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0월 13일 수요일

제 2 롯데월드 조감도


제2롯데월드의 공식 명칭은 '롯데수퍼타워'다. 빌딩의 미래 모습 그대로를 이름에 새겨 넣었다. 123층의 높이로 지어질 이 거대한 빌딩엔 갖가지 첨단 기술과 녹색 관련 기술이 총동원될 예정이어서 스마트 마천루로 등장할 전망이다.
2
내진,태풍,초고강도 시멘트 등 초고층에 쓰일 건축 기술을 총동원하는 것과 함께 엘리베이터를 자기부상 방식으로 만든다는 방침도 눈길을 끈다.

생활하수로 버려지는 열도 회수하기로 했다. 버려지는 물을 아끼기 위해 1200t 규모의 중수처리 시설과 1800t 규모의 빗물 저수조도 빌딩 내에 만든다.




태양열도 적극 활용한다. 초고층 유리벽을 태양광 발전 모듈로 꾸며 태양열을 전기 에너지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계획상으론 빌딩 높은 곳의 외벽 2122㎡ 면적에 2280장의 모듈을 붙이면 연간 62t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계산에 따른 것이다.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용산주거,업무지구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을 통해 하루 유동인구만 42만명에 이르는 거대한 '메가시티(mega-city)'로 조성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49만5494㎡(15만평)에 이르는 지하면적 중 40만6456㎡(12만3000평)에는 각종 상업시설이 들어선다.

코엑스몰의 6배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하 상업시설의 백미는 국제업무지구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1.2㎞ 구간의 리테일밸리. 테라스와 노천카페,분수광장 등이 조성된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의 한복판이자 강남과 도심,여의도 등 3각 비즈니스 벨트의 중심부에 자리잡은 만큼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출자사 간 지급보증 문제로 난항을 겪었으나 최근 박해춘 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용산역세권개발㈜ 회장으로 전격 취임하면서 새로운 돌파구가 열릴지 주목된다.




시행사인 드림허브가 최근 공개한 새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이곳에는 최고 500m(100층) 높이의 메인 타워와 좌우로 각각 356m(72층),333m(69층)짜리 랜드마크 빌딩 3개 동이 들어설 예정이다. 신라 금관을 연상시키는 '뫼 산(山)' 형상으로 조성되는 것.드림허브 관계자는 "랜드마크 빌딩 3개 동은 세 마리의 용이 날아오르는 상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10년 10월 2일 토요일

부산 해운대구 마린시티 내 고급 주거형 오피스텔인 골든스위트(38층)

kim sanghoon


부산 해운대구 마린시티 내 고급 주거형 오피스텔인 골든스위트(38층)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우신골든스위트에서 발생한 화재사건

[이정현 기자] 부산 해운대구 주상복합 화재사건의 원인을 규명하는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부산 해운대의 주상복합아파트 화재는 전기누전 때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는 경찰은 관련 단서를 확보하는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kim sanghoon

건축 문화

부산 해운대에서 발생한 고층 오피스텔 화재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내일(4일) 2차 정밀감식을 벌입니다. 전기적 요인 때문에 불이 났을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 아래 경찰과 검찰, 소방당국에서 전문 요원들이 참여해 화재가 발생한 정확한 원인을 가려낼 방침입니다.

부산 해운대에서 발생한 고층 오피스텔 화재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내일 2차 합동 감식을 벌입니다. 전기적 요인 때문에 불이 났을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아래 정확한 원인을 가려내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경찰의 조사로 입주민들의 거주는 늦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을 수사 중인 해운대 경찰서는 2일 해운대구 우동 우신골든스위트 4층에 위치한 재활용품 집하장 내 미화원 탈의실에서 최초로 불이 발생했다고 브리핑했다.

부산 해운대구 주상복합 화재사건의 원인을 규명하는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0월2일 경찰은 해운대구 우동 우신골든스위트에서 발생한 화재사건의 처음 발화지점에 대해 건물내 4층 재활용품 집하장 내 미화원 탈의실이라고 밝혔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천만 명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대도시 서울, 큰 규모만큼이나 생활권도 여러 곳으로 나뉜다.

kim sanghoon

건축 문화

남대문시장 액세서리연합회
중구의 대표적 재래시장인 남대문시장 상인들이 홍콩에서 무려 105만달러치의 상담·계약 실적을 올려 화제를 모으고 있다.

수술을 받고 목 주위에 흉터가 남자 이를 가리려고 지난해 남대문 인근 보석상가에서 구입했다”며 “등급을 알리는 감정서도 없어 최고급은 아니다”고 말했다.

「문화재연감 2010」에는 경복궁 광화문, 숭례문 복원 등 궁궐 주요전각 원형복원 실적과 문화재 보수․정비 실적 및 문화재 통계자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울숭례문(남대문)'을 '서울 숭례문'(국보 제1호), '서울 흥인지문(동대문)'을 '서울 흥인지문' (보물 제1호)으로 별칭은 지정명칭에서 삭제했다.

서울 성곽길 1코스는 숭례문에서부터 시작한다. 지하철 1, 2호선 시청역 8번 출구 또는 1, 4호선 서울역 4번 출구로 나와 5분 정도 걸으면 숭례문을 만날 수 있다. 물론 지금은 2008년 방화로 인해 무너진 숭례문 복원이 한창 진행 중이라 숭례문을 볼 수는 없다.




더보기: http://travel.joins.com/news/article.asp?total_id=4468866#ixzz11H1ZAaD1
안창모 경기대 교수


일제강점기부터 경제개발 시대 아우르는 역사(驛舍) 국내에 있는 기차역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그저 철도 역할이 중요한 도시일수록 역의 규모가 크고 그렇지 않을수록 작다. 하지만 서울역은 우리 근현대사가 고스란히 담긴 장소다.




“1910년경 역을 비교했을 때 서울 남대문역보다 부산의 부산역, 신의주의 신의주역이 더 좋았죠. 그 이유는 일본 입장에서 부산역은 조선으로, 신의주역은 중국으로 들어가는 관문이었기 때문이죠. 건물로만 가치를 따지면 목구조로 이뤄진 남대문역(현 서울역)은 보잘 것 없었을 것입니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10년 8월 22일 일요일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광복절인 8월 15일을 맞아 84년 만에 제 모습을 찾은 광화문을 일반에 공개 했다.

kim sanghoon 건축 문화
문화재청은 15일 한·일 강제병합 100년과 광복절 65주년을 맞아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과 현판 복원을 마치고 이를 일반에 공개했다.

광복절인 지난 15일 84년 만에 제 모습을 찾은 광화문을 보기위해 15만 4000여 명이 경복궁을 찾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서울의 한복판,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경복궁의 정문. 15일 웅장한 자태를 드러낸 광화문은 역사적 상징이자 민족적 자긍심 그 자체다.

광화문 복원 공사는 3년8개월간 280여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 대역사(大役事)였다. 광복절인 오늘(15일) 조선왕조의 정궁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이 다시 열렸습니다.

`빛이 사방을 덮고 교화가 만방에 미친다.` 광화문(光化門), `빛의 문`이 다시 열렸다. `국권의 상징` 경복궁이 제 `얼굴`을 찾게 됐다.

각도도 경복궁 중심축을 기준으로 광화문이 제자리를 찾았다. 2006년 복원을 시작한 광화문은 기존 위치에서 남쪽으로 11.2m, 서쪽으로 13.5m 떨어진 곳에 세워졌다.

광화문은 조선의 법궁(法宮ㆍ임금이 정사를 돌보는 궁)인 경복궁의 정문으로 조선 건국 직후인 1395년 건립됐다.

