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3월 22일 토요일

국립도서관a name="J00083">

kim sanghoon
건축

1988년 5월 28일 남산에서 서초구 반포동으로 신축 이전한 현재의 국립중앙도서관 건물은 본관과 부속건물(별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서초공원으로 둘러싸인 도서관 건물은 주위의 경관이 아름답고 분위기가 조용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에게 편안하고 쾌적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이용규칙
[일부개정 2003.12.10 문화부령 제83호]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lawid.value = '006682';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pubdt.value = '20031210';

제1조 (목적) 이 규칙은 국립중앙도서관(분관을 포함하며, 이하 "도서관"이라 한다)의 자료 및 시설을 일반인에게 이용하게 함에 있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휴관일) ①도서관의 휴관일은 다음 각호와 같다. <개정 1992.8.10>
1. 관공서의 공휴일. 다만, 일요일 및 일요일과 겹치는 관공서의 공휴일을 제외한다.
2. 매월 둘째 및 네째 월요일
3. 국립중앙도서관장(이하 "도서관장"이라 한다)이 도서의 정리 및 기타의 사유로 휴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날
②삭제 <2003.12.10>
③도서관장은 제1항제3호의 규정에 의한 휴관일을 미리 게시하여야 한다.

제3조 (이용시간) 도서관의 이용시간은 도서관장이 정하여 이를 게시하여야 한다. <개정 2003.12.10>

제4조 (사용료) 도서관자료 및 도서관시설에 대한 사용료의 금액은 도서관장이 정한다. <개정 2003.12.10>

제5조 (이용절차 등) 도서관자료·도서관시설의 이용절차 및 도서관 이용대상자의 범위 그 밖의 필요한 사항은 도서관장이 정한다.[전문개정 2003.12.10]

제6조 (행위의 제한) 도서관을 이용하는 자(이하 "이용자"라 한다)는 다음 각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1. 지정된 장소외의 곳에서 담배를 피우는 행위
2. 술을 마시거나 큰 소리로 떠드는 등 다른 이용자에게 방해가 되는 행위
3. 기타 도서관의 질서유지를 위하여 도서관장이 정하여 게시한 사항을 위반하는 행위

제7조 (질서유지) ①도서관장은 정신이상자, 술을 마신사람 기타 도서관의 질서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는 도서관에 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②도서관장은 이용자가 제6조 각호의 규정에 위반한 때에는 이용을 중지시키거나 도서관에서 나가게할 수 있다.

제8조 (자료의 대출제한) ①도서관자료는 다음 각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를 대출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상호대차·순회문고·이동도서관 운영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2. 공무원이 공무수행상 필요로 하는 경우
3. 기타 도서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②대출되는 도서관자료의 범위는 도서관장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제9조 (변상조치) ①도서관장은 이용자가 도서관자료 및 도서관시설을 더럽히거나 찢거나 깨뜨려 못쓰게 한 때 또는 이를 잃어버린 때에는 이용자로 하여금 이를 변상하게 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변상기준은 도서관장이 이를 정하여 게시하여야 한다.

부칙 <제8호,1991.7.16>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12호,1992.8.1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83호,2003.12.1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국립중앙도서관이용규칙
[일부개정 2003.12.10 문화부령 제83호]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lawid.value = '006682';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pubdt.value = '20031210';

제1조 (목적) 이 규칙은 국립중앙도서관(분관을 포함하며, 이하 "도서관"이라 한다)의 자료 및 시설을 일반인에게 이용하게 함에 있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휴관일) ①도서관의 휴관일은 다음 각호와 같다. <개정 1992.8.10>
1. 관공서의 공휴일. 다만, 일요일 및 일요일과 겹치는 관공서의 공휴일을 제외한다.
2. 매월 둘째 및 네째 월요일
3. 국립중앙도서관장(이하 "도서관장"이라 한다)이 도서의 정리 및 기타의 사유로 휴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날
②삭제 <2003.12.10>
③도서관장은 제1항제3호의 규정에 의한 휴관일을 미리 게시하여야 한다.

제3조 (이용시간) 도서관의 이용시간은 도서관장이 정하여 이를 게시하여야 한다. <개정 2003.12.10>

제4조 (사용료) 도서관자료 및 도서관시설에 대한 사용료의 금액은 도서관장이 정한다. <개정 2003.12.10>

제5조 (이용절차 등) 도서관자료·도서관시설의 이용절차 및 도서관 이용대상자의 범위 그 밖의 필요한 사항은 도서관장이 정한다.[전문개정 2003.12.10]

제6조 (행위의 제한) 도서관을 이용하는 자(이하 "이용자"라 한다)는 다음 각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1. 지정된 장소외의 곳에서 담배를 피우는 행위
2. 술을 마시거나 큰 소리로 떠드는 등 다른 이용자에게 방해가 되는 행위
3. 기타 도서관의 질서유지를 위하여 도서관장이 정하여 게시한 사항을 위반하는 행위

제7조 (질서유지) ①도서관장은 정신이상자, 술을 마신사람 기타 도서관의 질서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는 도서관에 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②도서관장은 이용자가 제6조 각호의 규정에 위반한 때에는 이용을 중지시키거나 도서관에서 나가게할 수 있다.

제8조 (자료의 대출제한) ①도서관자료는 다음 각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를 대출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상호대차·순회문고·이동도서관 운영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2. 공무원이 공무수행상 필요로 하는 경우
3. 기타 도서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②대출되는 도서관자료의 범위는 도서관장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제9조 (변상조치) ①도서관장은 이용자가 도서관자료 및 도서관시설을 더럽히거나 찢거나 깨뜨려 못쓰게 한 때 또는 이를 잃어버린 때에는 이용자로 하여금 이를 변상하게 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변상기준은 도서관장이 이를 정하여 게시하여야 한다.

부칙 <제8호,1991.7.16>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12호,1992.8.1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83호,2003.12.1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도서관법 시행규칙
[전부개정 2007.4.4 문화관광부령 제161호]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lawid.value = '007088';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pubdt.value = '20070404';

제1조 (목적) 이 규칙은 「도서관법」 및 동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도서관인정신청서 등) ① 「도서관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2조제2항에 따른 도서관인정신청서는 별지 제1호서식에 따른다.
②문화관광부장관은 영 제2조제2항에 따라 인정신청을 받거나 직권으로 검토한 시설이 영 제2조제1항에 따른 인정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별지 제2호서식의 도서관인정서를 교부하여야 한다.

제3조 (자격증의 교부신청) ①영 제4조제3항에 따라 사서자격증을 교부받으려는 자는 별지 제3호서식의 사서자격증교부신청서에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한국도서관협회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주민등록증 사본 또는 주민등록등본(외국인의 경우 여권사본)
2. 영 제4조제2항에 따른 사서직원의 자격요건에 해당함을 증명하는 서류
②대학·전문대학의 장 또는 영 별표 3에 따른 지정교육기관의 장(이하 "지정교육기관의 장"이라 한다)은 영 별표 3에 따른 자격요건을 갖춘 졸업예정자 또는 교육과정이수예정자에 대하여 별지 제4호서식 또는 별지 제5호서식에 따른 자격증교부신청서를 한국도서관협회장에게 제출하여 자격증교부를 신청할 수 있다.
③한국도서관협회장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자격증교부신청서를 접수한 경우에는 자격요건을 확인한 후 지체없이 별지 제6호서식에 따른 사서자격증을 해당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제4조 (연구경력의 인정기관) 영 별표 3의 1급정사서란의 제3호에서 "문화관광부령이 정하는 기관"이란 다음 각 호의 기관을 말한다.
1. 대학 및 전문대학
2.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법인이 설립한 연구기관

