다.
­도시의 구성 및 봉사요소
북한의 도시는 구성요소와 봉사요소로 나뉘는데 여기서 도시의 구성요소는 도시발전에 가장 근본적인 영향을 주는 기관과 기업소를 말한다. 여기에 속하는 시설로는 ① 해당도시의 당, 행정, 근로단체 기관 ② 경제기관, 기업소들인 산업기업소, 외부운수기관, 새로운 건설기업소 ③ 과학,문화, 보건기관인 고등교육기과는 과학연구기관, 보건기관 휴양 및 요양소등이 여기에 속한다. 도시의 봉사요소는 도시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고 도시주민들에게 직접 봉사하는 기관인 기업소를 말한다. 이러한 도시를 구성요소를 가지고 북한은 도시를 7등급으로 나뉘어 다음과 같이 분리한다.
­도시계획의 영역구분
북한의 도시계획 영역은 우리 도시계획법의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처럼 도시건설영역과 도시건설영역밖의 대지로 나뉘다. 이 도시건설영역은 다시 거주지역과 거주지역이 아닌 지역으로 나누다. 거주지역은 일반적으로 우리의 주거지역과 같은 것이며 거주지역이 아닌 지역으로는 산업지역, 외부교통지역, 창고지역, 공영시설지역 등으로 구분된다. 산업지역은 근로자들의 생산활동이 진행되는 장소로 산업기업소의 기본생산건물, 부대건물, 그외 관련된 시설, 동력시설, 산업지역안의 교통시설, 창고, 대지 등으로 구성된다.
외부교통지역은 주민등의 노동과 생활 및 휴식을 위하여 도시의 외부지역, 다른 도시와의 연계를 보장하기 위한 지대로서 여기에는 철도역과 그와 관련된 철도시설, 항구, 비행장, 시외자동차 교통시설들이 포함된다. 창고지역은 도시적인 공영창고와 국가적 의의를 가지는 여러 창고들이 배치되어 있는 지역이다. 공영시설지역은 도시의 급수 및 배수시설, 정화장, 오물처리장, 공동묘지 화장터등이 배치되는 지대이다. 도시건설영역밖에는 산림풍치, 교외문화휴식지대(바람막이 숲, 풍치림, 유원지, 야영소)가 배치된다. 우리의 도시계획의 용도지역제와 커다란 차이는 없으며 구성요소도 매우 유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다만, 지역지구에 대한 분류가 우리의 도시계획법보다는 간단한 편이며 자본주의에 있는 상업시설, 준주거 시설에 대한 규정은 없다.
청년호텔광복거리에 위치한 현대적호델
창광유치원북한 최고의 시설로 유아용 교육기관, 선전용 색채가 짙으며 시설은 현대적, 다만 유치원이 10층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07년 9월 30일 일요일

건축 문화 북한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 북한 건축물의 형태의 시기별 특징

초기 : 사회주의블록의 맹주인 (구)소련에 의해 영향을 받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건축‘이라는 이념에 따라 지어진 건물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초기에 북한의 건축을 주도한 건축가의 대부분이 소련에서 공부를 하고 소련의 건축 문화를 수입했다.

한국전쟁 말기 : 모스크바 건축아카데미를 졸업하고 돌아온 김정희가 평양시 총 계획도를 작성했으며, 우랄공대 건축 학부를 졸업한 이 형 등이 주축이 되어 다층 영구건물의 건축 및 건설을 주도하였다. 또한 건축물의 건축 양식은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적인 색채를 띠고 있고, 층고가 높고, 벽체가 육중하면서도 문과 창개구부 주위 장식은 물론 처마장식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1960년대중순 : 전통건축 양식의 건물을 지음.

1970년대 : 남한과의 체제경쟁에서 비롯된, 사회주의적인 우월성을 표현할 의도로 거대하고 높은 건축물들이 많이 건립 (ex:고려호텔, 유경호텔, 주체사상탑 등)

80년대 : 김정일의 교시“건축도 하나의 예술이다. 그러므로 건축창작도 반드시 비 반복적 이어야 한다.”에 따라 새로 짓는 건물들이 조형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됨

북한의 건설공법은 주로 철근 콘크리트조로 되어있고, PC공법이 발달되었다고 한다. 북한에서 현재 건설 중인 건물에서 철골구조를 찾아보기에는 매우 힘들다. 이들의 건축을 소개하는 조선건축이란 계간 호에서도 북한의 건설 공법 중 철골구조에 대해 논한 것은 거의 없다. 시멘트는 질이 좋아서 수출도 하지만 기타 건자재와 마감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건축설계환경

북한에서의 건축설계는 국가기관인 각 단위 도당 위원회에 소속되어 있는 도시설계사업소에서 주관하여 이루어진다. 북한은 대표적인 주요건축물만을 전문적으로 설계하는 백두산 건축 설계연구원 같은 건축설계사업소를 정무원 산하에 두고 운영한다고 한다. 인민설계가와 공훈설계가들을 비롯한 수십 명의 박사, 준박사급의 전문 설계가들과 이들을 뒷받침하는 젊은 설계가들로 조직 되었다고 한다.