광화문(光化門)은 경복궁의 남쪽 문이다. 웅장하고 화려한 외관으로 현존하는 가장 뛰어난 궐문(闕門)으로 꼽힌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광화문 광장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10년 8월 14일 토요일

복원된 광화문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서울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15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제65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앞서 복원된 광화문의 현판제막식이 열리고 있다. 2010.8.15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이 고종 2년(1865년) 중건 당시 목조 형태 모습 그대로 복원됐다.

제 모습 찾는 광화문(자료사진)


제 모습 찾는 광화문 (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제65주년 광복절인 오는 15일 일반에 공개될 광화문 현판이 8일 오후 설치됐다.
 
kim sanghoon
건축 문화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이 고종 2년(1865년) 중건 당시 목조 형태 모습 그대로 복원됐다.

한일강제병합 100년인 오는 15일 일제가 훼손한 광화문, 경복궁이 복원돼 일반에 공개된다. 2006년 12월부터 시작된 광화문 복원공사는 3년 8개월의 긴 여정을 마치고 오늘 시민품으로 돌아온다.경축식에 앞서 복원된 광화문의 현판 제막식이 열리고, 식후행사로 광화문 개문 의식도 준비됐습니다.

제65주년 광복절인 오늘 3년 8개월의 복원공사를 마친 광화문이 일반에 공개됩니다.오는 15일 오전 9시로 예정된 광복절 경축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뭐니뭐니해도 광화문 현판 제막식(除幕式·기념비나 현판 등을 완성해 만들었음을 알리는 의식)이다.

광복절인 15일, 조선왕조의 정궁(正宮)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光化門)이 다시 열린다. 용마루 취두 철거로 시작된 4년간의 복원 공사를 통해 84년 만에 제자리로 돌아가는 감격을 누리게 됐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68년 아랫부분인 석축은 그대로 두고 윗부분만 철근콘크리트로 복원하는 ‘반쪽 복원’으로 비난을 샀다.

문화재청은 45개월간의 광화문 복원 대장정을 마무리 짓고 이날 현판 제막식과 함께 광화문을 일반에 공개한다. 이번에 복원된 광화문은 1865년 경복궁 중건 때 모습 그대로이며, 동·서 수문장청(守門將廳) 등 6개의 부속건물도 함께 복원했다.


현판은 광화문의 얼굴.
조각: 오옥진 각자장(刻字匠)
1865년 중건 당시 공사감독관이자 훈련대장이었던 임태영이 쓴 한자 글씨를 다시 복원한 것이다. 정교하면서도 시원시원한 궁중 현판 서체의 특징을 그대로 지니고 있는 글씨체다.라는 평이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10년 4월 16일 금요일

hoonsolo&kimsanghoon 그리고 건축 세계고층디자인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hoonsolo&kimsanghoon 그리고 건축 세계고층디자인
세계고층건물에 관한자료,그리고 사이트방문 검색및 운용방식 국제컨설턴트 건축법 건축관련 사이트 ... http://hoonsolo.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
http://hoonsolo.blogspot.com/ - 210 KB

hoonsolo&kimsanghoon 그리고 건축 세계고층디자인: 2007. 7. 21
건축학(建築學)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디자인,시공,관리,철거에 관련된 분야,건축에 관련된 학문분야로 건축계획, 시공, 건축환경 등으로 나눌 수 ... http://hoonsolo.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
http://hoonsolo.blogspot.com/2007_07_21_archive.html - 151 KB

hoonsolo&kimsanghoon 그리고 건축 세계고층디자인
세계고층건물에 관한자료,그리고 사이트방문 검색및 운용방식 국제컨설턴트 건축법 건축관련 사이트 ... http://hoonsolo.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
http://hoonsolo.blogspot.com/2009/06/kim-sanghoon.html - 200 KB

hoonsolo&kimsanghoon 그리고 건축 세계고층디자인: 2007. 7. 16
2007년 7월 16일 월요일. 명동성당 벽돌공법. kim sanghoon. 건축. 문화 ... http://hoonsolo.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
http://hoonsolo.blogspot.com/2007_07_16_archive.html - 249 KB


건축법

2010년 4월 12일 월요일

현대제철이 지난 8일 당진공장에서 '현대제철 일관 제철소 준공식'을 가졌다.

kim sanghoon


건축



현대제철이 충남 당진 일관제철소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지난 1월 제1고로 화입식 이후 내달 8일 종합준공식을 갖고 상업생산을 시작한다. 우선 연산 400만t 규모의 제1고로부터 가동한다. 현재 공사중인 제2고로도 당초 예상보다 40여일 앞선 올 11월 말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당진공장은 연산 800만t 체제를 갖추게 된다. 열연강판 650만t과 후판 150만t을 생산한다. 여기에 기존 전기로 생산량(1150만t)을 합하면 현대제철은 조강 생산능력 1950만t 규모로 명실상부한 세계 10위권 철강업체로 도약하게 된다.

연구개발(R&D)도 확대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당진에 기술연구소를 건립하고 일관제철소 가동 이전부터 선행 연구를 진행중이다. 특히 현대제철과 현대하이스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를 연결하는 합동 연구로 시너지를 높이고 있다. 또다른 고부가가치 철강재인 조선용후판 분야도 현대중공업과 손잡고 최단기간내 선급 인증 등 품질 확보에 협력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현재 320명(박사급 25%)인 연구인력도 오는 2012년까지 450명(박사급 40%)으로 늘린다.



문화



‘쇳물과 자동차용 열연강판 제조(현대제철)→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현대하이스코)→자동차 생산과 폐차 처리(현대·기아차)→철스크랩 재활용(현대제철)’으로 이어지는 고로 중심의 ‘자원순환형’ 사업구조다.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자원순환형 모델인 것.

현대·기아차그룹이 염원해온 ‘쇳물부터 자동차 생산’까지 진정한 의미의 ‘수직계열화’를 완성했다는 의미다.


고로는 철광석을 녹여 쇳물(선철)을 만드는 제철소의 핵심설비다. 고로에서 나온 쇳물은 강철, 슬래브로 만들어진 뒤 열연공장과 후판공장으로 보내져 최종 제품인 자동차용 열연강판과 조선용 후판으로 탄생하게 된다.


현대제철의 고로는 내부 용적 5250㎥, 최대 직경 17m, 높이 110m의 대형 고로로 세계 최고 수준의 엔지니어링이 도입된 최신 설비다. 고로의 공급을 맡은 룩셈부르크 폴워스사 마크 솔비 사장은 화입식에서 “현대제철의 제1고로는 폴워스가 공급한 고로 가운데 가장 큰 모델로, 최고의 기술력을 동원해 제작한 설비”라며 자부심을 나타냈다.

이 고로의 다른 의미는 정몽구 회장의 환경경영 철학이 반영됐다는 점이다


항만에서부터 철광석과 유연탄 등 제철원료를 밀폐형 연속식 하역기로 하역하고 밀폐형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해 이송함으로써 먼지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제철원료를 보관하는 저장고도 완전 밀폐형으로 건설됐다. 개별 공장에도 설계단계부터 최신의 친환경 설비와 환경오염 방지 기기들을 도입했다. 현대제철이 ‘전 세계 최초의 녹색제철소’라는 수식어를 붙이는 이유다.




