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9월 16일 일요일

버즈두바이 3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kim sanghoon
건축

탑 파고다

a tower; a pagoda
a steeple(뾰족탑)
an obelisk(방첨탑)
a turret(건물에 부속된 작은 탑)
a monument(기념탑).


문화

흙 토
(1) 흙. 토양.
(2) 땅.
(3) 나라.
(4) 오행(五行)의 하나.
(5) 土 〈흙 토〉





[榻] <명사> 길고 좁은 평상.

세계고층건물디자인

개인이야기

버즈 두바이 2.0




버즈 두바이 원제

kim sanghoon 스카이 라인 건축 디자인너 국제 컨설턴트

건축

사막과 진주등을 소재로 버즈 두바이라는 부동산 컨설팅을 설계하여 미국및 아랍형제국에 의뢰하였다.
지형 특성상 풍화작용을 염두하여 고층 빌딩을 설계 디자인 하였으며,미국및 한국 연구소에서 디자인 특성 및 성질을 감리하여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고층건물 특성에 관한 논문등 여러편을 건축 잡지에 게제,연제 하였다.


버즈 두바이 원제 <<바빌론>> 151층~160층
평면도 오피스텔 실내디자인 브이자형 및 알파벳형 실내디자이너
가구디자인 , 도어맨.


문화
두바이 사막과 항구도시 진주와 어업등이 주 생활이었던 1차산업지를 신도시화를 접목할생각에
진주와 세계지도 그리고,사랑이란 형상화를 접목하여.
하트 형상을 추가하였다.
도로및 빌딩 그리고,주변환경에 접목 할수있는 돗단배가 그곳에 친밀감을 더 하기위해서 였다.
문화와 건축은 역사적 배경을 두고 형상화 된다.
미국회사에서 빌딩 디자인에 대한 해석을 하였고.추가 상황없이 시공된 점이 아쉬움으로 남으면
기타 개인적 사정에 유권해석을 하여야 할 상황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국제 사회에서 사용되어 지는 본인에 건축디자인 건축물에 산업재산권은 김상훈에 있음을 명시합니다.
mailto://hoonsolo@gmail.com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미국회사에서 빌딩 디자인에 대한 해석을 하였고.추가 상황없이 시공된 점이 아쉬움으로 남으면
기타 개인적 사정에 유권해석을 하여야 할 상황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국제 사회에서 사용되어 지는 본인에 건축디자인 건축물에 산업재산권은 김상훈에 있음을 명시합니다.

風化作用
<명사>
≪지리≫ 풍화를 일으키는 모든 작용.
풍화작용

- 기계적풍화작용

- 화학적풍화작용

- 광물과풍화작용

- 풍화작용과지형

풍화작용(風化作用, weathering)
말의 뜻으로는 바람이 관여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고 대기와 물의 존재하에서 일어나는 기온의 변화와 화학적 변화 및 생물의 작용이 지표 및 지표 부근의 굳은 암석을 기계적으로 파괴시켜 바위를 조각돌로 만들고 이것을 더 작은 알갱이로 변하게 하는 기계적 풍화작용과, 암석을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조암광물의 성분을 점차로 제거시켜 다공질이고 파괴되기 쉬운 물질로 변하게 하는 화학적 풍화작용을 합하여 풍화작용이라고 한다.
풍화작용은 기반암을 작은 돌조각,
즉 암설로 부수어뜨려 유수
․바람
․빙하
․파랑 등의 기구가 쉽게 침식
․운반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평형작용을 돕는다는 뜻에서 정적 평형작용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기계적 풍화작용 (機械的 風化作用, mechanical weathering)
기계적 풍화작용이란 물과 온도와 압력을 받아 부서지는 것을 가리킨다. 암석이 기계적으로 부서질 때는 모나는 조립암설이 생산된다. 기계적 풍화작용은 기반암이나 암괴를 작은 암설로 부수어뜨림으로써 화학적 풍화작용을 돕는다. 이는 건조한 사막지방, 한랭한 극지방, 고산지대에서 우세하게 일어나며 기계적 풍화작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압력의 감소에 의한 팽창 (하중의 제거)