건축에서 반복은 죽음이다
이말은 모더니즘을 탈피하려는 건축가나 기계적인 형태가 지배했던 활량한 도시경관을 비평하는 도시계획가의 말도 아니다. 바로 북한의 현재 최고권력자인 김정일의 말이다.

북한의 건축과 도시의 계획과 설계를 이해하는데는 그 한계가 매우 까다롭고 쉽지가 않다. 이는 북한의 건축과 도시의 계획과 설계의 방법이나 실무가 남다르게 어려워서가 아닌 바로 자료의 휘귀성과 제한성으로 인한 한계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북한의 건축을 이해하려면 우선 도시계획과 건축의 연계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원형묶음식 살림집
원형으로 처리된 고층 집합주거

북한의 건축과 도시계획은 현행 우리나라의 교육체계나 실무과 같이 분리되어 교육되어지거나 행해지지 않는다.
한 시대의 사상과 환경, 일상생활의 담론을 담는 용기인 도시의 형태를 인위적으로 조성하려는 도시계획과 이러한 도시계획적 방법론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표현되는 도시설계의 수법이 건축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로 북한에서는 작용한다.

이는 민간의 건축행위를 인정하지 않는 체체에서 건축의 형태를 유도하기 위한 도시설계의 방법론이 서구나 우리나라와는 달리 보다 위력적으로 작용하여 총제적인 입장에서 강력하게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건축의 경우는 건축을 구성하는 구조, 설비, 전기에 대한 설계 및 시공의 경우도 사용하는 용어를 제외하고는 현 우리의 상황과 비교해 커다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 다만 경제상황에 따라 현재 우리의 기술수준에 비해 낙후되고 그 공법도 매우 제한적일 뿐이다.

그러나 건축의 형태 및 용도는 사회체체의 이질성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물리적인 형태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남북으로 단절된지 어느 덧 50년의 세월이 되어 가고 있으나 북한에 대한 정보는 매우 빈약한 것이 현실이다. 흔히 접하는 북한소개의 언론매체를 통해 단순히 피상적인 인문사회적 정보에는 익숙해져있으나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를 접하기는 그리 쉽지않은 것이 작금의 현실에서 북한의 건축에 대한 소개는 단절되고 이질화된 건축문화를 알려 미래의 통일에 대비하여 건축분야에 도움이 되기를 바랄뿐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는 현재 북한에서 사용되고 있는 건축 및 도시계획의 용어를 그대로 실었다. 이는 가급적 북한의 건축현실을 그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대부분의 용어가 건축과 도시계획을 공부한 사람이면 누구나가 그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9월 29일 토요일

www.archi.kyoto-u.ac.jp

kim sanghoon
건축



The character of this department:

The current rapid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 have brought about a need to develop studies on architecture as a synthetic system as well as the studies in fundamental and advanced fields, in order to produce higher quality and multi-functional living space. Thus, it is essential to promote the integration of many different fields.

In the department, innovative methodologies and fundamental and advance knowledge in related fields are lectured on and investigated.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건축공학 전공과목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건축공학 전공과목


* 건축학 전공(과목명을 선택하시면 과목소개를 보실수 있습니다.)
학년 / 학기 Ⅰ Ⅱ
1  건축설계스튜디오 1-1 (5)
건축표현기법 (3)  건축설계스튜디오 1-2 (5)
건축공간과 형태 (3)
건축구조 1 (3)
2  건축설계스튜디오 2-1 (5)
건축과 컴퓨터 (3)
건축구조 2 (3)  건축설계스튜디오 2-2 (5)
건축사 1 (3)
건축구조역학 (3)
3  건축설계스튜디오 3-1 (5)
건축사 2 (3)
건축구조계획 (3)
건축재료계획 (3)  건축설계스튜디오 3-2 (5)
건축과 사회 (3)
건축환경 (3)
건축시공기술 (3)
4  건축설계스튜디오 4-1 (5)
한국건축 (3)
건축법과 제도 (3)
건축과 문화 (3)
도시공간설계 (3)  건축설계스튜디오 4-2 (5)
환경친화건축 (3)
건축설비계획 (3)
디지털 디자인 연구 (3)
조경설계 (3)
5  건축설계스튜디오 5-1 (5)
건축이론 (3)
건물시스템 1 (3)
건축과 기술 (3)
디지털 디자인 스튜디오 (3)
건축작품연구 (3)
실내설계 (3)
도시건축과 보전 (3)  건축설계스튜디오 5-2 (5)
건축실무 (3)
건물시스템 2 (3)
건축기획 (3)
현대건축이론 (3)
주거론 (3)
건축법 연습 (3)
아시아 건축과 도시 (3)
행위와 공간 (3)