제5조 (자격증의 재교부신청) 자격증을 받은 자가 자격증을 잃어 버렸거나 헐어 못쓰게 되어 자격증을 다시 교부 받으려는 경우에는 별지 제7호서식의 사서자격증재교부신청서를 한국도서관협회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6조 (자격증의 기재사항 변경신청) 자격증의 기재사항을 변경하려는 자는 별지 제8호서식의 사서자격증기재사항변경신청서에 사서자격증과 기재사항의 변경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 한국도서관협회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7조 (실무조정회의) ①영 제7조제2항에 따른 실무조정회의의 위원장은 「도서관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2조제3항에 따른 기획단장이 되고, 위원은 상정되는 안건과 관련이 있는 다음 각 호의 자로 한다.
1. 관계 중앙행정기관 및 시·도의 3급 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이에 상당하는 공무원을 포함한다)
2. 그 밖의 자로서 의장이 지정하는 자
②실무조정회의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③실무조정회의에 출석하는 위원, 관계 공무원 또는 관계 전문가 등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수당, 여비 그 밖에 필요한 경비를 지급할 수 있다. 다만, 공무원이 그 소관 업무와 직접 관련하여 실무조정회의에 출석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8조 (자료의 납본서식 등) ①영 제13조제3항에 따라 납본을 하는 자가 제출하여야 하는 도서관자료제출서는 다음 각 호와 같고, 보상청구서는 별지 제10호서식에 따른다.
1. 영 제13조제1항제1호에 따른 도서를 납본하는 경우: 별지 제9호서식(1)
2. 영 제13조제1항제2호에 따른 연속간행물을 납본하는 경우: 별지 제9호서식(2)
3. 영 제13조제1항제3호부터 제8호까지에 따른 자료를 납본하는 경우: 별지 제9호서식(3)
②국립중앙도서관장은 보상금액을 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납본을 하는 자에 대하여 보상금 산정에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③국립중앙도서관장은 법 제20조제3항에 따라 납본을 한 자에게 다음 각 호의 서식에 따라 도서관자료제출필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1. 제1항제1호에 따른 도서를 납본한 자: 별지 제11호서식(1)
2. 제1항제2호에 따른 연속간행물을 납본한 자: 별지 제11호서식(2)
3. 제1항제3호에 따른 자료를 납본한 자: 별지 제11호서식(3)

제9조 (국제표준자료번호신청서) 영 제14조제2항에 따라 도서 또는 연속간행물에 대한 자료번호를 부여 받으려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류를 국립중앙도서관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도서: 별지 제12호서식(1)에 따른 신청서에 연간 출판(예정)목록과 출판사신고필증(출판사등록증) 사본을 첨부할 것
2. 연속간행물: 별지 제12호서식(2)에 따른 신청서에 간행물 견본(표지, 목차, 판권지)과 정기간행물등록증 사본을 첨부할 것

제10조 (도서관설립등록신청서 등) ①영 제18조 또는 영 제20조에 따른 등록신청서 및 시설명세서는 각각 별지 제13호서식 및 별지 제14호서식에 따른다.
②시장·군수·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은 영 제18조 또는 영 제20조에 따라 도서관설립등록을 한 자에게 별지 제15호서식의 도서관설립등록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③제2항에 따라 도서관설립등록증을 교부받은 자가 도서관을 폐쇄하거나 도서관설립자의 성명, 도서관의 명칭 또는 소재지(해당 시·군·자치구내에 한한다)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별지 제16호서식의 도서관설립변경(폐쇄)신고서에 도서관설립등록증을 첨부하여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11조 (사서직원의 자격증 발급 기관) 영 제22조에서 "문화관광부령으로 정하는 협회"란 법 제17조에 따라 설립된 한국도서관협회를 말한다.

제12조 (과태료의 징수절차) 영 제23조제4항에 따른 과태료의 징수절차는 「국고금관리법 시행규칙」을 준용한다. 이 경우 납입고지서에는 이의방법 및 이의기간 등을 함께 기재하여야 한다.

부칙 <제161호, 2007.4.4>
이 규칙은 2007년 4월 5일부터 시행한다.
서식1 도서관인정신청서
서식2 도서관인정서
서식3 사서자격증교부신청서
서식4 사서자격증교부신청
서식5 사서자격증교부신청
서식6 사서자격증
서식7 사서자격증재교부신청서
서식8 사서자격증기재사항변경신청서
서식9 도서관자료제출서[도서]
서식10 제출자료보상청구서
서식11 도서관자료제출필증[도서]
서식12 국제표준도서번호[발행자번호]신청서
서식13 도서관설립등록신청서
서식14 도서관시설명세서
서식15 도서관설립등록증
서식16 도서관설립변경[폐쇄]신고서
대지면적(㎡)
건축연면적(㎡)
서고면적(㎡)
자료실면적(㎡)
층수
본관
142,233
34,772.53
15,975
10,208
지상 7층지하 1층
사서연수관
8,198.89
지상 2층지하 1층
자료보존관
16,539.55
10,093
지상 2층지하 4층
학위논문관
12,316
8,050.00
972
1,658
지상 4층
지하 2층
-->
시설명
수량
수용능력
위치
주요시설
정보봉사실
1실
120석
1층
- 온라인 목록 검색 PC(20대)- Web DB(8대 : 야간도서관 전용)- 전광판- 노트북 이용시설(Lan 16 Line)
소지품 보관함
2실
1,300개
1층
전시실
1실
324㎡
1층
책사랑
1실
267㎡
1층
문화상품전시관 및 매점
자료실
15실
1,082석
1∼5층,7층
- 복사실(4실)- 전자감응장치(6조)- 자료촬영접사대(3대)- 마이크로필름 리더 프린터기(11대)
서고
7개
240만책
지하1층∼지상7층
항온항습기(8대), 덤웨이트(4대)
휴게실
1실
198㎡
2층
공중전화
식당
2개
500명
별관1층
직원식당(1), 이용자식당(1)
국제회의장
1개
400석
별관1층
동시통역시설(35m/m 2대), 무대장치 및 조명시설(1)
시설명
부대시설
대강의실(100석)
주요장비 : 최신 빔프로젝트(LCD), OHP, VTR, 실물화상기, 슬라이드 등 제공
소강의실(40석)
주요장비 : 대강의실과 동일
세미나실(30석)
설치시설/장비 : LCD, 영상장비

-->
분임토의실(7실)
설치시설/장비 : 펜티엄 PC, 레이저프린터, 에어컨, 사물함, 옷장
정보화교육실(2실,80명 수용가능)
PC사양 : 펜티엄Ⅳ, 초고속인터넷망 등
보유 S/W : Win XP, Ms-office2000, 한글97, 나모웹에디터4.0 등
기타, 교육생자치회실, 양호실, 휴게실
설치시설/장비 : 쇼파1조, 펜티엄PC, 프린터
시설명
수용능력
부대시설
비도서
2,192㎡
철재복식 8단
일반서고
5,676㎡
모빌렉(1,606조)
고서고
1,666㎡
개가식 목재서가(303조), 권자본서가(3조)
귀중서고
559㎡
목재장, 서랍장, 고지도보관함, 신문보관함, 서고내 조습판넬, 특수출입문설치
자료소독실
45㎡
진공 자료소독 시스템
자료보존실
139.5㎡
기계식 배접장비,수선복원 작업대, 진공테이블, 전자현미경, 강제열화측정기,유해가스측정기등
마이크로필름실
45㎡
마이크로필름촬영기, 현상기, 복제기, 세척기, 되감기, 농도검사기 등
탈산처리실
45㎡
대량탈산처리기, 소량탈산분무기, 약품세척기 등
기타
정리실, 공조실, 덤웨이터, 서고내 항온항습 설비


Organization: 2 Departments 1 Group, 6 Divisions 4 Teams 1 Coordinator Staff:
228 people -->
(As of Dec 31.
2005)