↑압력의 감소 (박리작용)
지하 깊은 곳에서 높은 압력을 받던 암석이 지표로 노출될 때 압력의 감소로 인해 부피가 팽창하면서 갈라지게 된다. 이렇게 기반암의 갈라진 틈은 절리 절리에는 형태에 따라 판상절리, 망상절리(파쇄절리)가 있다.라고 한다. 절리는 습곡 및 단층운동과 같은 지각변동이 일어날 때 집중적으로 발달하며, 장소에 따라서는 규칙적으로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압력의 감소, 즉 하중의 제거로 인해 발달하는 절리도 규칙성을 보이는데, 화강암의 채석장에서 그러한 절리를 관찰할 수 있다. 화강암이 지표에 노출될 때 발달하는 판상절리가 바로 그것이다.
판상절리의 발달이 양호하면, 기반암에서 넓적한 돌이 양파껍질처럼 겹겹이 떨어져 나온다. 이러한 현상을 박리라고 한다.

▸이질결정체의 성장

암석의 틈에 들어간 수분이 얼 때는 결정구조가 6각형인 빙정, 즉 암석의 광물들과는 성질이 다른 이질결정체가 형성되는 동시에 부피가 약 9% 늘어나 틈이 더욱 벌어지기도 하고 암석이 쪼개지기도 한다. 빙정의 이와 같은 쐐기작용은 한대지방과 수목선 위의 고산지대와 같이 동결과 융해가 자주 반복되는 한랭기후지역에서 활발하게 일어난다. 동결과 융해는 이른봄과 늦가을에 자주 반복되며, 그 빈도는 기후가 한랭할수록 높게 나타난다.

지표의 암석이 풍우·일사(日射)로 인하여 변질해 가는 과정. 풍화작용은 원인에 따라 물리적 풍화작용·화학적 풍화작용·생물적 풍화작용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물리적 풍화작용

온도변화에 따르는 조암광물의 차별적 팽창·수축과 물의 동결에 의한 부피팽창으로 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암석은 몇 가지의 조암광물의 집합체로서, 각각의 광물은 열전도율·열팽창계수가 다르므로 강렬한 일사로 표면이 가열되면 열변형력이 생긴다. 가열·냉각이 반복되면 표면에서부터 암편(岩片)이 벗겨진다. 이것을 박리작용(剝離作用)·박탈작용·인탈작용(鱗脫作用)이라 한다. 박리작용으로 양파모양구조라 하는 동심원상의 풍화절리(風化節理)가 발달한 박리면(剝離面)이 생긴다. 때로는 산불 등으로 박리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사막처럼 일교차가 큰 곳에서는 장기간의 온도변화가 암석을 파쇄(破碎)한다고 생각되어 왔다. 온도변화는 일사로도 나타나므로 일사풍화나 열적풍화라고도 한다. 기온이 물의 어는점 부근을 오르내리는 곳에서는 암석 중의 틈과 균열을 채우고 있는 물이 동결·융해를 되풀이하여 암석을 동결파쇄한다. 예전에는 포화된 물이 동결팽창하여 암석이 파쇄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최근에는 불포화상태의 물도 암석내에서 파쇄력을 작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암(泥岩)이나 혈암(頁岩)처럼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진 암석에서는 흡습건조로 슬레이킹(slaking)이라 하는 이완작용(弛緩作用)이 일어난다. 건조지역에서는 수분의 증발에 따라서 석출된 염분(鹽分)이 결정화하여 암석을 붕괴시킨다. 이 현상을 풍해(風解) 또는 염류풍화(鹽類風化)라 한다.

화학적 풍화작용

대기나 물 또는 이 둘의 공동작용으로 지표면 및 지표 가까이의 암석·광물이 화학적으로 변질되는 것을 말한다. 물·산소·질소산화물·이산화탄소 등의 수용액이 암석에 접촉하여 용해·산화·가수분해·수화(水和) 이온교환 등을 일으킨다. 풍화작용의 첫 단계로 용해가 이루어진다. 무기산이나 유기산을 함유한 물은 용해능력이 크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빗물에 녹아서 탄산이 되어 탄산염광물을 분해하므로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석회암은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물에 녹아서 카르스트지형을 형성한다. 산화는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가장 일반적인 풍화작용으로 철과 망간광물이 쉽게 산화된다. 수화작용은 광물에 물이 첨가되어 부피가 늘어나는 것으로 고온다습한 지역에서 일어난다. 또한 점토광물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철석이 물과 화합하여 갈철석이 되고 규산염이 물과 화합하여 고령토·사문석·제올라이트(沸石) 등을 이룬다. 수중 광물의 나트륨이나 칼륨 이온은 수소이온과의 이온교환으로 가수분해된다.