* 건축공학 전공(과목명을 선택하시면 과목소개를 보실수 있습니다.)
학년 / 학기 Ⅰ Ⅱ
1
2  건축전산 1 (2)
건축구조시스템 (3)
건물열에너지 이론 (3)
공학수학 1 (3)  건축전산 2 (2)
건축환경계획 1 (3)
건축재료역학 (3)
건물유체시스템 (3)
공학수학 2 (3)
3  건축설계 1 (3)
건축환경계획 2 (3)
건축재료 (3)
철근콘크리트 1 (3)
건축구조해석 (3)
구조동역학 (3)
건축전기 및 조명이론 (3)  건축설계 2 (3)
건축사개론 (3)
건축설비 1 (3)
건축시공 (3)
건설관리 (3)
철골구조설계 (3)
토질 및 기초공학 (3)
4  건축환경설계 (3)
구조설계 (3)
건축설비 2 (3)
건설기술 (3)
철근콘크리트 2 (3)  건물유지 및 관리 (3)
건축측량 (3)
구조 및 재료실험 (3)
건설경영 (3)











San 56-1, shilim-dong, Gwanak-gu, Seoul, 151-742, Seoul National University [Tel : +82-2-880-7051 / Fax : +82-2-871-5518]
Copyright ⓒ 2004 by Dept. of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실내건축디자인 관련학과/실내인테리어관련학과 - 4년제



