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4월 5일 토요일

행정중심복합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 현황



kim sanghoon
건축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 연기·공주 - 풍광이 명미한 「삼산이수三山二水」의 고장
주산은 원수산, 좌청룡은 전월산, 명당수는 금강
예부터「산자수명山紫水明」의 고장으로 유명한 연기·공주는 주산이 되는 유서깊은 원수산과 함께 전월산과 괴화산이라는 명산이 있어 삼산(三山)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이수(二水)가 되는 동쪽의 금강과 북쪽에서 흘러내린 미호천은 다시 연기군 동면 합강리에서 합해지면서 뛰어난 풍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산과 물이 어우러져 수려한 자연을 빚어내고 있는 유서 깊은 땅, 풍광(風光)이 명미(明媚)한 삼산이수의 고장인 연기·공주가 바로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입니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유형
기존 도시와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연담화 우려가 없는 자립형의 신도시로 개발하고 공생하고 진화하는 지속가능한 생태도시를 지향합니다.
행정중심복합도시 현황


행정구역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금남면·동면, 공주시 장기면·반포면 일원
면적 예정지역 72.91㎢ (주변지역 : 223.77㎢)
지리적특징 중심부에 원수봉(254m)이 있고 미호천과 금강이 합류하는 지점으로, 대전과 청주로부터10km 거리에 위치
교통여건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선 및 경부고속도로가 예정지역의 동쪽을 지나가고, 서쪽으로 2009년 준공예정인 대전 - 당진 고속도로가 건설 중이며, 청주공항이 24km거리에 위치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규모
1. 중앙행정, 문화·국제교류, 도시행정, 대학·연구, 의료·복지, 첨단지식기반 기능 등 6개 주요 거점 기능을 고려한
분산 배치
2. 인구밀도 : 순밀도-312인/ha (1ha=10,000㎡)
* 분당 614인/ha, 판교 347인/ha, 다마(일본) 367인/ha, 푸트라자야 273인/ha
3. 토지 이용 계획
- 주거용지 16,014천㎡(22%)
- 상업·업무용지 1,496천㎡
- 산업용지 : 79천㎡
- 공원·녹지용지 : 38,490천㎡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행정복합도시


kim sanghoon
건축
수도권 집중현황
국토면적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전체 인구의 48.3%(’05년 기준)가 거주하고 있으며,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2011년부터는 5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수도권 인구집중도 (천명, %) > 자료 : 통계청('05)

연도 '70 '80 '90 '00 '05 '11 '15 '20 '30
집중도(%) 28.3 35.5 42.8 46.3 48.3 50.2 51.2 52.3 53.9

이는 런던권(26.0%), 파리권(19.0%)은 물론 수도권 인구집중도가 높다는 동경권(27.2%)에 비해서도 비교가 안될 만큼 높은 수준입니다.


< 수도권 인구집중도 국제 비교 (%,03년기준) >
경제력의 수도권 집중현황
경제력의 수도권 집중은 더욱 심각해져 100대 기업 본사의 91%, 공공기관의 85%, 금융대출의 67%가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학의 39.2%가 수도권에 입지하고 있고, 금융의 60% 이상(예금 68%, 대출 66.5%)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 수도권 경제력 집중도 >

수도권 집중에 따른 사회적 비용
수도권은 인구와 각종 기능이 집중됨에 따라 기업에게는 높은 생산비로 생산성 저하를 야기하고, 가계에는 생활비 부담과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는 등 과밀과 혼잡으로 인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치루고 있습니다.
서울의 주택가격은 소득대비 10배가 넘는 평균 3.8억원(’04년 1/4분기 기준)으로 일본(3.7배),미국(4.1배)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수준입니다.
< 소득대비 주택가격 국가별 비교 >
한국 미국 일본 영국 홍콩 싱가포르
주택가격/소득 10.3배 4.1배 3.7배 8.1배 6.5배 3.8배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2005)에서는 매년 분당신도시의 1.5배 규모의 신규택지를 수도권에 공급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
주거지의 외곽 확산에 따라 인천시·경기도에서 서울로의 통근자가 확대되고 통근소요시간도 늘어납니다.
< 인천·경기지역에서 서울로의 통근 현황 >
1990 1995 2000
통근자 수 (천명) 692 880 914
서울의 직주비
(일자리수/거주취업자수) 1.09 1.12 1.14
통근자의 편도
통근소요시간(분) - 66 72

수도권의 교통혼잡비용은 ’90년대 이후 급속하게 증가하여 ’02년에는 12.4조원 수준까지 늘어났습니다.
< 수도권의 교통혼잡비용 >

수도권의 교통량이 확대 및 연료 소비의 증가에 따라 오염배출량이 급증하면서 환경의 질이 더욱 악화되었다.
< 도시간 대기오염 수준 비교 >

수도권의 낮은 삶의 질과 도시경쟁력 수준
수도권은 가장 급속하게 성장하는 동북아시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세계도시로서의 위상은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세계 100대 기업 중 아시아·태평양지역에 별도의 본부를 두고 있는 49개 다국적 기업 중 서울에 지역본부를 두고 있는 기업은 1개사(홍콩:24개, 싱가포르:19개)로 다국적 기업에게 서울은 양호한 도시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글로벌 네트워크 연결성에서 한국은 세계 315개 도시 중 41위로 홍콩(3위), 동경(5위), 싱가포르(6위), 타이페이(20위), 상하이(31위)등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습니다.
※ 미 브루킹스 연구소 조사결과
2006년 서울의 삶의 질은 세계 215개 조사대상 도시 중 90위로 집계됐습니다.
< 세계 주요도시의 삶의 질 순위 (Mercer사, 2006) >
2006순위 2005순위 도시 평점*
1 1 취리히 108.2
2 2 제네바 108.1
3 3 벤쿠버 107.7
34 35 싱가포르 102.5
35 34 동경 102.3
37 37 요코하마 101.6
40 40 고베 101.0
41 41 워싱턴 100.4
46 45 뉴욕 100.0
89 90 서울 83.0