* Category

Librarian

Administration

General & Special
Service














* Number
122

34

8














* Category
Technical

Special
Service

Skilled
Labors

Total











* Number
5

7

52

228
















-->
Organization Chart

홈 > 도서관소개 > 자료현황

소장자료
(2008.02.29 현재)

계(6,619,014)

국내서(443,989)

외국서(863,100)

비도서(1,046,829)

고서(265,096)


주제별 분포현황
(2008.02.29 현재)

계(6,619,014)

총류(483,186)

인문과학(2,713,797)

사회과학(1,740,801)

자연과학(1,681,230)


수집내역별 현황
(2008.02.29 현재)

계(6,619,014)

납본(4,817,873)

구입(513,569)

기증(747,862)

교환(393,916)

자체생산(145,794)


연도별 장서증가 추이
(2007.12.31 현재)

1997(3,030,000)

1998(3,290,000)

1999(3,540,000)

2000(3,880,000)

2001(4,030,000)

2002(4,380,000)

2003(4,766,960)

2004(5,310,792)

2005(5,704,530)

2006(6,134,720)

2007(6,582,101)







연속간행물 비치현황
(2006.12.31 현재)













구 분
신 문
잡 지
총 계


국 내
4,959
57,245
62,204


국 외
40
922
962



4,999
58,167
63,166







연속간행물 비공개처리 -->
국보 1종 1책 보물 6종 33책 (32책 + 1괄) 서울시 유형문화재 6종 9책 => 총 13종 43책
번호
자료명
책수
지정번호
解題
1
십칠사찬고금통요
1책
국보제148호
- 호정방(원) 찬, 1403년 (태종 3) 간행, 계미자본.
- 중국 태고로부터 오대에 이르기까지의 17정사 중 요점만을 뽑아
편찬한 책.
- 조선 최초의 동활자인 계미자로 인출한 점에서 가치가 크며,
고려와 조선의 주자술과 조판 발달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
2
석보상절
4책
보물제523-1호
- 수양대군 찬, 1449년 (세종 31) 간행, 갑인자본.
- 수양 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들어 어머니 소헌왕후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석가보 및 불경에서 뽑아, 한글로 번역하여 산문체로
엮은 석가모니의 일대기.
- 판본학 및 국어음운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
3
동인지문사륙
1책
보물제710-(3)호
- 최해 찬, 1355년 (공민왕 4) 간행, 목판본.
- 고려말의 문신 최해(1287~1340)가 우리 나라 역대의 시문을 뽑아
모은 것.
4
민간활자 및인쇄용구
1괄
보물제865호
- 19세기에 제작되어 민간에서 책을 찍어 내는데 사용한 인서체
목활자 및 인쇄용 도구.
- 호남지방에서 제작되어 주로 기호 지방 일대에서 많이 사용됨.
5
동의보감
25책
보물제1085호
- 허준 저, 1613년 (광해군 5) 간행, 내의원자본.
- 선조-광해년간의 명의 허준이 왕명에 의하여 내의원에서 간행한책.
- 한국인의 체질에 맞게 처방된 의서로 한의학의 종주국인 중국
에까지 널리 소개된 명저.
6
언해태산집요
1책
보물제1088호
- 허준 찬, 1608년 (선조 41) 간행, 내의원자본.
- 허준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 간행한 산부인과 계통의 의서.
- 1434년에 노중예가 편찬한 [태산요록]을 개편, 언해한 책으로
국어사, 한의학사료로 가치가 큼.
7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1책
보물제1537호
- 18세기, 채색필사 1장
- 우리나라의 북부지방과 만주지방을 그린 관방지도
- 숙종(肅宗) 때 백두산정계비를 세운 이후 국경 방어를 위해 제작한
관방지도의 하나로, 압록강과 두만강 너머 만주 지역까지 자세하게
군사적 정세를 나타내어 학술적 가치가 높음.
8
목장지도
1책
서울시유형문화재제82호
- 허목 찬, 1663년 (현종4) 간행, 필사본.
- 전국의 목장소재지를 지도로 만들고 각 목장별 소, 말, 목자의
통계 및 목장면적 등을 기재한 채색필사본.
- 당시의 마정과 목장에 관한 시책을 알 수 있는 귀중본임.
9
조.아통상조약(한문, 아문)
2책
서울시유형문화재제108호
- 고종 22년 (1885) 대조선국과 대아라사국간에 체결된 조약문.
- 양국이 평화롭게 왕래하며 통상함.
- 수출, 수입품목이 기록되어 있음.
10
조.영통상조약(영문)
1책
서울시유형문화재제109호
- 고종 21년 (1884) 대조선국과 대영국간에 체결된 조약문.
- 영문으로 된 것은 기술되어 있고, 말미에 붙은 한문은 한장으로
양국 대신을 파견하여 조약을 이행할 것을 적음.
11
대조선국.대덕국통상조약(한문, 영문,독문)
3책
서울시유형문화재제110호
- 고종 21년(1884) 대조선국과 대덕국(독일)간에 체결된 조약문.
- 양국이 영원히 평화롭게 피차왕래하며 통상하고, 수단으로 신분
보장과 재산보호 총영사관 설치.
- 양국간에 범법 발생시 양국주차관원이 조회하여 국률에 의거 심판.
- 통상은 농기를 비롯 서적, 지도, 식물류, 백번, 주류, 호백, 약품
등으로 한정
12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한문)
1책
서울시유형문화재제111호
- 광무 3년 (1886) 대조선국과 청국간에 체결된 조약문.
- 양국 상민은 피차 균등한 자격으로 거류민을 보호하며 양국의
전권대신이 주둔하고 지정한 통상지역에서만 무역함.
- 범법 발생시 양국 영사관을 통하여 조회 심판함.
13
대조선국.대법민주국통상조약(한문)
1책
서울시유형문화재제112호
- 고종 23년 (1886) 대조선국과 대법민주국 (프랑스) 간에 체결된
조약문.
- 피차 영원히 평화롭게 통상하며 총영사관을 둠.
- 인천부 제물포와 원산, 부산, 한양의 양화진을 모두 통상호로
정하고 통상

13종 43책 (42책 + 1괄)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국립중앙도서관

1987.10.28
도서관법 개정


1988.05.28
본관 신축 이전(서울 중구 남산에서 서초구 반포동으로)


1990.08.24
국제표준자료번호제도 운영 개시


1991.04.08
도서관진흥법 제정, 문교부에서 문화부로 소속 변경


1991.12.17
조직 확대 개편(5과 1실 1분관 → 2부 7과 1담당관 1분관)


1994.03.24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제정


1997.11.25
전자도서관 시범시스템 개통


1998.02.28
조직개편(2부 7과 1담당관 1분관 → 2부 6과 1담당관 1분관)


1999.10.08
국립중앙도서관 통합정보시스템(KOLIS) 개통


1999.11.01
분관을 '학위논문관'으로 기능 전환하여 재개관


2000.08.30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관' 신축


2001.06.16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KOLIS-NET) 홈페이지 개통


2001.09.29
분관명칭을 '학위논문관'으로 변경


2001.12.17
'디지털자료실'(구 전자도서실) 확장개관


2002.07.02
'출판시도서목록(CIP)'제도 시범실시


2002.12.30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개발


2003.03.18
국회도서관 상호협력에 대한 협약 체결


2003.05.30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직장협의회 창립


2003.09.05
도서관문화혁신위원회 구성


2004.09.15
500만 장서 달성


2004.11.18
도서관 기능혁신 및 조직개편


2005.10.15
국립중앙도서관 개관60주년


2006.04.06
직제 개정(대통령령 제19439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직제 반영직제 시행규칙 개정(문화관광부령 제134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팀명, 분장업무 및 작은도서관진흥팀 신설 반영


2006.06.28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개관


2006.08.20
2006 서울 세계도서관정보대회, 제33차 세계국립도서관장회의 개최


2006.10.04
「도서관법」공포(법률 제8029호)