관련학과 - 4년제

가야대학교 - 실내디자인
http://interior.kaya.ac.kr

가톨릭대학교 - 생활과학부 / 소비자·주거
http://www.cuk.ac.kr/~conshous

건양대학교 - 기계건축토목공학부 / 실내건축
http://odin.konyang.ac.kr/~swb

경남대학교 - 인터디자인학부 / 공간조형디자인
http://www.kyungnam.ac.kr/edrm/home

경동대학교 - 디지털디자인학부 / 인테리어디자인
http://www.k1.ac.kr/digital

경산대학교 - 건축·건설시스템공학부
http://www.ksucc.ac.kr/college/archi

경성대학교 - 디자인학부 / 환경디자인
http://64.ks.ac.kr

경원대학교 - 실내건축학과
http://www.kyungwon.ac.kr/diamond

경희대학교 - 생활과학부 / 주거환경전공
http://www.khuhomec.com/housing

국민대학교 - 조형대학 / 실내디자인
http://d.zamaica.com

대구대학교 - 주거환경학과
http://www.daegu.ac.kr/dgu

덕성여자대학교 - 디자인학부
http://www.duksung.ac.kr/~idesign/

배재대학교 - 토목건축공학부 / 실내건축
http://www.paichai.ac.kr

부산대학교 - 아동.주거
http://www.pusan.ac.kr

상명대학교 - 디자인학부 / 실내디자인
http://design.smuc.ac.kr

상명대학교 - 소비자·주거
http://www.sangmyung.ac.kr

서울여자대학교 - 디자인학부 / 제품·실내디자인
http://www.swu.ac.kr

세명대학교 - 디자인학부 / 실내디자인
http://www.semyung.ac.kr/educate/college/design

숙명여자대학교 - 디자인학부 / 실내디자인
http://www.sookmyung.ac.kr

숭실대학교 - 건축학부 / 실내건축
http://soar.ssu.ac.kr

신라대학교 - 실내디자인공학과
http://lotus.silla.ac.kr/~interior

연세대학교 - 주거환경학과
http://hnid.yonsei.ac.kr

영산대학교 - 디자인학부 / 실내환경디자인
http://school.ysu.ac.kr/design

영산대학교 - 건축학부 / 실내건축
http://school.ysu.ac.kr/archi

용인대학교 - 디자인학부 / 환경디자인
http://www.yongin.ac.kr

청주대학교 - 산업디자인학과
http://cyber.chongju.ac.kr/~sandi/

한성대학교
http://www.hansung.ac.kr

한성대학교 - 미디어디자인컨텐츠학부 / 인테리어디자인전공
http://www.hansungdesign.ac.kr

한세대학교 - 디자인학부 / 실내건축디자인
http://www.hansei.ac.kr

한양대학교 - 생활과학부 / 실내환경디자인
http://www.interior.hanyang.ac.kr/

협성대학교 - 예술대학 / 실내디자인
http://home.hyupsung.ac.kr

호서대학교 - 예술학부 / 실내디자인
http://www.hoseo.ac.kr/~design

홍익대학교 - 미술대학/산업디자인 공간디자인
http://id.hongik.ac.kr

홍익대학교 - 미술대학 목조형 가구학과
http://waf.hongik.ac.kr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 공학)
건축공학자들은 가장 적은 재료로 가장 넓고 가장 튼튼한 집을 짓기 위해 오랜 기간 연구를 해왔다.

그 결과 20세기 최고의 천재 건축공학자로 불리는 리처드 버크민스터 풀러는 '풀러의 돔 (Fuller's Dome)'이라는 것을 고안하게 되었다.

정삼각형을 기본단위로 하여 이것이 여섯 개가 정육각형으로 모인 육각형 단위 (Hexamer)와 정삼각형 다섯 개가 정오각형으로 모인 오각형 단위(Pentamer)로 둥근 모양의 집을 지은 것이다.

디즈닐랜드에 가면 골프공처럼 보이는 건물이 있는데 이것이 풀러의 돔 디자인이다.

최근에 읽은 종교 잡지에서 아주 흥미로운 기사를 읽었다. 세상에서 가장 미세한 미생물인 바이러스들도 그들의 집을 짓고 사는데 그 구조가 바로 '풀러의 돔'과 같은 방식인 것을 미생물학자들이 발견했다는 것이다. 우연이라기 보다 미미한 바이러스조차도 최첨단 건축공학적 설계가 적용된 창조주의 작품인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이 글을 주장하고 있다.

건축 공학은 건축학과 공학을 합하여 놓은 학문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건축에 관한 구조 재료 계획 공법 역학 환경문제 등을 연구하게 된다. 이 전공은 디자인과 건설을 연결해 주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건축학과 공학은 두 전공 다 어렵고 도전적인 분야임에 틀림이 없다. 따라서 학생들은 헌신 열정 그리고 체력을 필요로 한다.

만일 학생이 두 분야에 다 관심이 있고 두 전공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면 건축 공학이 좋은 해결책이 될 것이다. 보편적으로 건축 공학은 입학 경쟁이 치열하다. 따라서 고등학교 시절 부터 철저한 준비가 필요로 한다.

역사적으로 볼때 건축학은 대부분 공과대에 속해 있었고 건축 공학이란 건축에 기술적 부분을 첨가시킨 분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 많은 건축학과에서 공학 보다 예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공대에서 분리되어 건축대를 새로 신설하는 경향이 늘었다. 이러한 이유로 건축 공학은 혼성적 공학으로 재정립되어 분석 디자인 빌딩 시스템의 건설 건축 분야에 속해 있었던 기능들과 토목 기계 그리고 전기 전자 공학을 포함하는 새로운 전공으로 거듭나게 된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건축 공학도들은 디자인에 관심을 기울이는 건축가와 공사에 실질적인 면을 추구하는 전기 엔지니어 같은 여러 엔지니어들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유익한 연결체 역할을 많이 하게 된다.

훌륭한 건축 공학도가 되기 위한 훈련 과정은 상당히 힘든 일이다. 그러나 전문인이 되면 지적으로 경제적으로 보상을 받게 되고 자신이 디자인한 건물이 세워지는 걸 볼 수 있다는 기쁨이 있을 것이다.

건축학 교육은 기술적인 부분이 감소 되어 가고 다른 공학 부분들은 더욱 일반적이 되어 버렸다. 결과적으로 디자인과 분석 능력을 갖춘 건축 공학자들을 더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많은 건축 공학도들은 디자인 직무에서 프로젝트 관리자 또는 행정 관리자로 자리를 옮기게 된다. 어떤이들은 졸업 후 자신의 회사를 차려 운영하기도 하며 컨설팅 엔지니어 분석 혹은 디자인 엔지니어 건축가 엔지니어링 관리자 건설 현장 관리자로 일하게 된다.

라파엘 비뇰리 - 종로타워 : 밀레니엄타워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kim sanghoon
건축

문화
나는 올해 초 완공된 서울 강남의 현대산업개발 건물을 보고 세 번 놀랐다. 그것이 지어지는 과정을 보며 어떻게 저런 이상한 것이 세워지고 있는가 하며 한 번 놀랐고, 두 번째는 그것이 베를린의 유태인박물관을 설계한 세계적인 건축가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작품이라는 사실에 놀랐고, 세 번째는 이 이상한 건물에 쏟아지는 찬사에 더욱 놀랐다.

