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8월 15일 수요일

상하이세계금융센타



건물 층별 구조
















디자인 변화

1।도 2।원도3।왕도,구도 디자인 원작자 김상훈
도리(동양철학)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道理). 도는 삶의 ‘길’이며 사람이 사람답게 살기 위하여 필요한 생활방식(way of life).

।칼 도

(1) 칼. (2) 돈의 이름. 부수 : 刀 ()〈칼 도〉部 | 총획 : 2획단어 예 : 도검(刀劍), 도규(刀圭), 도부수(刀斧手)

칼 검
(1) 칼. (2) 검법. 부수 : 刀 ()〈칼 도〉部 | 총획 : 15획단어 예 : 검객(劍客), 검극(劍戟), 검도(劍道)


디자인의 변화



2번에서 3번으로 변한 이유는, 중국인의 극심한 반대에 부딛혔기 때문이다.
(일본의 히노마루와 비슷하다는 이유)

출처 : Tong - hayana님의 building[data]통


중국인들의 반일(反日) 감정으로 2008년 준공 예정인 중국 최고층 빌딩 상하이(上海) 세계금
융센터의 건물 디자인이 바뀌었다.

높이 492m에 101층, 총공사비 약 9600억 원을 들여 지난해부터 상하이 푸둥(浦東)에 건설
중인 이 건물은 당초 꼭대기에 지름 50m의 둥근 구멍을 두어 빌딩에 미치는 바람의 압력을
줄이고 독특한 미관을 살리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 구멍이 "일장기를 닮았다"는 중국인들의 반발에 따라 사각형으로 바뀌었다고한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kim sanghoon
건축

문화
상하이를 경제, 금융, 무역의 중심으로 키우려는 것은 중국정부의 가장 중요한 경제전략 중의 하나로 손꼽을 수 있다. 20여년의 개혁개방 노력과 실천으로 현재의 상하이는 경제, 금융, 무역중심지로 태어나기 위한 기초적 인프라를 이미 구축한 상태이다. 최근 들어서도 여전히 중국내의 금융중심지로 자리를 구축하고 있지만 국제금융중심지가 되기까지는 아직도 멀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상하이는 이미 중국 대륙의 금융교역중심지로 입지를 굳힌 상태이다. 우선 중국 양대 증권교역소중의 하나인 상하이증권교역소가 자리잡고 있으며 거래등록자도 이미 4,000여만명에 달한다. 또한 중국외환교역센타가 위치하여 은행간의 자금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70여 외자금융기구가 들어서 있는 상태이다. 이외에도 외환시장, 보험시장, 증권시장, 재화시장, 백은시장, 곧 설치될 황금시장 등의 다양한 금융거래시장이 형성되어 있을 정도이다.

상하이가 국제적 금융중심지로 자리를 잡기위해서는 최소한 20-30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경제 및 무역의 끊임없는 성장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디자인너 김상훈


1.원작명 칼 <아명 상하이 세계금융센타>


2.원작명 돗

개방 금융 교환 [ 開放金融交換, Open Financial Exchange, OFX ]
관 서버 간 직접 연결과 데이터 동기화 및 오류 복구 기능을 지원한다. 금융 서비스는 은행이나 증권 회사 계좌 잔고, 거래 내역 및 결산서, 신용 카드 거래 내역 및 계산서 등의 조회, 각종 이체, 수표 정지 지시 등 금융 업무와 관련된 활동과 납세 서식 지원 등이 있다

금융 자산 관리 서비스 [ 金融資産管理-, cash management service, CMS ]
비스를 받는다. 금융 자산 관리 서비스(CMS)의 특징은 기업과 은행의 컴퓨터가 공동 CMS 컴퓨터 센터의 컴퓨터를 경유하여 접속할 수 있어서 복수 은행이 가지고 있는 기업의 계좌를 일괄 관리할 수 있으므로, 복수 은행과의 예금이나 융자금의 거래 명세를 한 번에 조회


완공시
Shanghai World Financial Center는 Jinmao Tower(421m)보다 더 높은 505m의 초고층 빌딩. 그 바로 옆 부지에도 400m이상의 고층빌딩이 세워질 전망
출처 : Tong - hayana님의 building[data]통

상하이 세계금융센터 건물디자인 변경프로젝트 영어 명칭 : Shanghai World Financial Center

중국 명칭 : 上海环球金融中心



높이 505m 중국의 제1 경제도시인 상하이의 중심 푸둥에 건설중인 메갈로급 마천루, 꼭대기 부분이 참 특이하며, 그에 따른 전망대(observatory)의 품질도 일본 롯본기 힐즈를 능가할 것으로 예상.





디자인의 변화



2번에서 3번으로 변한 이유는, 중국인의 극심한 반대에 부딛혔기 때문이다.
(일본의 히노마루와 비슷하다는 이유)

출처 : Tong - hayana님의 building[data]통


중국인들의 반일(反日) 감정으로 2008년 준공 예정인 중국 최고층 빌딩 상하이(上海) 세계금
융센터의 건물 디자인이 바뀌었다.

높이 492m에 101층, 총공사비 약 9600억 원을 들여 지난해부터 상하이 푸둥(浦東)에 건설
중인 이 건물은 당초 꼭대기에 지름 50m의 둥근 구멍을 두어 빌딩에 미치는 바람의 압력을
줄이고 독특한 미관을 살리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 구멍이 "일장기를 닮았다"는 중국인들의 반발에 따라 사각형으로 바뀌었다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