현대제철이 내세우고 있는 영업전략은 기존 강세를 보이고 있는 형강류와 철근 등의 제품과 패키지 영업활동을 전개하고 범 현대가(家)라는 입지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조선용 후판을 현대중공업에 처음으로 공급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전략으로 보인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일관제철소 준공과 함께 현대중공업으로 초도 제품을 출하했다는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면서 “양사는 후판에 대한 기술 협의를 수차례에 걸쳐 실시했고, 이번 초도 출하를 계기로 더욱 우호적인 관계를 다져나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제철은 향후 후판공장을 조선용 TMCP강 등 고부가가치강 중심 생산공장으로 차별화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남영동 현대차 정비소
아버지와 아들
취권
팝콘
주주


현대가의 숙원은 고(故) 정주영 회장 시절부터 시작됐다. 철강 사업에 유독 관심이 많았던 정주영 회장은 1978년과 1994년 두 차례나 사업 진출을 시도했지만 당시 국영기업이었던 포스코에 밀려 번번이 실패했다. 1996년 정몽구 회장 역시 그룹 회장직에 오르자마자 아버지의 뜻을 이어 일관제철소 사업을 추진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갑작스레 불어 닥친 외환위기 탓이었다.

결국 ‘3전4기’ 끝에 정 회장은 지난 2006년 다시 숙원사업을 성취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갔고, 착공 이후 3년2개월 만에 일관제철소를 준공하는데 성공했다. 오랜 숙원을 이루기 위한 정 회장의 노력은 대단했다. 건설기간 동안 수시로 현장을 찾아 상황을 점검하는가하면 아낌없는 자금 투자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특히 지난해 재계를 강타한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정 회장은 2조원 이상의 자금을 투자, 일관제철소 건설에 박차를 가했다.

이제 현대제철은 일관제철소 준공을 기점으로 세계적인 종합철강회사로서의 위상을 더 높이게 됐다. 총 6조2300억원의 자금 투자로 준공된 일관제철소 고로 1호기는 연간 400만톤의 조강생산 능력을 갖췄다. 오는 11월 제 2고로가 완공되면 현대제철은 연간 800만톤의 조강능력을 갖추게 되며, 기존 전기로 인한 조강 생산량 1150만톤과 합하면 연간 생산량은 1950만톤으로 세계 12위권 철강사로 부상하게 되는 것이다.

현대제철이 생산한 열연강판으로 현대하이스코가 자동차용 냉연강판을 만들어 현대기아차의 자동차를 만들게 되고, 이후 수명이 다한 자동차는 ‘자동차 리사이클링 센터’에서 폐차 처리돼 다시 현대제철이 생산하는 건설용 철강제품의 원료로 재활용되는 ‘자원의 순환’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현대제철은 앞으로 일관제철소의 성공적인 준공을 바탕으로 세계 철강시장에서 새롭고 능동적인 변화를 선도해 나가는 세계 일류기업으로 성장한다는 방침이다.

건축법

2010년 3월 23일 화요일

“관광활성화와 지역경제성장, 한반도 평화정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kim sanghoon
건축
문화

냉전의 상징인 비무장지대, 이른바 DMZ가 6·25전쟁 발발 60주년을 맞아 생태평화벨트로 새롭게 태어납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DMZ 일대의 관광서비스 효율성을 높이고, 생태·문화 콘텐츠 발굴에 힘쓰겠다는 등의 내용을 담은 '한반도 생태평화 조성 방안`을 제시했다.방안에 따르면 이 일대에는 생태문화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DMZ 횡단 자전거길, 생태탐방길, 원격에서 생태관찰이 용이한 U-ECO 관찰센터, 생태평화공원 건립, 산림휴양치유센터, 숲 체험원, 청소년 교류를 위한 복합 문화시설 등이 들어설 계획이며 기존 민통선 10개 마을을 ‘체류형 문화관광마을’로 조성한다.

비무장지대를 날고 있는 먹황새. (자료사진, 연합뉴스)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DMZ)를 따라 한반도를 횡단할 수 있는 자전거길이 조성된다. DMZ 주변의 희귀 생태 자원을 체험할 수 있는 생태평화공원도 마련된다.

지난해 미국 '타임'지는 DMZ를 냉전시대 마지막 분단의 상징으로 소개했습니다

지구 상 마지막 냉전의 상징인 비무장지대, DMZ가 관광지로 조성됩니다. 그동안 DMZ는 출입통제 및 개발제한으로 양호한 생태환경을 유지하고 있고, 다양한 문화유적을 보유하고 있어 생태평화벨트로 꾸며질 경우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경제경쟁력강화 생태 평화벨트를 만들기로 했다.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는 청와대에서 제20차 국가경쟁력 강화위원회 회의를 개최해 국무총리실, 문화체육관광부, 통일부, 국방부, 행정안전부,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산림청과 합동으로 마련한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방안’을 발표했다.“관광활성화와 지역경제성장, 한반도 평화정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10년 3월 17일 수요일

Intergovernmental institutions with which the UIA remains the only organisation officially recognise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kim sanghoon
건축
문화

Intergovernmental institutions with which the UIA remains the only organisation officially recognise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 The UIA is the only world organisation of architects that has formal consulting relations with UNESCO
- During its world congresses, the UIA awards the only prize for architecture granted by UNESCO, to recognise a brilliant project by a student of architecture

UN-HABITAT: United Nations Centre for Human Settlements


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CE: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IDO: 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sation


WHO: World Health Organisation


WTO: World Trade Organisation

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Regional organisations of architects:

kim sanghoon
건축
문화
Regional organisations of architects:


ACE, Architects' Council of Europe

FPAA, Pan-American Federation of Associations of Architects

ARCASIA, Architects' Regional Council Asia

AUA, African Union of Architects

UMAR, Union of Mediterannean Architects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with which the UIA develops interdisciplinary relations:

kim sanghoon
건축
문화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with which the UIA develops interdisciplinary relations:


ISOCARP: International Society of City Region Planners

IFL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ICOMOS: International Council of Monuments and Sites

ISC20, ICOMOS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on 20th Heritage

DoCoMoMo, Documentation and Conservation of buildings, sites, and neighbourhoods of the Modern Movement

AU, Emergency Architects Foundation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10년 3월 7일 일요일

개인이야기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How to Travel Around Korea

kim sanghoon
건축
문화
How to Travel Around Korea






Domestic flights: Most domestic destinations are within an hour's flight from Seoul. Gimpo Airport, located between the western area of Seoul and the newer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primarily used for domestic travel and short flights to Japan and China. Korean Air, Asiana Airlines and a few domestic discount carriers handle all flights within the country.

KTXRailway services: The Korea Railroad (KORAIL) operates three types of trains ― high-speed (KTX), express (Saemaeul), and local (Mugunhwa) ― along an extensive nationwide network. The KTX trains link Seoul with Busan, Mokpo, East Daegu, Gwangju and Iksan. Since even the longest KTX trip is under three hours, there are no dining cars, but passengers can purchase snacks and beverages from service carts provided.

Express trains usually have dining cars. Most popular destinations in the nation can be reached via direct line or a single transfer. Check Korea Rail's website (www.korail.go.kr) for information about combination train-ferry tickets and rail passes available. (Note: Rail passes are only available to inbound tourists and must be purchased from certified Korail vendors overseas.)

Local and city bus services: Regular intercity and long-distance express bus networks connect virtually all cities and towns in the country. Regular intercity buses are the least expensive way to travel around the country but make frequent stops. Bus fares range from 700 to 1,800 won (US$0.74~$1.91). The website “www.visitkorea.or.kr” has detailed information. Click on "Transportation."

Long distance express buses: Long distance express buses go directly to their destinations, stopping only at expressway rest areas every few hours. Two types of buses link every major city in the country. Regular intercity buses have four seats per row. The more-expensive deluxe buses have only three seats per row and offer amenities such as phones and movies. Some lines run late-night deluxe express buses as well. Seoul has three intercity terminals providing service to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 the main Express Bus Terminal and Nambu Bus Terminal on Subway Line 3 in Gangnam and the Dong (East) Seoul Bus Terminal near Gangbyeon Station on Line 2. Busan's Express Bus Terminal is in its eastern downtown area.