나는 지금도 그의 유태인박물관을 처음 만났을 때의 감동을 잊지 못한다. 그것은 하나의 거대한 조각 작품이었다. 그것은 ‘부재(absence)의 미학, 절제와 비움의 건축’이었다. 빛과 어둠, 삶과 죽음, 발언과 침묵, 그 극대비 속의 긴장! 그런데 그런 그가 만든 이것은 무엇인가. 시끄럽고 요란할 뿐이다. 그는 실험을 한 것이다. 장난을 쳐본 것이다.

좋은 건축은 좋은 건축가와 좋은 건축주의 만남에서 시작한다. 아무리 건축가가 훌륭하더라도 건축주가 그 수준을 따라잡지 못한다면 불균형이 생긴다. 이 둘이 엇박자를 놓기 시작하면 건축이 아니라 처치곤란한 물건 덩어리만을 양산하고 말 뿐이다.

바야흐로 국제화의 시대, 세계화의 시대다. 문화적으로 문을 닫고 있으려야 불가능하다. 오히려 문은 활짝 열릴수록 좋다. 그러나 이 문이 밖으로는 열려 있고 안으로는 닫혀 있다면 말이 되겠는가.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의 건축 현실에서는 바로 이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고 있다. 국제 건축설계 경기가 국내 작가에게는 원천적으로 봉쇄되고 외국 건축가들에게만 주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처음에는 기업 등에서 시작되더니 이젠 관공서에까지 버젓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삼성문화재단에서 지은 리움미술관의 경우 3인의 외국건축가로만 구성, 완공하였고, 이화여대의 다목적 복합개발도 외국 건축가들에게만 참여 기회를 주었다. 서울시의 세운상가 재개발 사업도 국내 건축가는 하수인으로 외국 건축가와 묶어 짝을 이루게 하였다. 또 독일 베를린에 들어서게 될 한국대사관도 무명의 독일건축가에게 맡겨졌다. 국제적 관심사로 떠오른 부산영상문화센터도 외국의 7인 건축가에게만 설계경기 참여 기회를 주고 있다.

문화란 무엇인가.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업신여기는 것이 세계화이고 국제화인가. 문화는 자기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나를 찾아가는 과정이 문화다. 나를 내보이는 것, 즉 세계 속에 자신의 행동양식을 드러내는 행위이다. 나의 존재를 알리면서 상대의 존재를 알고, 서로 존중하며 공존하는 방식을 찾고 배우는 것이 문화다. 상대를 부정하거나 나를 부정하는 것은 문화가 아니라 정신질환이다. 콤플렉스다.

나는 서울에서 좋은 건축을 말하라면 주저 없이 김중업이 설계한 삼일빌딩과 김수근이 설계한 타워호텔을 꼽는다. 우리는 1970년대 춥고 가난했던 시절에도 걸출한 두 건축가를 배출했다. 그러나 이제 한국은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지만 건축에 대한 이해는 모멸감을 느낄 정도다. 세계 미술시장의 재고처리장으로 국제적 ‘봉’을 자처하더니만 이제는 그 불길이 건축으로 옮겨 붙었다. 졸부(猝富) 선언을 하고 나서는 꼴이다.

라파엘 비뇰리의 ‘종로 타워’를 보고 일본의 건축가 야마모토 리켄은 이것은 고도(古都) 서울에 대한 모독일 뿐만 아니라 아시아에 대한 모독이라고 말했다. 왜 공공기관에서까지 자국의 건축가를 홀대하는가. 경쟁의 참여 기회조차 박탈하는가. 우리나라를 세계 건축의 하치장·종말처리장으로 만들 것인지 아니면 우리 손으로 알뜰살뜰 가꿀 것인지 짚어볼 때다. 문화전략 없는 문화대국은 없다. 우리 모두 문화적으로 다시 태어나야 할 때다. (글 출처 :조선일보 2005/08/06)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아래 : 라파엘 비뇰리 - 종로타워 : 밀레니엄타워 (서울 종로)






개인이야기

2007년 9월 28일 금요일

관련단체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http://w3.uos.ac.kr/
http://w3.uos.ac.kr/~archi/main.cgi
1. 관련단체
대한건축사협회 대한건설협회 건설경영정보센터
한국건축가협회 건설연구정보센터(CRIC) 대한건축자재협회
한국건설기술인협회 건설계약연구원 한국 CALS협회
대한주택공사 Primavera Korea 대한전문건설협회
한국건설신기술협회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한국설비공학회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한국FM학회 한국그린빌딩협의회 대한설비건설협회
한국설비기술협회 IBS Korea 한국리모델링협회