* 평점은 뉴욕을 기준(100)으로 한 상대적 점수임
공원, 문화시설, 도서관 등 각종 기반시설도 선진 대도시 및 동북아의 주요 도시와 비교할 때 부족한 상황입니다.
< 서울과 해외대도시 간 생활권공원 면적 비교 >

< 대도시권 문화시설 비교 >

수도권 비대현상 가속화
이미 40년 전부터‘수도권 과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여러정책을 펴왔지만, ‘인구유입억제’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다양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수도권과밀은 주택난, 교통난, 환경오염 등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역대 정부의 수도권 과밀화 해소대책
구분 주요시책 내용 평가
'62~'79 (3·4공화국) - 대도시 인구집중 방지책 ('64)
- 그린벨트 지정 -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를 토대로
규제적 수단 중심으로 추진
'80~'87 (5공화국) - 수도권 정비계획법 제정 ('82)
- 수도권 규제범위를 경기·인천까지 확대 - 수도권 억제정책의 법적 기반 마련
- '82년 올림픽 유치 이후 수도권
억제 정책완화
'88~'92 (6공화국) - 지역균형개발 기획단 설치 ('89)
- 수도권 5개 신도시 건설 - 신도시 주택 200만호 건설로 인한
수도권 비대화 현상 심화
'93~'97 (문민정부) - 수도권 공장 총량제 및 과밀 부담금제 도입
- 개발촉진지구 도입('94)
- 준농림지 개발 허용 - 세계화를 위한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의
규제완화 정책으로 수도권 집중초래
- 준농림지 개발 등으로 수도권 내
공장·주택건설 가속화 및 난개발 초래
'98~'02 (국민의 정부) - 외국인 투자에 대한 수도권 입지규제 완화
- 그린벨트 규제완화 - 외환위기 극복과 구조조정 과정에서
수도권 집중 가속화

수도권 순유입 인구추세
연도 '99 '00 '01 '02 '03 '04
인구(명) 9만5천 15만 13만6천 21만 13만7천 14만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대안
신행정수도의 후속대책인‘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은 공공기관 지방이전 및 지방분권, 수도권 발전전략과 함께 21세기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할 핵심과제입니다. 국회에서도 이런 점을 감안해 연기·공주지역을 활용해 자족성을 갖춘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건설하는 데 합의했습니다.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행정 중심 복합 도시


kim sanghoon
건축

건설헌장

1. 환상형 도시구조를 통해 균형발전과 분권화 시대를 상징화하고 도시의 주요 기능은 분산하여 배치한다.
2. 도시 중심에는 녹지 공간을 조성하여 시민들이 여유롭게 휴식하며 즐길 수 있도록 꾸민다.
3. 행정 기능을 중심으로 교육, 문화, 복지, 첨단산업 등의 기능이 어우러지는 복합형 자족 도시로 건설한다.

4. 자연과 사람이 함께 어우러지며 공해가 최소화되는 도시환경을 만든다.
5. 환경 순환 시스템을 도입하여 자원 절약형 도시로 건설한다.
6.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한 보행 환경을 조성하며 교통 체증이 없는 도시를 지향한다.
7. 시민이 친근하게 접할 수 있도록 개방형 청사를 건축하고 시민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을 배치한다.
8. 시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설계 기법을 적용한다.
9. 자연환경과 인공적 환경이 잘 조화된 도시경관을 조성한다.

10. 생활권별로 특색 있는 주거 환경을 조성하고 시민들이 최대한 효율적인 행정,교육,문화,복지 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11. 자연권과 공존하고 감성과 기술이 조화되는 아름다우면서도 머물고 싶은 건축물의 건립을 도모한다.
12. 안전하고 쾌적한 친환경적인 친수 공간을 조성하여 물의 도시로서의 이미지를 창출한다.
13. 장사 시설을 시민 친화적이고 쾌적한 가족 문화 공간으로 조성하여 장사문화 개선의 전기를 마련한다.

14. 쾌적하고 수준 높은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평생 학습 체제를 마련한다.
15. 시민에게다양한 형태의 우수한 문화 활동 공간을 제공하여 생동감 넘치는 도시 문화를 창출한다.
16. 시민에게 도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누구나 편리한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한다.
17. 도시내외에 편리한 기반 시설을 계획적으로 충분히 설치하여 도시의 효율성은 극대화하고 물류비용을
최소화한다.

18. 과학적인 사업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장기간에 걸친 건설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예산을 절감한다.
19. 도시 건설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하여 추진 과정에서 여러 전문가와 국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한다.
20. 주변 도시와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상호 협조한다.

- 2007년 7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직원일동 -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행정 중심 복합 도시
건축법

여의도 성모병원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국립도서관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