Subway services: The subway is the most efficient and convenient way to get around Seoul, Busan, Daegu, Gwangju, Incheon and Daejeon. Subways have developed into these cities' main transportation systems and provide fast, safe, and comfortable rides. The Seoul Metro links all neighborhoods with the outlying areas and satellite cities. Fares vary according to destination, the basic fare being 1,000 won (US$ 1.06). Passengers can easily pay bus and subway fares and receive free transfers by using a debit card, known as T-money.

Taxi services: There are two kinds of taxis ­ regular and deluxe. Fares are based on distance and time. The black deluxe taxis are more comfortable, provide better service and charge more than the regular gray taxis. Nearly all taxis are equipped with a free third-party interpretation system that can be accessed by cell phone if passenger and driver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Car rental : Driving can be an exciting and effective way of getting around Korea. Extensive road and expressway networks are available, which means you can visit every corner of the country easily.

**Drivers must meet the following requirements:
-Have more than one year's driving experience.
-Have an International Driver's License.
-Be over 21 years of age.
-Possess a valid passport.

Rental fees vary from 68,000 to 265,000 won (US$ 71.5 - $ 278.9) per day, depending upon the type of car. The speed limit is 60km/hr for most roads in the city and 80-100km/hr on expressways.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or drugs is a felony that may result in a heavy penalty.

Ferry services : One of the most pleasant ways to see Korea, popular mainland to island ferry routes are Busan to Jejudo, Mokpo to Hongdo, and Pohang to Ulleungdo. There are ships making runs between Busan and Yeosu, with many in-between stops possible at ports along the south coast and Hallyeo Maritime National Park. Click “Transportation” on the website www.visitkorea.or.kr for more information about transportation and many other tourist-related information.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Korea World Heritage

kim sanghoon
건축
문화



World Heritage

The majestic entrance to Bulguksa TempleUNESCO has recognized the unique value and the distinct character of Korean culture by placing a number of Korean treasures on the World Heritage List.

In 1995, UNESCO added to its list 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Grotto, both in Gyeongju, Gyeongsangbuk-do (North Gyeongsang Province); Haeinsa Temple Janggyeongpanjeon, the depositories fo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in Gyeongsangnam-do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Jongmyo, the Royal Ancestral Shrine in Seoul.

Changdeokgung Palace in Seoul and Hwaseong Fortress in Suwon were entered on the list in 1997. In 2000, two additional Korean treasures were added to the list: the dolmen sites of Gochang, Hwasun and Ganghwado (Ganghwa Province); and the Gyeongju Historic Area, the capital of the ancient Silla Kingdom (57 B.C. - A.D. 935), where innumerable cultural treasures and historic sites are carefully preserved. In 2007, UNESCO named Korea's volcanic island Jejudo and its lava tubes a natural property of outstanding beauty which bears testimony to the history of our planet.

The main rotunda of the Seokguram Grotto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Grotto were constructed over a 23-year period beginning in 751 during the Silla Kingdom by Chief Minister Kim Dae-seong (701-774). It is recorded that Kim was reincarnated as the son of a chief minister because he had been the virtuous son of a poor widow in a previous life.

He himself became chief minister and resigned in 750 to supervise the construction of Bulguksa to honor the parents of his present life and Seokguram to honor the parents of his previous life. Bulguksa was for public worship and Seokguram for the private worship of the king.

Tripitaka Koreana woodblocksBuilt on a series of stone terraces, Bulguksa blends into what appears as an organic whole with the rocky terrain of the wooded foothills of Tohamsan. The temple houses the Seokgatap (Pagoda of the Historic Buddha) and Dabotap (Pagoda of Many Treasures) as well as Cheongungyo (Blue Cloud Bridge), Baegungyo (White Cloud Bridge) and Chilbogyo (Bridge of Seven Treasures) ― the three staircases are called bridges because symbolically they lead from the secular world to the spiritual one of Buddha.

There are many other outstanding treasures within and outside the temple grounds, including gilt bronze Buddha statues.

Tombs of Silla Kingdom (57 B.C. - A.D. 935) in Gyeongju, Gyeongsangbuk-do (North Gyeongsang Province)Dominating the courtyard of the Daeungjeon (Main Hall) are two of Korea's most beautiful pagodas. The 8.3-meter-high Seokgatap and the 10.5-meter-high Dabotap were both built around 756.

Seokgatap is characterized by masculine simplicity and princely dignity and represents spiritual ascent via the teachings of Sakyamuni whereas the highly decorative Dabotap is more feminine and symbolizes the complexity of the world.

Seokguram Grotto has undergone renovation several times over the years. It is an artificially created stone cavern featuring a large seated Buddha surrounded by 38 Bodhisattvas. The grotto, like the structures in the vicinity of Bulguksa, is made from granite.

Changdeokgung PalaceSeokguram comprises a rectangular antechamber and a round interior chamber with a domed ceiling connected by a passageway. Chiseled out of a single block of granite, the 3.5-meter-high main Buddha is seated cross-legged on a lotus throne facing the east, with eyes closed in quiet meditation, and a serene, all-knowing expression on its face.

Seokguram represents a combination of Silla's knowledge of architecture, math, geometry, physics, religion and art into an organic whole and is one of Korea's greatest Buddhist masterpieces.

Janggyeongpanjeon, two storage halls at Haeinsa Temple, are the repositories for the Tripitaka Koreana, consisting of some 81,258 wood printing blocks, the Goryeo Dynasty (918-1392) version of the Buddhist canon. With more than 52 million Chinese characters precisely rendered, it is the oldest and most comprehensive Buddhist canon existing in the world today.

Jongmyo ShrineJongmyo, the Royal Ancestral Shrine, was dedicated in 1395, three years after the Joseon Dynasty (1392-1910) was established. It enshrines the spirit tablets of its kings and queens. The elaborate memorial rites and the music, which accompanies them called Jongmyojeryeak, were designated as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Ceremonial reenactments of the Joseon ancestral memorial rites are conducted on the first Sunday of every May at Jongmyo.

Changdeokgung Palace was first built in 1405 and was reconstructed after being burnt down in 1592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The palace itself is a masterful work but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back garden (Huwon), also called the Secret garden (Biwon), which is widely acclaimed for its beautifully landscaped and creative gardens. The garden comprises almost three-fourths of the 405,636-square-meter palace grounds and is tastefully laid out with all the essential elements of a traditional Korean garden: picturesque pavilions and halls, lotus ponds, uniquely shaped rocks, stone bridges, stairways, water troughs and springs scattered among dense woods.

Hwaseong Fortress in Suwon, Gyeonggi-do (Gyeonggi Province)Hwaseong Fortress was constructed over 34 months in Suwon, south of Seoul, in 1796. The fortress incorporated the very latest construction technology, theories of military defense and aesthetic principles to create the most advanced military stronghold Korea had ever known. It stretched over mountainous terrain, around an urban center and through flatland and included four major and several minor gates, command posts, observation towers, battlements, guard posts and bunkers. Most of the 5,743 meter exterior fortress wall still remains.

The Gyeongju Historic Area and dolmen sites in the counties of Gochang, Jeollabuk-do; Hwasun, Jeollanam-do; and Ganghwa, Gyeonggi-do (Gyeonggi Province), were also added to the list in 2000. Gyeongju was the capital of the Silla Kingdom for a thousand years and the area is called a “Museum Without Walls” because of the wealth of historical properties there.