2. 기관단체
건설교통부 법제처 행정자치부

3. 정보관련
(주)건축설계정보 건축정보은행 물가정보
아키엔드 건축정보 건설업체종합정보

4. 연구소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서울시립대 도시과학연구원 서울시립대 지진방재연구소

5. 건축도시조경학부
도시계획전공 조경전공 교통전공

2007년 9월 16일 일요일

버즈두바이 3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kim sanghoon
건축

탑 파고다

a tower; a pagoda
a steeple(뾰족탑)
an obelisk(방첨탑)
a turret(건물에 부속된 작은 탑)
a monument(기념탑).


문화

흙 토
(1) 흙. 토양.
(2) 땅.
(3) 나라.
(4) 오행(五行)의 하나.
(5) 土 〈흙 토〉





[榻] <명사> 길고 좁은 평상.

세계고층건물디자인

개인이야기

버즈 두바이 2.0




버즈 두바이 원제

kim sanghoon 스카이 라인 건축 디자인너 국제 컨설턴트

건축

사막과 진주등을 소재로 버즈 두바이라는 부동산 컨설팅을 설계하여 미국및 아랍형제국에 의뢰하였다.
지형 특성상 풍화작용을 염두하여 고층 빌딩을 설계 디자인 하였으며,미국및 한국 연구소에서 디자인 특성 및 성질을 감리하여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고층건물 특성에 관한 논문등 여러편을 건축 잡지에 게제,연제 하였다.


버즈 두바이 원제 <<바빌론>> 151층~160층
평면도 오피스텔 실내디자인 브이자형 및 알파벳형 실내디자이너
가구디자인 , 도어맨.


문화
두바이 사막과 항구도시 진주와 어업등이 주 생활이었던 1차산업지를 신도시화를 접목할생각에
진주와 세계지도 그리고,사랑이란 형상화를 접목하여.
하트 형상을 추가하였다.
도로및 빌딩 그리고,주변환경에 접목 할수있는 돗단배가 그곳에 친밀감을 더 하기위해서 였다.
문화와 건축은 역사적 배경을 두고 형상화 된다.
미국회사에서 빌딩 디자인에 대한 해석을 하였고.추가 상황없이 시공된 점이 아쉬움으로 남으면
기타 개인적 사정에 유권해석을 하여야 할 상황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국제 사회에서 사용되어 지는 본인에 건축디자인 건축물에 산업재산권은 김상훈에 있음을 명시합니다.
mailto://hoonsolo@gmail.com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미국회사에서 빌딩 디자인에 대한 해석을 하였고.추가 상황없이 시공된 점이 아쉬움으로 남으면
기타 개인적 사정에 유권해석을 하여야 할 상황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국제 사회에서 사용되어 지는 본인에 건축디자인 건축물에 산업재산권은 김상훈에 있음을 명시합니다.

風化作用
<명사>
≪지리≫ 풍화를 일으키는 모든 작용.
풍화작용

- 기계적풍화작용

- 화학적풍화작용

- 광물과풍화작용

- 풍화작용과지형

풍화작용(風化作用, weathering)
말의 뜻으로는 바람이 관여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고 대기와 물의 존재하에서 일어나는 기온의 변화와 화학적 변화 및 생물의 작용이 지표 및 지표 부근의 굳은 암석을 기계적으로 파괴시켜 바위를 조각돌로 만들고 이것을 더 작은 알갱이로 변하게 하는 기계적 풍화작용과, 암석을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조암광물의 성분을 점차로 제거시켜 다공질이고 파괴되기 쉬운 물질로 변하게 하는 화학적 풍화작용을 합하여 풍화작용이라고 한다.
풍화작용은 기반암을 작은 돌조각,
즉 암설로 부수어뜨려 유수
․바람
․빙하
․파랑 등의 기구가 쉽게 침식
․운반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평형작용을 돕는다는 뜻에서 정적 평형작용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기계적 풍화작용 (機械的 風化作用, mechanical weathering)
기계적 풍화작용이란 물과 온도와 압력을 받아 부서지는 것을 가리킨다. 암석이 기계적으로 부서질 때는 모나는 조립암설이 생산된다. 기계적 풍화작용은 기반암이나 암괴를 작은 암설로 부수어뜨림으로써 화학적 풍화작용을 돕는다. 이는 건조한 사막지방, 한랭한 극지방, 고산지대에서 우세하게 일어나며 기계적 풍화작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압력의 감소에 의한 팽창 (하중의 제거)