2006.12.28
「독서문화진흥법」제정(법률 제8100호)


2007.05.22
도서관연구소,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신설


2007.09.19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신설
국립도서 조직도
2부 1관 1연구소 1센터 6과 4팀 1담당관 1기획단 (2008년 3월 17일 현재)

Home। 도서관안내 · 자료찾기 · 도서관소식. Copyright(c)2003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http://m.nl.go.kr/PDA/main.jsp
도서관 법

도서관법
[일부개정 2006.12.20 법률 제8069호]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lawid.value = '000830';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pubdt.value = '20061220';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법은 국민의 정보 접근권과 알 권리를 보장하는 도서관의 사회적 책임과 그 역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도서관의 육성과 서비스를 활성화함으로써 사회 전반에 대한 자료의 효율적인 제공과 유통, 정보접근 및 이용의 격차해소, 평생교육의 증진 등 국가 및 사회의 문화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도서관"이라 함은 도서관자료를 수집·정리·분석·보존하여 공중에게 제공함으로써 정보이용·조사·연구·학습·교양·평생교육 등에 이바지하는 시설을 말한다.
2. "도서관자료"라 함은 도서관이 수집·정리·보존하는 자료로서 인쇄자료, 필사자료, 시청각자료, 마이크로형태자료, 전자자료 그 밖에 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 등 지식정보자원 전달을 목적으로 정보가 축적된 모든 매체를 말한다.(이하 "자료"라 한다)
3. "도서관서비스"라 함은 도서관이 자료와 시설을 활용하여 국민에게 제공하거나 지원하는 대출·열람·참고서비스, 각종 시설과 정보기기의 이용서비스, 자료 입수 및 정보해득력 강화를 위한 이용지도교육, 국민독서활동 지원 등 일체의 유·무형의 서비스를 말한다.
4. "공공도서관"이라 함은 공중의 정보이용·문화활동·독서활동 및 평생교육을 위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도서관이나 공중에게 개방할 목적으로 민간기관 및 단체가 설립한 도서관을 말한다. 다음 각 호의 시설은 공공도서관의 범주 안에 포함된다.
가. 제5조의 규정에 따른 도서관의 시설 및 자료기준에 미달되는 소규모의 비영리 독서시설인 문고
나. 장애인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장애인도서관
다. 의료기관에 입원 중인 사람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병원도서관
라. 육군, 해군, 공군 등 각급 부대의 병영 내 장병들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병영도서관
마. 교도소에 수용 중인 사람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교도소도서관
바. 어린이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어린이도서관
5. "대학도서관"이라 함은 「고등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대학 및 다른 법률의 규정에 따라 설립된 대학교육과정 이상의 교육기관에서 교수와 학생, 직원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을 말한다.
6. "학교도서관"이라 함은 「초·중등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고등학교 이하의 각급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 직원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을 말한다.
7. "전문도서관"이라 함은 그 설립 기관·단체의 소속 직원 또는 공중에게 특정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을 말한다.
8. "납본"이라 함은 자료를 발행하거나 제작한 자가 일정 부수를 법령에서 정한 기관에 의무적으로 제출하는 것을 말한다.

제3조 (적용범위) 이 법은 정보관·정보센터·자료실·자료센터·문화센터 및 이와 유사한 명칭과 기능이 있는 시설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문화관광부장관이 인정하는 시설에 대하여도 적용한다.

제4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지식정보에 접근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발전을 지원하여야 하며 이에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제5조 (도서관의 시설 및 자료) ①도서관은 자료의 보존·정리와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적합한 시설 및 자료를 갖추어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른 도서관의 시설 및 자료의 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6조 (사서직원 등) ①도서관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사서직원, 「초·중등교육법」 제21조제2항의 규정에 따른 사서교사 및 실기교사를 두어야 하며, 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전산직원 등을 둘 수 있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른 사서직원의 구분 및 자격요건과 양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③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서관직원의 전문적 업무수행 능력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이에 따른 교육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제7조 (도서관의 이용·제공 등) ①도서관은 자료의 유통·관리 및 이용 등에 관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식정보의 공동이용을 위하여 다른 도서관과 협력하여야 한다.
②도서관은 주민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박물관·미술관·문화원·문화의 집 등 각종 문화시설과 교육시설, 행정기관, 관련 단체 및 지역사회와 협력하여야 한다.
③대학도서관·학교도서관·전문도서관 등은 그 설립 목적의 수행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공중이 이용할 수 있도록 시설 및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제8조 (이용자의 개인정보보호) 도서관은 도서관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1. 이용자의 정보수집과 관리, 공개 등에 관한 규정의 제정에 관한 사항
2. 도서관직원에 대한 관련 교육의 실시에 관한 사항
3. 그 밖에 이용자의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도서관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사항

제9조 (금전 등의 기부) 「민법」등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단체 및 개인은 도서관의 설립·시설·자료 및 운영을 지원하기 위하여 금전 그 밖의 재산을 도서관에 기부할 수 있다.

제10조 (유사명칭의 사용금지) 이 법에 따른 도서관이 아니면 "도서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제11조 (다른 법률과의 관계) 도서관에 관하여는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법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제2장 도서관정책의 수립 및 추진체제

제12조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설치) ①도서관정책에 관한 주요사항을 수립·심의·조정하기 위하여 대통령 소속하에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이하 "도서관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도서관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수립·심의·조정한다.
1. 제14조의 종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도서관 관련 제도에 관한 사항
3. 국가와 지방의 도서관 운영체계에 관한 사항
4. 도서관 운영평가에 관한 사항
5. 도서관 및 자료의 접근·이용격차의 해소에 관한 사항
6. 도서관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사항
7. 그 밖에 도서관정책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③도서관위원회의 사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위원회에 사무기구를 두고, 제2항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화관광부에 기획단을 둔다.
④도서관위원회의 사무기구 및 기획단 설치·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⑤위원장은 사무기구 및 기획단의 업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 행정기관의 공무원 또는 관련 단체의 임직원의 파견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받은 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

제13조 (도서관위원회의 구성) ①도서관위원회는 위원장 1인과 부위원장 1인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②위원장은 대통령이 위원 중에서 위촉하고, 부위원장은 문화관광부장관이 되며,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자가 된다.
1. 대통령령이 정하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이에 준하는 기관의 장
2. 도서관에 관한 전문지식 및 경험이 풍부한 자 중 위원장이 위촉하는 자. 다만, 초대위원은 부위원장이 위촉한다.
③위원장은 회의를 소집·주재한다.
④위원장은 필요한 경우에 부위원장으로 하여금 직무를 대행하게 할 수 있다.
⑤제2항제2호의 규정에 따른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1차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⑥위원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거나 궐위된 때에는 지체없이 새로운 위원을 임명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보임된 위원의 임기는 전임위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
⑦도서관위원회의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4조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수립) ①도서관위원회위원장은 도서관의 발전을 위하여 5년마다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야 한다.
②종합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도서관정책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2. 도서관정책의 추진목표와 방법에 관한 사항
가. 도서관의 역할강화에 관한 사항
나. 도서관의 환경개선에 관한 사항
다. 도서관의 협력체계 활성화에 관한 사항
라. 그 밖에 도서관정책의 주요 시책에 관한 사항
3. 역점 추진과제 및 관계 부처 등의 협조에 관한 사항

제15조 (연도별 시행계획의 수립 등) ①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특별시장·광역시장 및 도지사는 종합계획에 기초하여 매년 12월말까지 연도별 시행계획(이하 "시행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②시행계획의 수립 및 추진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6조 (재원의 조달) ①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의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②도서관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재원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문화예술진흥법」 제17조의 규정에 따른 문화예술진흥기금에서 출연 또는 보조할 수 있다.