Mt. Hallasan in Jejudo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together comprise three sites that make up 18,846 ha. They are Geomunoreum, regarded as the finest lava tube cave system anywhere, with its multicolored carbonate ceilings and floors and dark-colored lava walls; the dramatic fortress-like Seongsan Ilchulbong crater rising out of the ocean; and Hallasan, South Korea's highest mountain, with its waterfalls, multi-shaped rock formations and small crater lake. These sites of outstanding aesthetic beauty also bear testimony to the history of the planet, its features and the processes which formed our world.

Memory of the World

HunminjeongeumIn 1997, UNESCO initiated a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and disseminating the documentary heritage of the world that is in danger of being lost forever. Korean additions to this registry include Hunminjeongeum (Proper Phonetics to Instruct the People), Joseon Wangjo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Buljo Jikjisimcheyojeol (Selected Sermons of Buddhist Sages and Seon Masters), Seungjeongwon Ilgi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the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and the Uigw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Hunminjeongeum was a primer for teaching Hangeul, the Korean alphabet created by the Joseon Dynasty's fourth ruler, King Sejong the Great (r. 1418-1450). The new alphabet was promulgated in 1446.

Joseon Wangjosillok resulted from the tradition of preparing a historic record of each reign. It began in 1413 with the Annals of King Taejo, the founder and first king of Joseon, and continued through the end of the dynasty in 1910. The Annals were drafted by historians in the Office for Annals Compilation (Chunchugwan), and to ensure preservation, copies were stored in special repositories situated in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Starting from left: Joseon Wangjosilok, Buljo Jikjisimcheolyojeol and Seungjeongwon Ilgi

Buljo Jikjisimcheyojeol, compiled in 1372 by the monk Baegun (1298-1374), contains the essentials of Seon (Zen) Buddhism. The key words of the title, “Jikjisimche” were taken from a famous phrase about attaining enlightenment through the practice of Seon. A colophon on the last page of the book states that it was printed with movable metal type at Heungdeoksa Temple in 1377, about seventy years before the Gutenberg Bible was printed in Germany, making it the world's oldest book printed with movable metal type.

The Seungjeongwon, the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was responsible for keeping the Seungjeongwon Ilgi, a detailed record of the daily events and official schedule of the court, from Joseon Dynasty's first king, Taejo (r. 1392-1398), to the 27th and last, Sunjong (r. 1907-1910). However currently only 3,243 diaries exist. Recorded in the Seungjeongwon Ilgi is the largest amount of authentic historic information and state secrets of the Joseon Dynasty. It served as the primary source for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us, its historic value is even greater than the Annals itself.

Uigwe: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The Goryeo Daejanggyeong (Goryeo Dynasty Tripitaka), known as the “Tripitaka Koreana” to modern scholars, is a collection of the Tripitaka (Buddhist scriptures). Carved onto 81,258 wooden printing blocks in the 13th century, under commission by the Goryeo Dynasty (918-1392), it is currently stored at Haeinsa Temple in Gyeongsangnam-do.

A unique form of documentary heritage, the Uigwe is a collection of Royal Protocols for the 500-year-long Joseon Dynasty.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collection of writings and paintings, it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he important ceremonies and rites of the Joseon court. Its particular style of documentary heritage cannot be found anywhere else in the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Jongmyojeryeak royal ancestral ritual musicIn 1998, UNESCO created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o protect the oral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e world. Since the first proclamation in 2001, three intangible cultural treasures of Korea have been proclaimed Masterpieces, and these include the Jongmyo Jerye and Jongmyo-jeryeak (Royal Ancestral Rite and Ritual Music), pansori (epic songs), and the Gangneung Danoje Festival.

Jongmyojerye is the ancestral memorial rite held for the repose of the spirits of the kings and queens of the Joseon period at Jongmyo (the Royal Ancestral Shrine) where their spirit tablets are enshrined. Jongmyo-jeryeak was performed during the rites. Accompanied by ritual dancing, Botaepyeong (Maintaining the Great Peace) was a suite of 11 pieces praising the civil achievements of the dynastic founders and Jeongdaeeop (Founding a Great Dynasty) was a suite of 15 pieces praising their military accomplishments.

These two works were composed in 1447. Two additional pieces, known as Jongmyoakjang were composed a few years later. Hundreds of officiants, musicians, dancers and attendants take part in the event, which reflects the solemnity and magnificence of Confucian rituals. It is a rare example of an intangible cultural masterpiece that has maintained its original form for 500 years.

Pansori performancePansori is a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performed by a vocalist with drum accompaniment. These popular solo epic songs, characterized by expressive singing, stylized speech, and mimetic gestures, embrace both aristocratic and folk culture.

Pansori is a compound word from “pan” (a public place where people gather) and “sori” (song). Performances can last up to eight hours, where a male or female singer improvises on texts that combine rural Korean dialects with erudite literary expressions. The settings, characters and situations that make up the pansori are rooted in the Joseon period.

Mask dance from the Gangneung Danoje FestivalDanoje, held to pray for a good harvest, falls on the fif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and marks the end of the spring barley and rice-planting season. Traditionally it was one of the three most important holidays along with Seollal (Lunar New Year's) and Chuseok (Thanksgiving).

Gangneung's Danoje Festival in Gangwon-do (Gangwon Province) is the largest traditional festival in Korea and lasts nearly four weeks in the fourth to early fif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The music, dance, literature, drama and handicrafts associated with the festival are of high artistic value and have extraordinary worth in that the festival has continued for approximately a thousand years and reflects the history and life of commoners. The festival also incorporates Korean religious traditions, including Confucianism, Sham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offers a diversity of ceremonies and performances.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Systemes.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Systemes.
campaign

C & C



암호 메시지 구문

암호 모듈

암호 방식

암호 보안

암호 보조 처리기

암호 사용 기간

암호 수출 규제

암호 시스템

암호 시스템

암호 열쇠 키

암호 자료


Home
| Products
| Services
| Downloads
| About us
| Recruit
Software
hardware
Training
Products

C&C
Business
office tel
homeaddress
Passport No
add
Fax
Phone
name
Name&Add
Program
To Call
To Do
sun
sat
fri
thu
wed
tue
mon
charge
check
discussed
credit card No
home tel
Personal
company
Driving Licenes
system
Business Life
Grid
Blank
Theme
Project plan
special note
notes
years
content
note
Cash book
Thing to do
special
date
question
time
memo
Cash
thing
free
progress
calendar
Result
Today's Plan
Today's memo
Weekly Plan
Monthiy Schedule
Year planning
Item
uniq
Copyright by kim sang hoon ( c ) 1997-2006 hoonsolo inc
c & c
busniess
card



















Y2K
【컴퓨터】
2000년 문제
《Y는
연도(year),
K는 1000을
뜻하는
킬로(kilo)를
의미하며,
연도의
마지막 두
자리만
사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2000년을
1900년으로
인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오류》
mr.kim
Business card
hoonsolo inc
BUSINESSCARD
mailto://hoonsolo@naver.com
home
| About us
| Products
| Services
| Downloads
| Recruit
Business card
hoonsolo1234@hihome.com
h
h
c&c
c
i
i
i
y2k.com/exitpage/
y2k.com
i
BKI
i
h
h
h
h
Goodday.hoonsolo
http://c&c.hoonsolo.com
myc&c
myc&c
문자열 입력

http://y2k.com/exitpage/Technology.php

http://y2k.com/exitpage/Credit.php

http://y2k.com/exitpage/Electronics.php

암호 [ crypto A ]


홈 뱅킹 [ home banking A ]
은행 예금자가 개인용 컴퓨터(PC)나 전용 단말기를 설치하고,
은행의 주 컴퓨터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가정에서 은행 업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초기에는 예금자가 전화의 음성 자동 응답
서비스망을 통해 은행의 주 컴퓨터를 호출, 컴퓨터의 음성 지시에
따라 필요............................................................................