↑압력의 감소 (박리작용)
지하 깊은 곳에서 높은 압력을 받던 암석이 지표로 노출될 때 압력의 감소로 인해 부피가 팽창하면서 갈라지게 된다. 이렇게 기반암의 갈라진 틈은 절리 절리에는 형태에 따라 판상절리, 망상절리(파쇄절리)가 있다.라고 한다. 절리는 습곡 및 단층운동과 같은 지각변동이 일어날 때 집중적으로 발달하며, 장소에 따라서는 규칙적으로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압력의 감소, 즉 하중의 제거로 인해 발달하는 절리도 규칙성을 보이는데, 화강암의 채석장에서 그러한 절리를 관찰할 수 있다. 화강암이 지표에 노출될 때 발달하는 판상절리가 바로 그것이다.
판상절리의 발달이 양호하면, 기반암에서 넓적한 돌이 양파껍질처럼 겹겹이 떨어져 나온다. 이러한 현상을 박리라고 한다.

▸이질결정체의 성장

암석의 틈에 들어간 수분이 얼 때는 결정구조가 6각형인 빙정, 즉 암석의 광물들과는 성질이 다른 이질결정체가 형성되는 동시에 부피가 약 9% 늘어나 틈이 더욱 벌어지기도 하고 암석이 쪼개지기도 한다. 빙정의 이와 같은 쐐기작용은 한대지방과 수목선 위의 고산지대와 같이 동결과 융해가 자주 반복되는 한랭기후지역에서 활발하게 일어난다. 동결과 융해는 이른봄과 늦가을에 자주 반복되며, 그 빈도는 기후가 한랭할수록 높게 나타난다.

지표의 암석이 풍우·일사(日射)로 인하여 변질해 가는 과정. 풍화작용은 원인에 따라 물리적 풍화작용·화학적 풍화작용·생물적 풍화작용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물리적 풍화작용

온도변화에 따르는 조암광물의 차별적 팽창·수축과 물의 동결에 의한 부피팽창으로 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암석은 몇 가지의 조암광물의 집합체로서, 각각의 광물은 열전도율·열팽창계수가 다르므로 강렬한 일사로 표면이 가열되면 열변형력이 생긴다. 가열·냉각이 반복되면 표면에서부터 암편(岩片)이 벗겨진다. 이것을 박리작용(剝離作用)·박탈작용·인탈작용(鱗脫作用)이라 한다. 박리작용으로 양파모양구조라 하는 동심원상의 풍화절리(風化節理)가 발달한 박리면(剝離面)이 생긴다. 때로는 산불 등으로 박리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사막처럼 일교차가 큰 곳에서는 장기간의 온도변화가 암석을 파쇄(破碎)한다고 생각되어 왔다. 온도변화는 일사로도 나타나므로 일사풍화나 열적풍화라고도 한다. 기온이 물의 어는점 부근을 오르내리는 곳에서는 암석 중의 틈과 균열을 채우고 있는 물이 동결·융해를 되풀이하여 암석을 동결파쇄한다. 예전에는 포화된 물이 동결팽창하여 암석이 파쇄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최근에는 불포화상태의 물도 암석내에서 파쇄력을 작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암(泥岩)이나 혈암(頁岩)처럼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진 암석에서는 흡습건조로 슬레이킹(slaking)이라 하는 이완작용(弛緩作用)이 일어난다. 건조지역에서는 수분의 증발에 따라서 석출된 염분(鹽分)이 결정화하여 암석을 붕괴시킨다. 이 현상을 풍해(風解) 또는 염류풍화(鹽類風化)라 한다.

화학적 풍화작용

대기나 물 또는 이 둘의 공동작용으로 지표면 및 지표 가까이의 암석·광물이 화학적으로 변질되는 것을 말한다. 물·산소·질소산화물·이산화탄소 등의 수용액이 암석에 접촉하여 용해·산화·가수분해·수화(水和) 이온교환 등을 일으킨다. 풍화작용의 첫 단계로 용해가 이루어진다. 무기산이나 유기산을 함유한 물은 용해능력이 크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빗물에 녹아서 탄산이 되어 탄산염광물을 분해하므로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석회암은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물에 녹아서 카르스트지형을 형성한다. 산화는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가장 일반적인 풍화작용으로 철과 망간광물이 쉽게 산화된다. 수화작용은 광물에 물이 첨가되어 부피가 늘어나는 것으로 고온다습한 지역에서 일어난다. 또한 점토광물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철석이 물과 화합하여 갈철석이 되고 규산염이 물과 화합하여 고령토·사문석·제올라이트(沸石) 등을 이룬다. 수중 광물의 나트륨이나 칼륨 이온은 수소이온과의 이온교환으로 가수분해된다.