생물학적 풍화작용
생물학적 풍화는 물리·화학적으로 작용한다. 토양 세균은 황·철 등을 산화시키고 동식물의 호흡작용은 이산화탄소의 증가를 가져온다. 식물이 죽어 유기산(有機酸)이 생기면 암석을 분해한다. 물리적 풍화작용과 화학적 풍화작용은 병행해서 일어나는데, 고온다습한 지역에서는 화학적 풍화작용이 우세하고 건조지역이나 한랭지역에서는 물리적 풍화작용이 우세하다. 또한 인간활동에 의한 풍화작용도 있다.

버즈 두바이 2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kim sanghoon
건축
시멘트 공법을 위주로 무게와 하중에 비례를 생각하여
선택 재료를 강화유리및 초강력시멘트
하중,풍력,풍화작용등을 고려 고층빌딩에 사용되어지는 재료를 연구 벽돌공법실제 예를
연구하였다.
탑과 풍화
명동성당 벽돌공법
성곽에 대한 쌓기등 수많은 유적과 로마 대운동경기장 그리고,토성등에서 연상하여 디자인에 가미하였다.
디자인의미와 재료를 복합사용함에 있어,원작에 준 하여야 작가적, 예술적 의미를 살려 주어야한다.
시공자와 설계자는 감리자에 대한해석을 본인에 통보하여할 의미가 충분하다.

시각적 의미,공간적의미에서 인체적 각도를 생각하여 높이와 공간 활용등.
아파트 디자인과 생활공간등에 접목 되어지는 거리감등에서도 각은 그중요성을 강조하고있다.

문화
시멘트

[cement]
<명사> 토목·건축 재료로 쓰는 접합제. 진흙이 섞인 횟돌이나 석고를 구워 가루로 만든 것인데 물에 개어 바르고 그것이 마른 뒤에는 물에 침해되지 않는다.
<동의어> 인조 석분.
마그네시아-시멘트

[독일어 Magnesia cement]
<명사> 염화마그네슘 용액에 산화마그네슘을 섞어 만든 시멘트. 다른 것과 섞어서 건축 재료를 만드는 데 쓰인다.
반토-시멘트

[礬土cement]
<명사> =알루미나 시멘트. 백색-시멘트

[白色cement]
<명사> 철분의 함량이 1% 안팎인 흰 시멘트. 시멘트-모르타르

[cement mortar]
<명사> 시멘트·모래·석회 따위를 섞어 만든 접합체. 시멘트-콘크리트

[cement concrete] <명사> 시멘트를 모래·자갈 따위와 한데 섞어 이긴 콘크리트. 알루미나-시멘트

[네덜란드어 alumina 영어 cement]
<명사> 고급 시멘트의 하나. 보크사이트와 횟돌을 주원료로 만드는데 빨리 굳어지므로 긴급 공사용, 내화용으로 쓴다.
<동의어> 반토시멘트. 고령-토

[高嶺土]
<명사> ≪공업≫ 바위 속에 있는 질돌이 풍화 작용으로 분해되어 생기는, 흰빛이나 잿빛의 흙. 도자기나 시멘트의 원료 따위로 쓰임.
<동의어> 고량토. 고릉토. 백토(白土)③.

믹서
[mixer]
<명사>
≪토목≫ 시멘트·모래·자갈·물 따위를 뒤섞어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쓰는 기계.


미장이

<명사> 집을 짓거나 고칠 때, 흙이나 회·시멘트 따위를 바르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
<동의어> 미장공. 이장(泥匠). 토공

모르타르

≪화학≫
회나 시멘트에 모래를 섞고 물로 갠 물건. 주로 벽돌과 석재를 붙이는 데 쓴다.



보도-블록

[步道 block]
<명사> 보도에 덮어 까는 시멘트나 벽돌 따위로 만든 블록.

슬레이트

[slate]
<명사>
≪건축≫
① 지붕을 덮는 데 쓰는 천연 점판암의 얇은 판.
② 시멘트와 석면을 물로 개어 센 압력으로 눌러서 만든 판. 지붕을 덮거나 벽을 치는 데 쓴다.

콘크리트

[concrete]
<명사> 시멘트·모래·자갈을 섞고 물에 이겨 굳힌 것.

세계고층건물디자인
개인이야기

버즈 두바이 그림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버즈 두바이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