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7월 30일 월요일

관 ,우체국


kim sanghoon
건축
관모 冠帽
모자의 총칭.
관을 형상화 하여 디자인 하였다.건축디자인너 김상훈


문화
조선시대 관의 종류는 예복용으로 면류관(冕旒冠)·원유관(遠遊冠)·복두(頭) 등이 있었고, 일상용으로는 갓·망건(網巾)·절풍건(折風巾)·유건(儒巾)·평량자(平凉子)·전립(戰笠), 제복용으로는 굴건(屈巾)·상립(喪笠), 서민용으로는 초립(草笠)·마미립(馬尾笠)·부죽립(付竹笠)·승결립(繩結笠), 부인용으로는 가리마·족두리·너울 등, 기타 특수용으로는 금관(金冠)·익선관(翼善冠)·통천관(通天冠) 등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관은 관복·예복을 입을 때 망건 또는 탕건(宕巾) 위에 영(이엉)으로 턱을 매어 썼다.

관을 쓰던 역사는 매우 오래되어 고구려 벽화나 신라·백제의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 등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관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북사 北史〉·〈신당서 新唐書〉 등을 보면 고구려 사람들은 변(弁) 모양의 절풍건을 썼으며, 여기에 새깃을 달아 조우관(鳥羽冠)이라 불렀다. 그외 관리들은 '소골'이란 관을 썼으며, 이외에 백라관(白羅冠)·청라관(靑羅冠) 등이 있었다고 한다. 백제도 3세기 중엽 고이왕 때 관복제도를 제정한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관을 착용했을 것으로 보이며, 일상적으로는 방갓(가는 대오리로 삿갓 비슷하게 결어서 만든 갓)을 이용했다. 무령왕릉 출토품인 금제관식은 왕과 왕비의 관을 짐작하게 해준다. 신라는 5~6세기에 만든 여러 고분에서 상류층의 예관(禮冠)인 금관들이 출토되었다.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다양한 관들은 대개 조선시대에 이르러 복제의 정립과 함께 완성된 것들이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