제17조 (도서관 관련 협회등의 설립) ①문화관광부장관은 도서관 상호 간의 자료교환, 업무협력과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 관련국제단체와의 상호협력, 도서관서비스 진흥 및 도서관의 발전, 직원의 자질향상과 공동이익의 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도서관 관련 협회 등(이하 "협회등"이라 한다)의 법인 설립을 허가할 수 있다.
②국가는 제1항의 규정에 따른 협회등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보조할 수 있다.
③협회등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 중 비영리법인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3장 국립중앙도서관

제18조 (설치 등) ①문화관광부장관은 그 소속하에 국가를 대표하는 도서관으로서 국립중앙도서관을 둔다.
②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효율적인 업무처리 및 지역간 도서관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지역별·분야별 분관을 둘 수 있다.
③그 밖에 국립중앙도서관의 조직 및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9조 (업무) ①국립중앙도서관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종합계획에 따른 관련 시책의 시행
2. 국내외 자료의 수집·제공·보존관리
3. 국가 서지 작성 및 표준화
4. 정보화를 통한 국가문헌정보체계 구축
5. 도서관직원의 교육훈련 등 국내 도서관에 대한 지도·지원 및 협력
6. 외국도서관과의 교류 및 협력
7. 도서관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 및 조사·연구
8. 그 밖에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업무
②제1항제7호의 업무수행을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 도서관연구소(이하 "연구소"라 한다)를 둔다.
③연구소의 설립·운영 및 업무에 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④국립중앙도서관은 그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국회도서관과 협력하여야 한다.

제20조 (자료의 납본) ①「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제1호에 따른 공공기관은 자료를 발행 또는 제작한 경우에는 그 발행 또는 제작일부터 30일 이내에 그 자료를 국립중앙도서관에 납본하여야 한다. 수정증보판을 발행하거나 제작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른 공공기관 이외의 개인이나 단체가 자료를 발행 또는 제작한 경우에는 그 발행 또는 제작일부터 30일 이내에 그 자료를 국립중앙도서관에 납본하여야 한다. 수정증보판을 발행하거나 제작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③국립중앙도서관은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자료를 납본한 자에게 지체 없이 제출필증을 교부하여야 하며 그 자료에 대하여 정당한 보상을 하여야 한다.
④납본대상 자료의 종류·부수와 그 절차 및 보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1조 (국제표준자료번호) ①도서 또는 연속간행물을 발행하고자 하는 공공기관, 개인 및 단체는 그 도서 또는 연속간행물에 대하여 국립중앙도서관으로부터 국제표준자료번호(이하 "자료번호"라 한다)를 부여받아야 한다.
②국립중앙도서관은 제1항의 규정에 따른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출판 등 관련 전문기관·단체 등과 상호 협력하여야 한다.
③자료번호의 부여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4장 공공도서관

제22조 (지역대표도서관) ①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도(이하 "시·도"라 한다)는 해당지역의 도서관시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운영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른 지역대표도서관의 설립·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3조 (업무) 지역대표도서관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시·도 단위의 종합적인 자료의 수집·정리·보존 및 제공
2. 지역의 공공도서관 지원 및 협력사업 수행
3. 도서관 업무에 관한 조사·연구
4. 지역의 자료수집 지원 및 다른 도서관으로부터 이관받은 자료의 보존
5.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 수집활동 및 도서관 협력사업 등 지원
6. 그 밖에 지역대표도서관으로서 필요한 업무

제24조 (지방도서관정보서비스위원회의 설치 등) ①시·도는 관할지역 내에 있는 도서관의 균형 있는 발전과 지식정보격차의 해소에 관한 주요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지방도서관정보서비스위원회(이하 "지방도서관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지방도서관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지방도서관의 균형발전에 관한 사항
2. 지방도서관의 지식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사항
3. 그 밖에 지방도서관정책을 위하여 지방도서관위원회에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③지방도서관위원회는 위원장 1인과 부위원장 1인을 포함한 1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④위원장은 시·도지사가 되고, 부위원장은 지역대표도서관장이 되며 위원은 도서관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중 위원장이 위촉하는 자가 된다.
⑤위원장은 회의를 소집·주재한다.
⑥위원장은 필요한 경우에 부위원장으로 하여금 직무를 대행하게 할 수 있다.
⑦지방도서관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제25조 (운영비의 보조) 국가는 도서관 협력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을 설치한 시·도에 대하여 그 사업비의 일부를 보조할 수 있다.

제26조 (자료의 제출) ①지방자치단체가 자료를 발행 또는 제작한 경우에는 그 발행일이나 제작일부터 30일 이내에 자료 2부를 관할지역 안에 있는 지역대표도서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②제출대상 자료의 종류 및 절차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7조 (공공도서관 설치 등) ①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공공도서관(이하 "공립 공공도서관"이라 한다)을 설립·육성하여야 한다.
②「민법」 그 밖의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이하 "법인"이라 한다), 단체 또는 개인은 공공도서관(이하 "사립 공공도서관"이라 한다)을 설립할 수 있다.
③제1항의 규정에 따라 설립된 공립 공공도서관은 "도서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야 한다.

제28조 (업무) 공공도서관은 정보 및 문화, 교육센터로서 수행하여야 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자료의 수집·정리·보존 및 공중에 이용 제공
2. 공중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 및 지방행정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
3. 독서의 생활화를 위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4. 강연회, 전시회, 독서회, 문화행사 및 평생교육 관련 행사의 주최 또는 장려
5. 다른 도서관과의 긴밀한 협력 및 자료의 상호대차
6. 지역 특성에 따른 분관 등의 설립 및 육성
7. 그 밖에 공공도서관으로서의 기능수행에 필요한 업무

제29조 (공립 공공도서관의 운영 및 지원 등) ①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서관의 설립·운영 및 자료수집에 관하여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하는 등 공립 공공도서관의 균형 있는 발전과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②공립 공공도서관에 대하여는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회계에서 그 운영비를 부담하여야 한다.
③「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32조의 규정에 따라 교육감이 설립·운영하는 공립 공공도서관에 대하여는 해당지방자치단체의 일반회계 예산의 범위 안에서 그 운영비의 일부를 부담하여야 한다. <개정 2006.12.20>

제30조 (공립 공공도서관의 관장 및 도서관운영위원회) ①공립 공공도서관의 관장은 사서직으로 임명한다.
②공립 공공도서관은 해당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고 각종 문화시설과 긴밀히 협조하기 위하여 도서관운영위원회를 두어야 한다.
③제2항의 규정에 의한 도서관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제31조 (사립 공공도서관의 등록 및 폐관) ①법인·단체 또는 개인이 사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고자 할 때에는 제5조 및 제6조의 규정에 따른 시설·자료 및 사서직원 등에 관한 기준을 갖추고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자치구의 구청장(이하 "시·군·구청장"이라 한다)에게 등록신청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군·구청장은 등록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라 등록한 사립 공공도서관의 설립자가 당해 도서관을 폐관하고자 할 때에는 시·군·구청장에게 등록증을 반납하여야 한다.