일렉트로닉 뱅킹 [ electronic banking, EB A ]
금융 기관 예금자가 컴퓨터 또는 전용 단말기를 설치하고, 은행의 주
컴퓨터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기업이나 가정에서 각종 은행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예금의 잔액
확인, 입출금 조회, 계좌 간 예금 이체 등을 할 수 있고 은행에서는
각종 ....................................................................................


암호 경로 [ 暗號經路, cryptographic path A ]
망의 임의의 두 접속점 간을 암호화하기 위해 같은 경로를 공유하는
서로 다른 논리 채널들에 각기 다른 암호 키를 할당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 논리 채널....................................................................

암호 열쇠 키 [ 暗號-, cryptographic ignition key, crypto ignition
key, CIK A ]
암호 키의 보관, 전송,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전자적 키. 키를 암호
열쇠 키(CIK)와 암호 모듈로 나누어 사용하되 필요한 경우 2개를
결합해서 하나의 키 암호화 키(KEK)를 만들어 당해 암호 모듈과 여타
다른 키들을 활성화시킨다.........................................................

암호 검사합 [ 暗號檢査合, Cryptographic checksum A ]
데이터의 변경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파일에 지정하는 수학적 수치.
암호 검사합은 파일 안에 있는 데이터를 해시(hash) 한
해시값이라고도 불리며, 고정된 길이의 값으로 변환하는 복잡한
수학적인 연산(암호 알고리듬)에 의해 생성된다. 인가되지 않은
사람은 해당 검사합...............................................................

암호 깨기 [ 暗號-, code breaking A ]
☞암호 해독.

암호 다이제스트 [ 暗號-, Cryptographic Digest A ]
가변 길이의 입력 문자를 고정 길이의 출력 문자로 변환하는 단방향
해시 기능. 고정 출력 문자는 각 입력 문자마다 유일한 해당 파일의
지문 확인 역할을 한다. 암호 다이제스트가 들어 있는 파일을
내려받을 경우 다이제스트를 다시 계산해서 출력 문자가
다이제스트..................................................................

암호 메시지 구문 [ 暗號-構文,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CMS A ]
전자 서명, 압축, 인증, 암호문 등에 대한 구문. PKCS #7 암호
메시지 구문 표준에서 나온 것으로, 추상 구문 기법1(ASN. 1) 중 기본
부호화 규칙(BER)을 사용한다. 데이터 보호를 위한 요약 구문으로,
하나의 요약 구문이 다른 구문을 내포하는 복합 구문이
가능하다.................................................................................

암호 메시지 구문 [ 暗號-構文,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CMS A ]
전자 서명, 압축, 인증, 암호문 등에 대한 구문. PKCS #7 암호
메시지 구문 표준에서 나온 것으로, 추상 구문 기법1(ASN. 1) 중 기본
부호화 규칙(BER)을 사용한다. 데이터 보호를 위한 요약 구문으로,
하나의 요약 구문이 다른 구문을 내포하는 복합 구문이 가능하다.

암호 모듈 [ 暗號-, cryptographic module A ]
암호 알고리듬을 포함한 암호 로직 및 처리를 수행하는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의 총칭.

암호 보조 처리기 [ 暗號補助處理器, cryptoprocessor,
cryptographic coprocessor A ]
암호 처리 프로세서가 들어 있는 하드웨어 모듈. 데이터는 물론 회로
변조를 보호하는 많은 기능을 가진 장치로, 암호 기능만 있는 것도
있지만 다른 처리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들어, 스마트 카드
보조 처리기는 암호 알고리듬을 스마트 카드 기능으로 내장한다.

암호 사용 기간

암호 키의 승인 혹은 효력이 유지되는 특정 기간. 키 수명 또는 유효
기간이라고도 한다. 키는 평문을 암호문으로 만들기 위한 알고리듬에
사용된다. 암호 기간은 암호 데이터 비도, 암호 위험성, 비용 등
요소에 따라 결정되는 키 관리의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그 기간은
보통 일시의 기간으로 표시되지만 특수한 키는 암호화할 최대 데이터
양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암호(暗號) 【주로 상업용】a code;【군호】a password;a
watchword;a sign;【비밀 기호】a cipher;cryptograph
문자 암호 a letter code
전신 암호 a telegraphic code;a cable code
암호를 풀다 decode;decipher[crack, break] a code
암호를 쓰다 write 《a message》 in code[cipher]
암호를 대다[말하다] give a password
암호화하다 code;encode
암호 없이는 이 계좌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You cannot access
this account without a password.

암호명(暗號名) a code name;code designation
암호문(暗號文) a cryptogram;a cryptograph;a coded message
암호 문자(暗號文字) a cipher;a code word
암호법(暗號法) cryptography
암호장(暗號帳) a code book
암호 전보(暗號電報) a telegram in cipher[code];a cipher[code(d)]
telegram
해외 암호 전보 a cablegram in code;a code(d) cable
암호 전보를 치다 send a code telegram;wire 《a person》 in code
암호 통신(暗號通信) a signal;cryptography
암호 해독(暗號解讀) code-breaking;cryptanalysis;cryptography
암호 해독관 a cipher officer
암호 해독의 열쇠 a cipher-key


건축법

2010년 3월 5일 금요일

숭례문..복원공사 10일 착공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10년 3월 4일 목요일

국보 제1호 '숭례문(崇禮門·남대문)'의 복원공사가 지난 10일 시작됐다. 방화로 목조 누각 건물인 문루(門樓)의 2층 등이 소실된 지 2년 만의 일이다.


kim sanghoon
건축
문화
국보 제1호 '숭례문(崇禮門·남대문)'의 복원공사가 지난 10일 시작됐다. 방화로 목조 누각 건물인 문루(門樓)의 2층 등이 소실된 지 2년 만의 일이다.
문화재청은 화재로 소실된 국보 1호 숭례문을 10일 오전 원래 모습으로 복원하는 착공식을 거행했다. 숭례문 복구는 전 과정을 전통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600년 역사의 국보가 화마에 휩싸인 지 딱 2년 만이다.숭례문은 14세기에 건립된 이후 수차례 수리됐다.전통 재료와 기법을 사용해 옛 장인정신까지 되살아난다.숭례문 복구에는 고건축의 대가 여섯 명이 전면에 나선다. 국내 문화재 복구 능력이 총동원되는 셈이다.2년 전 화마에 무너져 내렸던 국보 1호 숭례문 복구 공사가 10일 첫 삽을 뜬다.착공식에선 문루(門樓) 해체작업이 진행된다. 2012년 12월 완공이 목표다. 지금까지는 복구을 위한 사전 작업이 진행됐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전통 기법으로 다시 태어나는 숭례문.' 9일 오후 서울 경복궁 내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열린 《전통 기법을 사용한 숭례문 복구를 위한 특별 세미나》'전통기법을 사용한 숭례문 복구를 위한 특별 세미나-국민의 염원 속에 다시 살아나는 숭례문'이 개최됐다.3년 후 새로운 모습을 드러낼 숭례문을 미리 볼 수 있게 됐다. 9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막한 숭례문 모형 특별전이 21일까지 열린다.숭례문은 2012년말에 원래 모습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설계기업 겐슬러(Gensler)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설계기업 겐슬러(Gensler)
임차인을 위한 설계로 프로그램 믹스(program mix)
복합용도단지(mixed used)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10년 2월 16일 화요일

more-2010-information

kim sanghoon
건축
문화
http://www.vancouver2010.com/more-2010-information/


Cultural Festival and Events
Vancouver 2010 Cultural Olympiad celebrates the best in Canadian and international arts and popular culture. CODE, the Cultural Olympiad’s digital edition. Canada CODE gives people who live in this country a collaborative way to share who we are with each other and the world.