생물학적 풍화작용
생물학적 풍화는 물리·화학적으로 작용한다. 토양 세균은 황·철 등을 산화시키고 동식물의 호흡작용은 이산화탄소의 증가를 가져온다. 식물이 죽어 유기산(有機酸)이 생기면 암석을 분해한다. 물리적 풍화작용과 화학적 풍화작용은 병행해서 일어나는데, 고온다습한 지역에서는 화학적 풍화작용이 우세하고 건조지역이나 한랭지역에서는 물리적 풍화작용이 우세하다. 또한 인간활동에 의한 풍화작용도 있다.

버즈 두바이 2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kim sanghoon
건축
시멘트 공법을 위주로 무게와 하중에 비례를 생각하여
선택 재료를 강화유리및 초강력시멘트
하중,풍력,풍화작용등을 고려 고층빌딩에 사용되어지는 재료를 연구 벽돌공법실제 예를
연구하였다.
탑과 풍화
명동성당 벽돌공법
성곽에 대한 쌓기등 수많은 유적과 로마 대운동경기장 그리고,토성등에서 연상하여 디자인에 가미하였다.
디자인의미와 재료를 복합사용함에 있어,원작에 준 하여야 작가적, 예술적 의미를 살려 주어야한다.
시공자와 설계자는 감리자에 대한해석을 본인에 통보하여할 의미가 충분하다.

시각적 의미,공간적의미에서 인체적 각도를 생각하여 높이와 공간 활용등.
아파트 디자인과 생활공간등에 접목 되어지는 거리감등에서도 각은 그중요성을 강조하고있다.

문화
시멘트

[cement]
<명사> 토목·건축 재료로 쓰는 접합제. 진흙이 섞인 횟돌이나 석고를 구워 가루로 만든 것인데 물에 개어 바르고 그것이 마른 뒤에는 물에 침해되지 않는다.
<동의어> 인조 석분.
마그네시아-시멘트

[독일어 Magnesia cement]
<명사> 염화마그네슘 용액에 산화마그네슘을 섞어 만든 시멘트. 다른 것과 섞어서 건축 재료를 만드는 데 쓰인다.
반토-시멘트

[礬土cement]
<명사> =알루미나 시멘트. 백색-시멘트

[白色cement]
<명사> 철분의 함량이 1% 안팎인 흰 시멘트. 시멘트-모르타르

[cement mortar]
<명사> 시멘트·모래·석회 따위를 섞어 만든 접합체. 시멘트-콘크리트

[cement concrete] <명사> 시멘트를 모래·자갈 따위와 한데 섞어 이긴 콘크리트. 알루미나-시멘트

[네덜란드어 alumina 영어 cement]
<명사> 고급 시멘트의 하나. 보크사이트와 횟돌을 주원료로 만드는데 빨리 굳어지므로 긴급 공사용, 내화용으로 쓴다.
<동의어> 반토시멘트. 고령-토

[高嶺土]
<명사> ≪공업≫ 바위 속에 있는 질돌이 풍화 작용으로 분해되어 생기는, 흰빛이나 잿빛의 흙. 도자기나 시멘트의 원료 따위로 쓰임.
<동의어> 고량토. 고릉토. 백토(白土)③.

믹서
[mixer]
<명사>
≪토목≫ 시멘트·모래·자갈·물 따위를 뒤섞어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쓰는 기계.


미장이

<명사> 집을 짓거나 고칠 때, 흙이나 회·시멘트 따위를 바르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
<동의어> 미장공. 이장(泥匠). 토공

모르타르

≪화학≫
회나 시멘트에 모래를 섞고 물로 갠 물건. 주로 벽돌과 석재를 붙이는 데 쓴다.



보도-블록

[步道 block]
<명사> 보도에 덮어 까는 시멘트나 벽돌 따위로 만든 블록.

슬레이트

[slate]
<명사>
≪건축≫
① 지붕을 덮는 데 쓰는 천연 점판암의 얇은 판.
② 시멘트와 석면을 물로 개어 센 압력으로 눌러서 만든 판. 지붕을 덮거나 벽을 치는 데 쓴다.

콘크리트

[concrete]
<명사> 시멘트·모래·자갈을 섞고 물에 이겨 굳힌 것.

세계고층건물디자인
개인이야기

버즈 두바이 그림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