제32조 (사립 공공도서관의 지원 등)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31조제1항의 규정에 따라 등록한 사립 공공도서관의 균형 있는 발전과 효율적 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제33조 (사용료) 공공도서관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이용자에게서 사용료를 받을 수 있다. 다만, 공립 공공도서관의 사용료는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5장 대학도서관

제34조 (설치)「고등교육법」제2조의 규정에 따른 대학 및 다른 법률의 규정에 따라 설립된 대학교육과정 이상의 교육기관에는 대학도서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제35조 (업무) 대학도서관은 교수와 학생의 연구 및 교육활동과 교직원 등의 지식정보 함양에 필요한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대학교육에 필요한 각종 정보자료의 수집·정리·보존 및 서비스 제공
2. 효율적 교육 과정의 수행을 위한 지원
3. 다른 도서관 및 관련 기관과의 상호협력과 서비스 제공
4. 그 밖에 대학도서관으로서의 기능수행에 필요한 업무

제36조 (지도·감독) 대학도서관은 「고등교육법」과 「사립학교법」 및 그 밖의 법률의 규정에 따른 해당대학의 지도·감독이나 교육기관의 감독청의 지도·감독을 받아야 한다.
제6장 학교도서관

제37조 (설치) 「초·중등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학교에는 학교도서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제38조 (업무) 학교도서관은 학생 및 교원 등의 교수,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학교교육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정리·보존 및 이용서비스 제공
2. 학교소장 교육 자료의 통합관리 및 이용 제공
3. 시청각자료 및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제작 및 이용 제공
4. 정보관리시스템과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공유체제의 구축 및 이용 제공
5. 도서관 이용의 지도 및 독서교육, 협동수업 등을 통한 정보 활용의 교육
6. 그 밖에 학교도서관으로서 해야 할 기능수행에 필요한 업무

제39조 (지도·감독) 학교도서관은 「초·중등교육법」과 「사립학교법」 및 그 밖의 법률의 규정에 따른 해당학교의 감독청의 지도·감독을 받는다.
제7장 전문도서관

제40조 (등록 및 폐관) ①국가, 지방자치단체, 법인, 단체 또는 개인은 전문도서관을 설립할 수 있다.
②법인, 단체 또는 개인이 전문도서관을 설립(이하 "사립 전문도서관"이라 한다)하고자 할 때에는 제5조 및 제6조의 규정에 따른 시설·자료 및 사서직원 등에 관한 기준을 갖추고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군·구청장에게 등록 신청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군·구청장은 등록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③제2항의 규정에 따라 등록한 사립 전문도서관의 설립자가 해당도서관을 폐관하고자 할 때에는 시·군·구청장에게 등록증을 반납하여야 한다.

제41조 (업무) 전문도서관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전문적인 학술 및 연구 활동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정리·보존 및 이용서비스 제공
2. 학술 및 연구 활동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지원
3. 다른 도서관과의 자료공유를 비롯한 다양한 협력활동
4. 그 밖에 전문도서관으로서의 기능수행에 필요한 업무

제42조 (준용) 제32조의 규정은 제40조제2항의 규정에 따라 등록된 사립 전문도서관에 대하여 이를 준용한다.
제8장 지식정보격차의 해소

제43조 (도서관의 책무) ①도서관은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지식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시설과 지식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자료, 프로그램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②도서관은 모든 국민이 신체적·지역적·경제적·사회적 여건에 관계없이 공평한 지식정보서비스를 제공받는 데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③도서관은 지식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장애인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식정보 취약계층(이하 "지식정보 취약계층"이라 한다)의 접근 및 이용편의를 증진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제44조 (지식정보격차 해소의 지원) ①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식정보 취약계층이 도서관시설과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②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 제10조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에 따라 지식정보 취약계층의 지식정보 접근 및 이용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서관이 자료, 시설, 정보기기 및 소프트웨어 등을 구비하는데 필요한 재정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제45조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의 설립·운영) ①국립중앙도서관장 소속하에 지식정보 취약계층 중에서 특히 장애인에 대한 도서관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라 한다)를 둔다.
②지원센터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를 위한 국가 시책 수립 및 총괄
2. 장애인 서비스를 위한 도서관 기준 및 지침의 제정
3. 장애인을 위한 독서자료·학습교재·이용설명서 등의 제작·배포
4. 장애인을 위한 정보서비스와 특수설비의 연구 및 개발
5. 장애인의 정보서비스를 담당하는 전문직원 교육
6. 장애인의 정보서비스를 위한 국내외 도서관과의 협력
7. 그 밖에 장애인에게 필요한 도서관서비스에 관한 업무
③지원센터의 설립·운영 및 업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9장 보칙

제46조 (권한의 위임·위탁) 이 법에 따른 문화관광부장관의 권한은 그 일부를 시·도지사에게 위임하거나 협회 및 관련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이 경우 문화관광부장관은 위탁업무 수행을 위하여 협회 및 단체 등에 사업비를 포함한 운영비를 지원할 수 있다.

제47조 (과태료) 제20조제2항의 규정을 위반한 자는 해당자료정가(그 자료가 비매자료인 경우에는 해당간행자료의 원가)의 10배에 해당하는 금액 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제48조 (과태료의 부과·징수절차) ①제47조의 규정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관광부장관이 부과·징수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른 과태료 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의 고지를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문화관광부장관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③제1항의 규정에 따른 과태료 처분을 받은 사람이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이의를 제기한 경우에는 문화관광부장관은 지체 없이 관할법원에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하며, 그 통보를 받은 관할법원은 「비송사건절차법」에 따른 과태료의 재판을 한다.
④제2항의 규정에 따른 기간 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고 과태료를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이를 징수한다.

부칙 <제8029호, 2006.10.4>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 (도서관 등록 등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 종전의「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의 규정에 따라 등록·신고된 도서관 및 문고는 이 법에 따른 것으로 본다.
제3조 (도서관협회 등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 종전의「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제14조의 규정에 따라 설립된 협회등은 이 법에 따라 설립된 단체로 본다. 다만, "새마을문고 중앙회"에 대한 지도·감독은 문화관광부장관과 협의하여 행정자치부장관이 한다.
제4조 (행정처분 등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 종전의 규정에 따라 문화관광부장관 등의 행정기관이 행한 등록, 그 밖의 행정기관의 행위 또는 각종 신고, 그 밖의 행정기관에 대한 행위는 그에 해당하는 이 법에 따른 행정기관의 행위 또는 행정기관에 대한 행위로 본다.
제5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著作權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8조제1항 중 "圖書館및讀書振興法"을 "「도서관법」"으로 한다.
②文化藝術振興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0조제6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6. 그 밖에 도서관의 지원·육성 등 문화예술의 진흥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시설의 사업이나 활동
제6조 (다른 법령과의 관계) 이 법 시행당시 다른 법령에서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을 인용한 경우에는 「도서관법」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부칙(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8069호,2006.12.20>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2007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 내지 제8조 생략
제9조 (다른 법령과의 관계) ①내지 ④생략
⑤법률 제8029호 도서관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9조제3항 중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34조"를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32조"로 한다.
⑥생략


도서관법 시행령
[전부개정 2007.3.27 대통령령 제19963호]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lawid.value = '003409';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pubdt.value = '20070327';

제1조 (목적) 이 영은 「도서관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인정요건 및 절차) ①「도서관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3조에 따라 문화관광부장관은 정보관·정보센터·자료실·자료센터·문화센터 등의 시설 중 공중이 그 시설에서 보존하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검색·이용 및 대출에 관한 시설을 갖춘 시설을 직권 또는 신청을 받아 이 법의 적용을 받는 시설로 인정할 수 있다.
②제1항에 따른 시설로 인정을 받으려는 자는 인정신청서에 보존하는 자료의 현황과 검색·이용 및 대출에 관한 시설의 현황에 관한 서류를 첨부하여 문화관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3조 (도서관의 시설과 자료) 법 제5조제2항에 따라 도서관이 갖추어야 하는 시설과 자료의 기준은 별표 1과 같다.

제4조 (사서직원 등) ①법 제6조제1항에 따라 도서관에 두는 사서직원의 기준은 별표 2와 같다.
②법 제6조제2항에 따른 사서직원의 구분과 자격요건은 별표 3과 같다.
③문화관광부장관은 제2항에 따른 사서직원의 자격요건을 갖춘 자에게 문화관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사서자격증을 발급하여야 한다.