2010 Cultural OlympiadCODECultural Festival and Events Sustainability
For VANOC, sustainability means managing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opportunities of our Games to produce lasting benefits, locally and globally.






Sustainability Education Programs
Teachers can access and share resources related to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as well as the three Vancouver 2010 pillars of sport, culture and sustainability at /EDU, the Canadian School Portal for the Vancouver 2010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Education Programs Aboriginal Participation
VANOC’s goal is to achieve unprecedented Aboriginal participation in the planning and hosting of the 2010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We’ll do this by developing strong relationships with Aboriginal peoples – First Nations, Inuit and Métis – and the support of our Partners.




Aboriginal Participation Mascots, Games and More
Why does Miga love snowboarding? What does Quatchi love to do when he’s not playing hockey? What are some of Sumi’s amazing powers?





Mascots, Games and More Olympic Torch Relay
The Vancouver 2010 Olympic Torch Relay will be the longest relay held in the borders of the Host Country in history. In a just a few months, the Olympic Flame will visit over 1,000 communities and place of interests as 12,000 torchbearers carry it on its 45,000 kilometre journey.




Olympic Torch Relay Work and Volunteer
Life is a collection of doors and roads that we alone can choose to open or explore.

Job OpportunitiesVolunteer Opportunities

Work and Volunteer Winter Games History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was created on 23 June 1894; the 1st Olympic Games of the modern era opened in Athens on 6 April 1896; and the Olympic Movement has not stopped growing ever since.




Winter Games History The Vancouver 2010 Brand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design has a long tradition of creativity and excellence. Each Organizing Committee tries to visually capture the Olympic and Paralympic spirit, while telling the unique story of the host region and country.

The Vancouver 2010 Brand Media Centre
These resources help tell the story of the 2010 Winter Games.

News Releases Image GalleryPress OperationsMedia FAQsMedia Centre Local Business, Organization and Resident Information
With the Vancouver 2010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fast approaching, the Operations Engagement Team (OET) has been created to provide local businesses and residents with the tools and information necessary to prepare for a successful and rewarding Olympic and Paralympic experience.




Local Business, Organization and Resident Information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Useful LinksOlympic Sports

kim sanghoon
건축
문화

Useful Links
Olympic Sports
Alpine Skiing
Biathlon
Bobsleigh
Cross-Country Skiing
Curling
Figure Skating
Freestyle Skiing
Ice Hockey
Luge
Nordic Combined
Short Track Speed Skating
Skeleton
Ski Jumping
Snowboard
Speed Skating
Olympic Venues
BC Place
Canada Hockey Place
Cypress Mountain
Main Media Centre
Olympic Village Vancouver
Olympic Village Whistler
Pacific Coliseum
Richmond Olympic Oval
Whistler Sliding Centre
UBC Thunderbird Arena
Vancouver Olympic Centre
Whistler Creekside
Whistler Media Centre
Whistler Medals Plaza
Whistler Olympic Park
Culture and Education
Celebration Sites
Cultural Olympiad 2010
Cultural Event Listings
Canada CODE
CODE Live
CODE Motion Pictures
CODE Screen 2010
Education Programs
Feature Programs
Project Showcase
Useful Resources
Teachers' Forum
Olympic Tickets
How to Buy Tickets
Ticketing Prices
International Ticket Sales


Olympic Torch Relay
Interactive Map
Celebration Communities
More 2010 Information
Sustainability
Aboriginal Participation
Quatchi, Sumi and Miga
Look of the Games
Consumer Awareness
Procurement
Local Business, Organization and Resident Information
On Your Mark Login
Job Opportunities
FAQs
Bilingual Experience
Media Centre
Web Linking Policy
Brand and Logo Policy
Privacy Policy
Contact Us
Site Map
RSS
ⓒ 2010 The Vancouver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2010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photography ⓒ Getty Images, unless otherwise stated.


http://www.vancouver2010.com/more-2010-information/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Sign in or Register to Vancouver 2010

kim sanghoon
건축
문화

Sign in or Register to Vancouver 2010




  • Sign In to Your Ticketing Account


    Sign in to view your ticket order and account information.

    Ticketing Sign In


  • Sign In to Your
    Olympic Store
    Account


    Sign in to the Olympic Store to buy official Vancouver 2010 products, view existing orders and update account information.

    Olympic Store Sign In


  • Sign In to Your
    Olympic Bus Network
    Account


    The Olympic bus network will help get you safely from the Metro Vancouver area to your Whistler or Cypress Mountain event.

    Olympic Bus Network Sign In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2010년 1월 5일 화요일

Dubai set to open world’s tallest building

kim sanghoon
건축
문화
Dubai set to open world’s tallest building


DUBAI: Dubai is set to open the world’s tallest building amid tight security on Monday, celebrating the tower as a bold feat on the world stage despite the city state’s shaky financial footing.

But the final height of the Burj Dubai - Arabic for Dubai Tower - remained a closely guarded secret on the eve of its opening. At a reported height of 2,684 feet (818m), it long ago vanquished its nearest rival, the Taipei 101 in Taiwan.

The Burj’s record-seeking developers didn’t stop there.

The building boasts the most stories and highest occupied floor of any building in the world, and ranks as the world’s tallest structure, beating out a television mast in North Dakota. Its observation deck - on floor 124 - also sets a record.

“We weren’t sure how high we could go,” said Bill Baker, the building’s structural engineer, who is in Dubai for the inauguration. “It was kind of an exploration. ... A learning experience”.

Baker, of Chicago-based architecture and engineering firm Skidmore, Owings & Merrill, said early designs for the Burj had it edging out the world’s previous record-holder, the Taipei 101, by about 33 feet (10m). The Taiwan tower rises 1,667 feet (508m).

The Burj’s developer, Emaar Properties, kept pushing the design higher even after construction began, eventually putting it about 984 feet (300m) taller than its nearest competitor, Baker said. He is keeping quiet about the exact height.

Dubai’s ruler will open the tapering metal-and-glass spire with a fireworks display Monday evening.

Security is expected to be tight. Local newspapers quoted Maj. Gen. Mohammed Eid al-Mansouri, head of the protective security and emergency unit for Dubai Police, saying more than 1,000 security personnel, including plainclothes police and sharpshooters, will be deployed to secure the site for the opening.

Work on the Burj Dubai began in 2004 and continued rapidly. At times, new floors were being added almost every three days, reflecting Dubai’s raging push to reshape itself over a few years from a small-time desert outpost into a cosmopolitan urban giant packed with skyscrapers.

By January 2007, thousands of labourers, many of them brought in on temporary contracts from India, had completed 100 stories.

The finished product contains more than 160 floors. That is over 50 stories more than Chicago’s Willis Tower, the tallest record-holder in the U.S. formerly known as the Sears Tower.

At their peak, some apartments in the Burj were selling for more than US$1,900 per square foot, though they now can go for less than half that, said Heather Wipperman Amiji, chief executive of Dubai real estate consultancy Investment Boutique.

Besides luxury apartments and offices, the Burj will be home to a hotel designed by Giorgio Armani.

It’s also the centerpiece of a 500-acre development that officials hope will become a new central residential and commercial district in this sprawling and often disconnected city. It is flanked by dozens of smaller but brand-new skyscrapers and the Middle East’s largest shopping mall.

That layout - as the core of a lower-rise skyline - lets the Burj stand out prominently against the horizon. It is visible across dozens of miles of rolling sand dunes outside Dubai. From the air, the spire appears as an almost solitary, slender needle reaching high into the sky.