제5조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심의·조정사항) 법 제12조제2항제7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1. 도서관 운영 및 이용 실태에 관한 사항
2. 법 제24조에 따른 지방도서관정보서비스위원회와의 협력에 관한 사항
3. 도서관 이용 등에 관한 민간 참여 및 자원봉사 활성화에 관한 사항
4. 도서관자료의 교환, 이관, 폐기 및 제적(除籍 : 더 이상 이용가치가 없는 도서를 등록대장에서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의 기준과 범위에 관한 사항
5. 도서관의 시설 및 자료 기준과 사서직원 배치 기준에 관한 사항
6. 제8조에 따른 연도별 시행계획의 수립지침 및 관계 행정기관의 의견조정에 관한 사항
7. 그 밖에 도서관의 주요 정책과 사업에 관한 사항으로서 법 제12조에 따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이하 "도서관위원회"라 한다)의 위원장이 회의에 부치는 사항

제6조 (도서관위원회의 당연직 위원) ①법 제13조제2항제1호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이에 준하는 기관의 장"이란 재정경제부장관·교육인적자원부장관·과학기술부장관·법무부장관·국방부장관·행정자치부장관·문화관광부장관·정보통신부장관·보건복지부장관·여성가족부장관·건설교통부장관·기획예산처장관 및 국가청소년위원회위원장을 말한다.
②도서관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③도서관위원회에 출석하는 위원, 관계 공무원 또는 관계 전문가 등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수당, 여비 그 밖에 필요한 경비를 지급할 수 있다. 다만, 공무원이 그 소관 업무와 직접 관련하여 도서관위원회에 출석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이 영에서 정한 것 외에 도서관위원회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도서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도서관위원회의 위원장이 정한다.

제7조 (실무조정회의) ①도서관위원회의 심의 안건에 대한 관계 행정기관의 실무협의 및 조정을 위하여 실무조정회의를 둘 수 있다.
②실무조정회의의 구성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문화관광부령으로 정한다.

제8조 (연도별 시행계획의 수립) ①법 제15조에 따른 연도별 시행계획의 효율적인 수립을 위하여 문화관광부장관은 도서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다음 해의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지침(이하 "시행계획수립지침"이라 한다)을 정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이하 "시·도지사"라 한다)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②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시·도지사는 제1항의 시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도서관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1. 해당 연도의 사업추진방향
2. 주요 사업별 추진방향
3. 주요 사업별 세부운영계획
4. 그 밖의 사업추진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

제9조 (도서관직원의 교육훈련) ①국립중앙도서관은 법 제19조제1항제5호에 따른 도서관직원의 교육훈련을 위하여 사서교육훈련과정을 설치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②도서관의 장은 소속 직원이 5년에 1회 이상 제1항에 따른 사서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③국립중앙도서관장은 제1항에 따른 사서교육훈련과정의 일부를 다른 도서관·연수기관 또는 문헌정보학과나 도서관학과를 설치한 대학으로 하여금 실시하게 할 수 있다.
④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서 정한 것 외에 도서관직원에 대한 교육훈련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립중앙도서관장이 정한다.

제10조 (국립중앙도서관의 협력업무) 국립중앙도서관은 법 제19조제1항제5호 및 제6호에 따른 국내외 도서관과의 교류와 협력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1. 국가문헌정보체계 구축을 통한 정보와 자료의 유통
2. 분담수서(分擔收書 : 자료를 분담하여 수집하는 것을 말한다), 상호대차(相互貸借 : 도서관간에 자료를 상호교류하는 것을 말한다), 종합목록 및 자료의 공동보존
3. 국내외 희귀자료의 복제와 배부
4. 자료 보존 관련 교육
5. 국제도서관기구에의 가입과 국제간 공동사업 수행에의 참여
6. 국내외 각종 도서관과의 업무협력 연계체제 구축을 위한 도서관협력망의 운용

제11조 (국제교류를 위한 자료의 제공) ①국립중앙도서관장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제1호에 따른 공공기관이 발행하거나 제작한 자료 중 법 제19조제1항제6호에 따른 외국도서관과의 교류 및 협력을 위하여 필요한 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그 자료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②제1항에 따라 자료의 제공을 요청받은 기관은 당해 자료가 「보안업무규정」에 따른 비밀에 속하는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자료의 제공에 협조하여야 한다.

제12조 (독서활동을 위한 도서관의 지도·지원) 법 제19조제1항제8호에서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업무"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말한다.
1. 성인·어린이·청소년 및 장애인의 독서활동 촉진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2. 취약지역 주민을 위한 도서 보급과 독서진흥
3. 각종 문화시설·교육시설 등 관련 시설 및 기관과의 협조

제13조 (자료의 납본) ①법 제20조제4항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에 납본(納本)하여야 할 자료는 법 제20조제1항에 따른 공공기관이 발행하거나 제작한 다음 각 호의 자료와 법 제20조제2항에 따른 개인이나 단체가 일반 공중이 이용하게 할 목적으로 발행하거나 제작한 다음 각 호의 자료로 한다.
1. 도서
2. 연속간행물
3. 악보, 지도 및 가제식(加除式) 자료
4. 마이크로형태의 자료 및 전자자료
5. 슬라이드, 음반, 카세트테이프, 비디오물 등 시청각자료
6. 「출판 및 인쇄진흥법」 제2조제6호에 따른 전자출판물 중 콤팩트디스크, 디지털비디오디스크 등 유형물
7. 점자자료, 녹음자료 등 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
8. 출판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형태로 발간되는 기록물로서 문화관광부장관이 인정하는 자료
②제1항에 따른 납본 대상 자료의 납본부수는 2부로 한다.
③법 제20조제2항에 따라 납본을 하는 자는 문화관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도서관자료제출서와 보상청구서를 국립중앙도서관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14조 (국제표준자료번호의 부여) ①법 제21조제1항에 따른 국제표준자료번호(이하 "자료번호"라 한다)는 국제표준도서번호와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로 구분하되, 국립중앙도서관장은 자료의 이용과 유통과정의 편의를 위하여 부가기호를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②자료번호를 부여 받으려는 자는 문화관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장에게 자료번호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③자료번호와 부가기호(이하 "한국문헌번호"라 한다)의 부여 대상, 절차 및 표시 방법 등은 국립중앙도서관장이 정하여 고시한다.
④국립중앙도서관장은 한국문헌번호를 부여 받은 자가 도서나 연속간행물에 한국문헌번호를 표시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한국문헌번호의 부여를 취소하거나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

제15조 (지역대표도서관 설립·운영 등) ①법 제22조제1항에 따라 시·도지사는 해당 시·도가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나 그 밖의 공공도서관 중 하나를 지정하여 지역대표도서관으로서의 업무를 수행하게 하여야 한다.
②지역대표도서관의 장은 매년 11월 말까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종합하여 시·도지사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1. 차년도 지역도서관 운영계획
2. 지역 내 도서관협력 및 국립중앙도서관과의 협력 현황
3. 지역 내 공공도서관 건립 및 공동 보존서고의 운영 현황
4. 지역 내 공공도서관 지원과 지역격차 해소 추진 실적
5. 지역 내 도서관활동의 평가 및 실태조사 분석결과

제16조 (제출대상자료의 종류와 절차 등) 법 제26조제2항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대표도서관에 제출하여야 하는 자료의 대상과 제출하는 절차 등에 관하여는 제13조제1항과 제2항을 준용한다.

제17조 (공공도서관의 설립·육성) ①법 제27조제1항에 따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주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공공도서관을 설치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②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에게 봉사하기 위하여 지역의 특성에 따라 분관(分館), 이동도서관 등을 육성하고 지원하여야 한다.