The Burj’s opening comes at a tough time for Dubai’s economy. Property prices in newer parts of the sheikdom have collapsed by nearly half over the past year.

The city-state turned to its richer neighbour Abu Dhabi for a series of bailouts totaling US$25 billion in 2009 to help cover debts amassed by a network of state-linked companies. Burj developer Emaar is itself partly owned by the government, but is not among the companies known to have received emergency cash.

Emaar has said the entire Downtown Burj Dubai development, which includes the tower, will cost US$20 billion to build. Sales of properties around the Burj are meant to help pay for the tower itself, which analysts say is unlikely to be profitable on its own.

Jan Klerks, research and communications manager for the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which tracks world’s tallest claims, said the building’s real value might be that it is the “biggest city marketing campaign” Dubai could have come up with.

“Put your name and that of the Burj Dubai on an envelope, and no postal service in the world will have problems delivering the mail,” he said. - AP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첩탑


kim sanghoon
건축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건축법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kim sanghoon
건축
문화하늘 아래 가장 높은 건물인 아랍에미리트(UAE) '버즈 두바이' 건물 명칭이 부르즈 칼리파(Burj Khalifa)로 변경돼 공식 완공식을 가졌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정부가 세계 최고 높이의 건물 이름을 부르즈두바이(Burj Dubai)에서 부르즈칼리파(Burj Khalifa)로 전격 교체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삼성물산이 건축한 세계최고 높이의 빌딩인 버즈 두바이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대통령의 이름을 따 '버즈 칼리파'로 이름을 바꿨다.

칼리파는 아랍에미리트(UAE)의 현 대통령 이름인 셰이크 칼리파 빈 자이드 알- 나흐얀에서 따 온 것이다.

셰이크 모하메드 두바이 통치자는 4일(현지시간) 열린 `부르즈칼리파` 개장식에서 “오늘 UAE는 인류 최고 높이의 건물을 갖게 됐으며 이 위대한 프로젝트에는 위대한 인물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 합당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오늘 부르즈칼리파의 개장을 선포한다"고 선언했다.


개인이야기
‘버즈 두바이’ 현장에 삼성SDS 무선통신 기술력 발휘 등록일/작성자 2007-09-20 : 삼성SDS
내용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삼성SDS의 무선메쉬네트웍(WMN: Wireless Mesh Network, 以下 WMN) 기술이 UAE의 ‘버즈 두바이' 건설 현장에서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WMN이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웍 및 U-City 무선 자가망 솔루션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무선통신 기술로, 국내에서는 전산원이 기상정보 수집을 위해 제주도/우도 등 평지에서 USN관련 분야에 일부 적용한 적은 있으나, 버즈 두바이와 같이 초고층 빌딩 건축현장에선 전 세계적으로 아직까지 적용된 사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버즈 두바이에 적용하는 WMN시스템은 기존 무선랜이 Point to Point(P to P) 또는 Point to Multi Point (P to MP)방식인데 비해, Multi Point to Multi Point(MP to MP) 방식으로서 하나의 Link가 끊어져도 다른 우회 경로 제공해 줌으로써 Traffic을 여러 경로로 분산시켜 네트워크의 부하(로드)를 줄여준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삼성SDS의 WMN시스템은 통합 가설 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All-IP기반의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현장통신 서비스를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공함은 물론, 통신망 이설 작업이 많아 기존의 케이블은 전부 버리고 공사 기간 중 평균 2~3차례 새로 설치해야 하는 공사현장의 특성상 발생하는 가설통신 신설/이설/증설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버즈 두바이 건설현장의 삼성물산 건설관계자는 “이전엔 여러 대의 통신기기를 통해 통신을 해야 했으나 삼성SDS가 제공하는 무선 자가망을 통해 WiFi폰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현장관리가 가능해 업무 효율이 대단히 높아졌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인터넷을 통해 세계 어디서도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에 접속하여 건설현장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본사와의 유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버즈 두바이 프로젝트 PM을 맡고 있는 U-City 추진단 장준영 책임은 “삼성SDS는 국내PJT를 수행하면서 기술력을 인정받은 첨단빌딩관리시스템 및 WMN분야의 전문인력을 버즈 두바이 현장에 투입시켰다.”라고 말하며 “버즈 두바이가 세계 최고층 건물로서 위치를 확고히 할 뿐 아니라 삼성SDS의 WMN기술이 초고층 빌딩에서도 틀림없이 빛을 발휘할 것으로 확신한다.”라고 밝혔다.


건축법

2010년 1월 3일 일요일

세계 최고(最高)의 빌딩 버즈 두바이(Burj Dubai)가 6년간의 대역사(役事) 끝에 4일(현지시간) 개장한다.


4일 개장하는 부르즈두바이 (AFP=연합뉴스)
kim sanghoon
건축
문화
[두바이=AFP] 아랍에미리트 연합국 두바이(Dubai)에 건설 중인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 '버즈 두바이(Burj Dubai)'가 4일 오픈을 앞두고 마지막 단장이 한창이다.

두바이 정부는 '버즈 두바이'의 완공으로 두바이 쇼크 등으로 상처를 입은 두바이의 이미지 회복에 기대를 걸고 있다. (c)AFP

기타보도 중에서




높이 818m, 162층 규모로 추정되는 '두바이의 탑' 버즈두바이(burj Dubai)
아랍에미리트(UAE)의 두바이 정부는 두바이 통치자인 셰이크 무하마드의 즉위 기념일인 4일 오후 8시(한국시간 5일 오전 1시) 버즈두바이 개장식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사막의 꽃을 형상화한 버즈 두바이. 높이가 818m로 63빌딩의 3배에 달합니다. 세계 최고 높이를 자랑해 왔던 타이베이 금융센터보다 300m나 높습니다.

160층의 '부르즈두바이'가 현지 시각으로 오늘 착공 4년여 만에 개장합니다. '부르즈두바이'는 '두바이의 탑'이라는 의미로, '버즈두바이'라고도 불리죠?

한국의 삼성물산 건설부문(삼성건설)이 공사를 총괄한 세계 최고(最高)의 인공구조물 '부르즈 두바이'가 5년간의 대역사(大役事)를 마무리하고 문을 연다.

설계는 미국의 스키드모어, 오닝앤드메릴이 담당했다.
건설 공사는 삼성물산 건설부문 총괄 아래
벨기에 베식스가 시공해 UAE 아랍테크가 자재와 인력 조달을 각각 맡았다.


새해 벽두에 문을 연 세계 최고 빌딩 부르즈두바이가 앞으로 10년 정도는 세계 최고 빌딩의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버즈(burj)`는 아랍어로 탑을 뜻한다. 두바이 정부는 `두바이의 탑`이라는 뜻의 버즈 두바이가 세계로 뻗어 가는 두바이의 경제성장을 상징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물 높이는 기존 세계 최고 빌딩 기록을 갖고 있는 대만 `타이베이 101`의 508m를 크게 압도하는 것이다.

2005년 2월 착공 이후 12억달러의 공사비가 투입된 버즈 두바이는 1~39층은 호텔, 40~108층은 고급 아파트, 109층 이상은 사무실로 구성된다. 123층과 124층에는 두바이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At the top)도 들어선다.

건물 전체에는 총 54기의 승강기가 설치됐으며 전망대까지 이르는 승강기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빨라(분당 600m) 전망대까지 1분 안에 도착할 수 있다.

건설부문은 상층부 첨탑을 올리는 첨탑 리프트업 공법을 비롯해 GPS를 이용한 수직도 관리 등 첨단 공법을 도입했다.

건축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