제18조 (사립 공공도서관의 등록 절차) 법 제31조제1항에 따라 사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려고 등록하려는 자는 등록신청서에 시설명세서를 첨부하여 시장·군수·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19조 (공공도서관 사용료) 법 제33조에 따라 공공도서관이 이용자로부터 받을 수 있는 사용료의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데이터베이스 이용 수수료
2. 개인연구실·회의실 등 이용 수수료
3. 자료 복사료
4. 강습·교육 수수료
5. 도서관 입장료(사립 공공도서관의 경우에 한한다)

제20조 (사립 전문도서관의 등록 절차) 법 제40조제2항에 따라 사립 전문도서관을 설립하려고 등록하려는 자는 등록신청서에 시설명세서를 첨부하여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21조 (지식정보취약계층 등) 법 제43조제3항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식정보 취약계층"이란 다음 각 호의 자를 말한다.
1.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2.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권자
3. 65세 이상의 노인

제22조 (권한의 위탁) 문화관광부장관은 법 제46조에 따라 법 제6조제2항에 따른 사서직원의 자격증 발급에 관한 권한을 법 제17조에 따라 설립된 도서관 관련 협회 중 문화관광부령으로 정하는 협회에 위탁한다.

제23조 (과태료의 부과·징수절차) ①문화관광부장관은 법 제47조에 따라 과태료를 부과하려면 해당 위반행위를 조사·확인한 후 위반사실과 과태료 등을 서면으로 밝혀 이를 납부할 것을 과태료처분대상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②문화관광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과태료를 부과하려면 10일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과태료처분대상자에게 말이나 서면으로 의견을 진술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지정된 날까지 의견진술이 없으면 의견이 없는 것으로 본다.
③문화관광부장관은 과태료를 정할 때에는 해당 위반행위의 동기와 그 결과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④과태료 징수 절차는 문화관광부령으로 정한다.

부칙 <제19963호, 2007.3.27>
제1조 (시행일) 이 영은 2007년 4월 5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사서자격증에 관한 경과조치) 이 영 시행 당시 종전의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시행령」 제5조제2항에 따라 사서자격증을 받은 자는 제4조의 개정규정에 따라 사서자격증을 발급받은 것으로 본다.
제3조 (지정교육기관에 관한 경과조치) 이 영 시행 당시 종전의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시행령」 별표 3에 따라 문화관광부장관의 지정을 받은 교육기관은 별표 3의 개정규정에 따른 지정교육기관으로 지정받은 받은 것으로 본다.
제4조 (다른 법령의 개정) ①소음·진동규제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2항제2호중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을 "「도서관법」"으로 한다.
②지방세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96조제3호중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을 "「도서관법」"으로 한다.
③저작권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9호라목 및 제3조제1호중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을 각각 "「도서관법」"으로 한다.
④전기사업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2조의2제1항제1호다목중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을 "「도서관법」"으로 한다.
⑤정보화촉진 기본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2조제5호중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을 "「도서관법」"으로 한다.
⑥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3호 중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제2조제2호의 규정에 의한 문고"를 "「도서관법」 제2조제4호가목에 따른 문고"로 하고, 제55조제5항중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시행령」"을 "「도서관법 시행령」"으로 한다.
⑦사방사업법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9조제3항제13호중 "도서관및독서진흥법"을 "「도서관법」"으로 한다.
⑧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중 "도서관및독서진흥법"을 "「도서관법」"으로 한다.
⑨출판및인쇄진흥법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2호중 "도서관및독서진흥법 제18조"를 "「도서관법」 제21조"로 하고, 제5조 및 제15조제3항 후단중 "도서관및독서진흥법시행령 제22조제4항"을 각각 "「도서관법 시행령」 제14조제3항"으로 하며, 제15조제4항중 "도서관및독서진흥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도서관 및 동법 제2조제2호의 규정에 의한 문고"를 "「도서관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도서관 및 동조제4호가목에 따른 문고"로 한다.
제5조 (다른법령과의 관계) 이 영 시행 당시 다른 법령에서 종전의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시행령」의 규정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에 이 영 중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으면 종전의 규정에 갈음하여 이 영 또는 이 영의 해당 조항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별표1 도서관의종류별시설및자료의기준[제3조관련]
별표2 도서관의사서직원배치기준[제4조제1항관련]
별표3 사서직원의자격요건[제4조제2항관련]





국립중앙도서관이용규칙
[일부개정 2003.12.10 문화부령 제83호]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lawid.value = '006682';
parent.parent.parent.frames.mainTop.lawEtc.l_pubdt.value = '20031210';

제1조 (목적) 이 규칙은 국립중앙도서관(분관을 포함하며, 이하 "도서관"이라 한다)의 자료 및 시설을 일반인에게 이용하게 함에 있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휴관일) ①도서관의 휴관일은 다음 각호와 같다. <개정 1992.8.10>
1. 관공서의 공휴일. 다만, 일요일 및 일요일과 겹치는 관공서의 공휴일을 제외한다.
2. 매월 둘째 및 네째 월요일
3. 국립중앙도서관장(이하 "도서관장"이라 한다)이 도서의 정리 및 기타의 사유로 휴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날
②삭제 <2003.12.10>
③도서관장은 제1항제3호의 규정에 의한 휴관일을 미리 게시하여야 한다.

제3조 (이용시간) 도서관의 이용시간은 도서관장이 정하여 이를 게시하여야 한다. <개정 2003.12.10>

제4조 (사용료) 도서관자료 및 도서관시설에 대한 사용료의 금액은 도서관장이 정한다. <개정 2003.12.10>

제5조 (이용절차 등) 도서관자료·도서관시설의 이용절차 및 도서관 이용대상자의 범위 그 밖의 필요한 사항은 도서관장이 정한다.[전문개정 2003.12.10]

제6조 (행위의 제한) 도서관을 이용하는 자(이하 "이용자"라 한다)는 다음 각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1. 지정된 장소외의 곳에서 담배를 피우는 행위
2. 술을 마시거나 큰 소리로 떠드는 등 다른 이용자에게 방해가 되는 행위
3. 기타 도서관의 질서유지를 위하여 도서관장이 정하여 게시한 사항을 위반하는 행위

제7조 (질서유지) ①도서관장은 정신이상자, 술을 마신사람 기타 도서관의 질서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는 도서관에 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②도서관장은 이용자가 제6조 각호의 규정에 위반한 때에는 이용을 중지시키거나 도서관에서 나가게할 수 있다.

제8조 (자료의 대출제한) ①도서관자료는 다음 각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를 대출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상호대차·순회문고·이동도서관 운영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2. 공무원이 공무수행상 필요로 하는 경우
3. 기타 도서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②대출되는 도서관자료의 범위는 도서관장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제9조 (변상조치) ①도서관장은 이용자가 도서관자료 및 도서관시설을 더럽히거나 찢거나 깨뜨려 못쓰게 한 때 또는 이를 잃어버린 때에는 이용자로 하여금 이를 변상하게 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변상기준은 도서관장이 이를 정하여 게시하여야 한다.

부칙 <제8호,1991.7.16>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12호,1992.8.1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83호,2003.12.1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2008년 3월 1일 토요일

서울성모병원:가톨릭중앙의료원 강남성모병원



원작명 의관 국제건축디자이너 김상훈










가톨릭중앙의료원 강남성모병원


kim sanghoon
건축



규모 : 지상 22층, 지하 6층, 지붕층 2층
면적 : 건축면적 - 12,492㎡ 연면적 - 189,999㎡ (의료면적 : 131,289㎡, 주차면적 : 58,710㎡)
병 상 수 : 1,200병상 (ICU 110병상 포함)
주차대수 : 1,623대(B5:432(6), B4:424(9), B3:418(11), B2:255(13), B1:94(8), ()는 장애인용)
주차면적 : 58,710 ㎡
설계/감리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시공사 : 현대건설주식회사
CM사 : 파슨스브링커호프주식회사(PB Korea)
공사기간 : 2005년 10월 17일 ~ 2008년 12월 31일 (착공식 : 2005년 10월 7일)
개원예정 : 2009년 5월 3일




문화




세계고층건물디자인 사진
개인이야기
가톨릭중앙의료원 강남성모병원


건축법